•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전단강도

검색결과 861건 처리시간 0.022초

강섬유를 혼입한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 및 전단해석에 관한 연구 (Shear Behavior and Shear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Containing Steel Fibers)

  • 오병환;임동환;이형준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71-180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를 혼입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거동에 관한 실험 및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강섬유가 혼입된 구조부재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여 강섬유의 전단보강 효과를 규명하였으며, 부재의 연성, 극한전단강도 및 초기균열 전단강도 등을 모두 만족하는 최적의 강섬유 혼입량 및 전단 철근 배근량을 제안하였다. 본 실험으로부터 강섬유의 혼입으로 인하여 연성의 증가뿐 아니라, 초기균열강도는 크게 향상되었으며, 극한전단강도 역시 만족할만큼 증가함을 알수 있었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강섬유 혼입량(체적비)1%, 시방서에서 규정하는 전단철근 필요량의 75%가 가장 만족스러운 조합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강섬유가 혼입된 철근 콘크리트부재가 극한 전단강도 예측기법이 제시되었으며, 앞으로 강섬유 콘크리트는 연성을 필요로 한는 내진구조물등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하학적 경계조건을 고려한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춤이 큰 보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Deep Beams with Geometric Condition)

  • 오정근;신성우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9-118
    • /
    • 1998
  • 전단거동에 의해 지배되는 고강도 철근콘크리트 춤이 큰 보의 전단역학적 거동 및 전단강도특성을 고려한 이론식을 제시하고자 소성이론에 근거한 극한해석에서 상계치정리를 이용하여 이론적 전개를 하였으며, 고강도 R/C춤이 큰 보의 전단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콘크리트 압축강도, 수직전단보강근 및 수평잔단보강근의 보강효과를 고려한 이론식을 제시하였으며, 수평철근 즉 주인장철근 및 수평전단보강근의 장부작용을 고려하였다. 실험결과와 비교할 때 제안식은 수직잔단보강근의 전단보강효과를 과대평가하고있으며, 수평전단보강근의 효과를 적절하게 평가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 전단스팬비가 0.5, 0.85인 경우에는 제안식에 의한 값이 다소 낮게 나타내, 전단스팬비가 낮은 경우는 다소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근콘크리트 보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전단설계기준에 대한 고찰 (Evaluation of Shear Design Provisions for Reinforced Concrete Beams and Prestressed Concrete Beams)

  • 김강수;김상식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717-7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전단실험결과를 모아 구축한 방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보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에 대한 ACI와 국내의 전단설계기준을 평가 분석하였다. 또한 두 전단설계기준에 대한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기준의 안전율과 강도감소계수에 대하여도 고찰하였다. 전단설계기준은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해서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특히 전단철근이 없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정확도를 제공하였다. 또한 기준에서 전단강도에 대한 전단철근의 기여도의 제한은 다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전단철근이 없고 휨인장철근비가 낮으며$(\rho_w<1.0\%)$ 춤이 높은 (h>700mm) 보에 대하여 매우 위험한 전단강도를 제공하였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대해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하여 매우 정확한 전단강도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ACI와 국내의 전단설계기준은 전단강도의 예측정확도가 매우 다른 철근콘크리트 부재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부재에 대해 동일한 강도감소계수를 사용함으로써 이들 부재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설계안 전율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고강도화에 따른 전단거동에 관한 연구 (Shear Behavior of R.C. Beams according to Increase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 윤영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190-198
    • /
    • 1994
  • 보통강도, 고강도 및 초고강도 철근콘크리트보의 콘크리트 강도 증가에 따른 전단거동을 검토하였다. 360, 670 및 870kg/$cm^2$의 콘크리트 강도를 갖는 총12개의 실물크리 공시체의 전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단철근의 양도 현행 ACI 318-89규정값에 근거하여 변수로 정하였다. 이러한 각 시험체의 전단거동은 극한전단강도, 연성거동, 보유내력등으로 분석하고 파괴양상을 고찰하였으며, 규준식에 의한 극한전단강도의 예측치와 실험 결과의 비교 검토를 행하여, 콘크리트 강도증가에 따른 향후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아치모델을 이용한 복부보강이 안된 철근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산정 (A Prediction of Shear Strength Using Arch Model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without Web Reinforcement)

  • 김대중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233-240
    • /
    • 1998
  • 구조역학에 기초한 보의 종방향 휨모멘트변화율과 전단력의 관계와 본 연구자가 이전에 발표한 아취모델을 이용하여 복부보강이 안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이론적으로 유도된 본 연구의 전단강도식은 주로 실험결과에 기초한 ACI 318 전단강도식과 비슷한 형태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식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주인장철근비 및 전단지간대 유효높이의 비가 주변수이며, 보작용과 아취작용의 조합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저항메카니즘이 합리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단강도식은 ACI 318 전단강도식 및 Zsutty의 전단강도식과 함께 기존의 실험결과와 비교되었다.

고강도(高強度) 철근(鐵筋) 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剪斷強度)에 관한 연구(硏究) (Shear Strength of High Strength Reinforced Concrete Beams)

  • 고광일;김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3-71
    • /
    • 1989
  • 고강도(高強度) 콘크리트 보의 전단균열강도와 극한전단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4개의 Series로 철근콘크리트 보를 실험(實驗)하였다. 모든 보는 전단보강철근(剪斷補強鐵筋)이 없는 단철근 보로 하였으며, 주변수는 콘크리트 강도로써 공시체 압축강도를 $247kg/cm^2$(3500 psi)에서 $708kg/cm^2$(10000 psi)까지 변화(變化)시켰다. 각 Series는 콘크리트 강도를 일정(一定)하게 하고서, 보의 전단지간(剪斷支間) 대(對) 유효(有效)깊이의 비(比)(a/d)를 2에서 5까지 변화(變化)시켰다. 실험결과(實險結果)에 따르면, 전단지지력(剪斷支持力)에 대한 콘크리트 강도(強度)의 영향은 보의 a/d에 따라 각기 달랐을 뿐만 아니라 현행(現行) 시방서의 전단설계규정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지지력을 산정하는데 일정성이 없음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단지간(剪斷支間) 대 유효(有效)깊이의 비(比)의 변화(變化)에 따른 전단강도(剪斷強度)에 대(對)한 콘크리트 압축강도(壓縮強度)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shear failure mode index를 사용한 극한전단강도식(極限剪斷強度式)을 제안(提案)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 PDF

전단보강이 없는 고강도 철근 콘크리트 보의 전단역학적 거동에 관한연구 (Shear Mechanism of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Beams Without Shear Confinement)

  • 신성우;이광수;권영호;오정근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7-74
    • /
    • 1989
  • 건축물의 고충화, 대형화 및 특수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고강도화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고강도화는 높은 취성파괴 양성을 보여주며, 이들이 전단파괴의 병합될 때 구조체의 안전성에 큰 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강도 콘크리트(f'c=800㎏/㎠)보가 전단보강이 되어있지 않은 경우 전단강도 및 파괴 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요변수로서 전단스팬비(a/d)=3.0, 4.0, 6.0그리고 주근비 (ρt)=0.5ρb, 1.0ρb로 하였다. 실험결과, 현재의 건설부 극한강도 구조 규준식이나 ACI규준식은 주근량과 a/d의 효과를 과소평가하고, 콘크리트의 강도 증가에 따른 잇점은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복합 보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of Hybrid Beams Combining Precast Concrete and Cast-In-Place Concrete)

  • 김철구;박홍근;홍건호;강수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75-185
    • /
    • 2013
  • 최근 다른 압축강도로 타설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와 현장타설 콘크리트(CIP)의 복합 부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현행 기준에는 서로 다른 강도로 복합화된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계 기준이 없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 서로 다른 압축강도(24 MPa, 60 MPa)로 분리 타설된 보의 전단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복합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변수로는 단면형상, 휨철근비, 그리고 전단경간비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값과 현행 전단 기준식과 단면적비로 계산한 유효 콘크리트 강도를 이용한 예측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보면 철근비가 낮고 압축대에 60 MPa가 사용된 실험체들에 대해 설계 기준식을 과대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기준으로 PC와 CIP 복합부재의 전단설계 기준을 제안하였다.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극한 전단력 (Ultimate Shear Capacity of Prestressed Girder of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 한상묵;오향국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51-58
    • /
    • 2008
  • 본 연구는 전단철근이 없는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프리스트레스 I형거더의 극한전단파괴하중 산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9개의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거더에 대한 극한 전단하중을 측정하였다. 전단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해석식은 두 경계이론을 근거로 유도되었다. 섬유가 부담하는 전단력 산정모델은 섬유가 방향과 길이면에서 균일하게 분포한다는 가정하에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거더에 대한 전단강도식을 기존의 섬유보강 콘크리트 전단강도식과 실험에 의한 전단하중과 비교한 결과 비교적 정확한 산정값을 보여주었다.

콘크리트의 인장강성을 고려한 RC보의 공칭비틀림강도 (Torsional Resistance of RC Beams Considering Tension Stiffening of Concrete)

  • 박창규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24-32
    • /
    • 2002
  • 전단문제에서는 일부 설계기준(AASHTO 1994)에 이미 수정압축장이론이 도입되었다. 그리고 현행 콘크리트 설계기준에는 콘크리트의 전단강도가 철근의 전단강도와 합하여 공칭전단강도를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개정된 콘크리트설계기준에는 콘크리트의 비틀림강도가 공칭비틀림강도 계산에서 누락되었다. 콘크리트의 인장응력은 비록 크기가 작으나 균열후에 균열사이의 콘크리트에 존재한다. 그러나 휨과 비틀림문제에서는 균열 후 콘크리트의 인장강성은 생략되고 있다. 역학적으로 콘크리트보의 비틀림거동은 전단거동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므로 균열 후 콘크리트의 비틀림강도를 철근콘크리트 보의 공칭비틀림강도의 계산에 포함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콘크리트의 평균주인장응력이 이루는 콘크리트의 비틀림강도를 횡방향 비틀림철근의 비틀림강도와 함께 공칭비틀림강도를 구성함을 밝혔으며, 이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개정 전후의 ACI 의 설계기준에 의한 공칭비틀림강도와 함께 실험값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이 제안한 모델에 의한 공칭비틀림강도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