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배합

검색결과 1,196건 처리시간 0.025초

광물질 결합재 및 조강형 재료 조합에 따른 조강형 저발열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high early strength low heat concrete according to mineral binder and high early strength material combination)

  • 김경민;손호정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7-3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 및 초기강도 향상을 목적으로 3성분계 배합에 따른 콘크리트의 기초적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은 목표범위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결시간은 W/B와 관계없이 저열 시멘트 배합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고, 간이 수화열은 저열 배합의 피크 온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발열-B 배합이 가장 낮은 온도를 나타내었으며, 조강형 저발열 배합은 저발열-B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초기재령에서 저발열-B 배합을 제외한 모든 배합이 유사한 강도 범위를 나타내었고, 장기 재령에서는 큰 차이 없이 유사한 강도 범위를 나타내었다.

최소 볼록 집합을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기반 콘크리트 최적 배합 (Concrete Optimum Mixture Proportioning Based on a Database Using Convex Hulls)

  • 이방연;김재홍;김진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627-634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한정된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콘크리트 물성 예측 모델을 만들어 최적 배합을 구할 때, 탐색 범위를 한정된 데이터베이스로 제안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콘크리트 배합을 제시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각 구성 재료의 가능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지 않고 최적화 과정에서 탐색 범위를 한정된 데이터베이스로 제안함으로써 콘크리트 물성 예측 모델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에서 이러한 영역을 유효영역으로 정의 하였다. 제안한 기법은 유전자 알고리즘, 인공신경회로망, 그리고 최소 볼록 집합을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이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어진 강도 조건을 만족하면서 최저의 가격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배합을 찾는 최적화 문제에 적용하였으며 검증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데이터베이스의 영역 특성을 반영하는 제안한 기법을 통하여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최적 배합을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배합조건에 따른 유동콘크리트의 레올로지 특성모델 (Rheological Model of Flowable Concrete Considering with Mix Conditions)

  • 조창근;최열;김화중;김정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1권1호
    • /
    • pp.251-252
    • /
    • 2009
  • 국내에서 생산되는 시멘트, 골재 및 SP 혼화제를 대상으로 하여 배합조건에 따른 유동 콘크리트의 레올로지 특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로부터 물시멘트비와 SP제의 영향을 고려 한 유동 콘크리트의 레올로지 정수 추정에 관한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전기비저항 측정을 이용한 콘크리트 응결시점 평가 (Setting Time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 이한주;임홍재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61-369
    • /
    • 2017
  • 고성능 콘크리트의 개발로 인해 다양해지는 배합비에 따라, 콘크리트 초기강도 발현 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 응결시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콘크리트 응결시간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관입저항시험은 습식체가름을 실시한 모르타르를 이용한 간접적인 측정법으로, 현장 타설된 콘크리트의 정확한 응결시간을 나타내기 어렵다. 따라서 콘크리트에 직접 측정이 가능한 초음파 속도 측정법, 수화열 측정법, 전기 임피던스 측정법 등 다양한 비파괴 평가 기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화 반응에 따른 시멘트계 재료 내부 전기전도성 변화를 측정하는 4-전극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전기 비저항 측정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양한 배합비에 따라 시멘트 페이스트, 모르타르, 콘크리트의 전기 비저항 측정을 실시하였으며, 배합 후 24시간 측정결과로부터 초기 전기비저항 값과 전기비저항 상승시기를 측정 변수로 제안하였다. 또한, 관입 저항 시험에 따른 초결, 종결 시점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콘크리트 응결시점 평가를 위한 제안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수준별 배합특성 (Properties of Mixing Proportions with Compressive Strength Level of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

  • 최연왕;정재권;정우용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2A호
    • /
    • pp.163-16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3수준의 강도 변화에 따른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콘크리트의 유변학적 특성 및 역학적 특성 평가하기 위하여 석회석 미분말, 플라이애시 및 고로슬래그를 2성분계 및 3성분계 배합으로 제조된 콘크리트의 유동 및 강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30 MPa급의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품질확보, 강도 및 점성 조절용으로 석회석 미분말 20% 및 플라이애시 30% 배합이 요구성능을 만족하였으며, 50 MPa급의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10% 및 플라이애시 20%를 사용한 배합이 소요의 유동 및 강도 특성을 만족하였다. 또한 분체량이 많은 70 MPa급의 경우 유동성 향상 및 점성 감소용으로 고로슬래그 20% 및 플라이애시 10% 배합이 요구성능을 만족하였으며, 모든 배합에서 플라이애시의 사용이 점성확보 및 시멘트 절감효과를 위하여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압축 강도수준별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는 2성분계 배합의 경우 보다 플라이애시를 포합한 3성분계 배합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3D 프린팅을 위한 굵은 골재가 포함된 콘크리트의 압출성 확보를 위한 배합설계 프로세스 (Mix Design Process for Securing Extrudability of Concrete Containing Coarse Aggregates for 3D Printing)

  • 이윤정;한선진;이상훈;윤수민;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24-31
    • /
    • 2024
  • 기존 대부분의 3D 콘크리트 프린팅 연구는 모르타르를 재료로 활용하고 있다. 다만, 굵은 골재를 포함한 콘크리트에 비해 모르타르를 사용할 경우에는 높은 바인더 함량과 잔골재량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3D 프린팅 기술의 건설산업 적용 확대를 위해서는 굵은 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3D 프린팅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굵은 골재가 포함된 3D 프린팅 용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문헌연구 및 배합실험을 참고하여 3D 프린팅에 적합한 배합을 도출하였으며, 출력실험을 통하여 압출성을 검증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의 증점제(Viscosity modifying agent, VMA) 함량을 출력실험의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출력된 필라멘트의 치수 적합성, 골재분포도, 표면 품질을 평가하여 압출성능을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VMA의 함량이 높은 배합이 더 우수한 치수 적합성과 표면 품질을 보였으며, VMA 함량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모든 배합에서 골재분포가 균등하게 나타났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굵은 골재가 포함된 콘크리트의 압출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배합설계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실리카퓸을 사용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과 자기수축 특성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properties of silica-fume included mass concrete)

  • 김진용;김진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489-492
    • /
    • 2008
  • 물/결합재비가 0.4이면서 5%의 실리카퓸이 혼입된 3가지 매스콘크리트 배합과 실리카퓸이 혼입되지 않은 1가지 매스콘크리트 배합에 대해 단열온도상승실험과 자기수축실험을 실시하여 실리카퓸이 매스콘크리트의 수화발열특성과 자기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통해 실리카퓸의 매스콘크리트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매스콘크리트 배합의 경우에는 실리카퓸을 혼입하여도 수화반응속도가 거의 증가하지 않으면서 최종단열온도상승량이 5$^{\circ}$C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콘크리트의 극한자기수축량은 실리카퓸의 혼입여부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무에서 매스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실리카퓸을 적용하면 내구성뿐만 아니라 수화열 균열제어에도 이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고유동콘크리트의 제조 및 현장적용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ing and Application of High-Workable Concrete)

  • 윤재환;차태환;홍순조;권지훈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9-117
    • /
    • 1996
  • 최근 일본에서는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킨 고유동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해되어 일부 실용화단계에 와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고품질의 고유동콘크리트에 대한 연구가 극히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합인자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배합방법으로 기존의 재료와 생산설비로서 고유동콘크리트 제조를 목포로 하였으며 아울러 실기시험 및 현장적용실험을 통해 고유동콘크리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배합설계를 통해 기존의 재료와 생산설비로서 우수한 품질을 확보하면서 시공성면에서도 양호한 고유동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내구수명 확보를 위한 최적 배합 도출에 대한 연구 - 유전자 알고리즘의 적용 (Study on Optimum Mixture Design for Service Life of RC Structure subjected to Chloride Attack - Genetic Algorithm Application)

  • 권성준;이성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A호
    • /
    • pp.433-442
    • /
    • 2010
  •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계수의 제어는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확보에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목표 내구수명을 만족하는 목표확산계수를 도출하고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최적배합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동일한 골재 및 혼화재를 사용한 30개의 배합과 그에 따른 염화물 확산계수를 분석하였으며, 27개를 대상으로 확산계수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확산계수 예측식의 변수로는 물-결합재비, 단위 혼화재량(슬래그, 플라이 애쉬, 실리카퓸), 단위 시멘트량, 단위 잔골재 및 굵은 골재량을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나머지 3개의 배합에 대하여 검증을 수행하였다. 최적 함수식은 27개의 배합에 대하여 평균 18.7%의 오차와 16.0%의 변동계수를 보이고 있었다. 주어진 3개의 확산계수에 대하여,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도출된 배합은 0.3%~12.2%의 오차범위를 가지며 각각의 배합인자를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서로 다른 내구성 설계변수(목표내구수명, 피복두께, 표면염화물량, 혼화재량)와 노출환경(온도 및 습도)을 가정하여 목표 확산계수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만족하는 최적화된 콘크리트 배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내구성 콘크리트 배합도출에 대한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제안된 기법은 다양한 확산계수의 범위를 가지는 광범위한 자료구축을 통하여 개선될 것이다.

고성능 콘크리트의 정의 및 교량 바닥판의 실용화

  • 정원기;이형준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0-84
    • /
    • 1999
  • HPC를 사용한 장기수명 바닥판 콘크리트의 시공에 관한 4가지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Nebraska, New Hampshire, Texas 그리고 Virginia 등 4개주의 프로젝트에서 보면 아래와 같이 여러 가지 유사성을 알 수 있었다. $\cdot$ HPC의 사용은 장기 수명의 교량 바닥판을 건설하기 때문에 life cycle cost와 유지관리비의 감소가 예상된다. $\cdot$ 교량 바닥판에 대한 HPC의 중요성은 더 큰 강도보다는 내구성과 시공성을 일관성있게 양호하게 개선한다는 것이다. $\cdot$ 그 지역의 재료와 기존의 방법을 가능한 최대한 범위로 사용한다. $\cdot$ 많은 실험실 및 현장 시험 배합표가 개발되었고 배합되었다. 성능 특성은 혼합 재료의 형태, 상품 및 배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cdot$ 향상된 성질을 갖는 균일하고 일관성 있는 제품의 사용에 덧붙여 적절한 시공 기술은 장기 수명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cdot$ 알카리-골재 반응을 갖고 있는 지역이나 높은 황산염을 갖고 있는 지역과 같이 특별한 문제점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화학적 내구성을 검토하기 위해 별도의 실험이 필요하다. $\cdot$ 현장에서 소요의 성능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시작부터 모든 분야 사이의 원활한 의견 교환과 협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