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콘크리트 공사

Search Result 71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asjed-e-Soleiman Hydroelectric Power Project (이란 카룬댐 프로젝트 콘크리트 공사)

  • 김종오;노승규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4
    • /
    • pp.72-81
    • /
    • 2002
  • 대림산업(주)는 이란 에너지성 산하의 수전력 개발공사가 발주한 이란내 최대의 토목공사로 관심을 끌어온 카룬댐 공사(Masjed-e-Soleiman Hydroelectric Power Project)를 미화 4억6천4백만 달러에 수주하여 1994년 12월 착공한 후 6년 반 동안의 공사 끝에 지난 2001년 4월 19일 완공을 하게 되었다.(중략)

Analysis of Construction Cost of the Second-Dolsan Bridge and the Sepung Bridge (제2돌산대교와 세풍대교의 공사비 분석)

  • Seo, Young-Jae;Lee, Kyoung-Jae;Kim,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5a
    • /
    • pp.21-22
    • /
    • 2010
  • Recently, many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are under construction for economic benefits. This study deals with analyzing construction cost of the Second-Dolsan Bridge and the Sepung Bridge as examples of concrete cable-stayed bridges.

  • PDF

거푸집공사의 재해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오준호;고성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09-114
    • /
    • 2002
  • 건설공사의 공종 중 거푸집공사는 전체공사기간의 대략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사비 비율은 일반적으로 전체공사비의 10~15%, 철근콘크리트공사비의 20~30%를 차지하고 있어 구조물의 안전성, 경제성 및 작업성과 품질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곧 해체되는 가설구조물로써 작업상에서 많은 위험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아파트공사의 경우 전체 재해발생의 1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공사는 가장 우선적으로 관리하여야 할 위험공종이며 전체공기를 좌우하는 주공정으로서 이를 재해발생의 측면에서 제어하는 것이 안전관리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며 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중략)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M for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al Work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의 BIM 적용 연구)

  • Ahn, Jae-Hong;Lim, Nam-G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2 no.1
    • /
    • pp.158-166
    • /
    • 2018
  • The application of the BIM for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work accompanied many trials-and-errors on project based on BIM by this time Ten years have passed since BIM issued, but it is not activated. This study suggests ways to activate BIM for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work. The reason for choosing the structure construction is as follows. Construction cost is a high proportion of structural construction cost.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related materials is small, and the first in the 3D modeling process is structure modeling. And build BIM-based Structural Database by quantity take-off.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BIM through practical cas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suggestion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BIM-based projects.

A Study on the Economical Analysis of the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thod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복합화공법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 Yoo, Dae-Ho;Lee, Han-Bok;Ahn, Jae-Cheol;Kang, Bye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113-118
    • /
    • 2007
  • In this study, we select a site adopting real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thod. Estimating real construction cost and imaginary cost appling reinforced concrete method in the site, we compare the costs. Through using high intensity concrete and prestressed concrete, amount of concrete is reduced more than 50% but there isn't big gap in material cost. In the main construction cost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thod, the material cost with production cost and transportation cost are in that, joints and topping concrete are account for 90%. But in case of reinforced concrete, labor cost spent at concrete steel bar and form is account for 30%. In the cost of attached, compared with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thod, the reinforced concrete method taken in big portion by temporary work and scaffolding is twice as much as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thod in construction cost. Therefore, economic efficiency is excellent reducing 11% total cost of composite precast concrete method from the reinforced concrete method.

  • PDF

Productivity Analysis for Formwork Operation of Concrete Structure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거푸집공사의 생산성분석에 관한 연구)

  • 안용선;이리형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5 no.1
    • /
    • pp.175-181
    • /
    • 1993
  • 콘크리트 구조체공사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거푸집공사이며, 구조체공사의 합리적 관리는 거푸집공사의 작업생산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거푸집공사의 과학적 관리기반을 구축하기 위하여, 구조체 기준층을 대상으로 작업측정을 하여 유로폼공법, 재래식 거푸집공법 등 주요공법의 생산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거푸집공사의 주요 작업인 조립, 해체, 운반등 단위 공정의 소요작업 품을 산출함으로써, 작업개선을 위한 실용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거푸집 면적이 생산성과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는데 착안하여 소요작업품을 예측할 수 있는 상관관계식을 유도함으로써, 공정관리 및 기능공의 수급예측이 가능토록 하였다.

A study of a plan for better curing methods through a reseach for a field of construction work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방법의 현장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Park Sung-June;Moon Hyung-Soo;Kim Ch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379-382
    • /
    • 2003
  • Construction concrete needs to maintain suitable environment which contains temperature and humidity etc. Then concrete shows own strength. The environment is not regular and contains many variables. Especially the climate element occupies many parts of variables. We have the climate environment which goes down to $-4^{\circ}C$. The factor that obstruct to construction is the failure at a construction progress. But it must be processed to be scheduled. Therefore we have to do the special care for factor of climate that obstruct to construction. We must make assurance doubly sure at the quality of concrete. We need maintenanc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the hardening until the requirement period after a concrete pured in. We must do the care of curing sufficiently not to take the influence of injurious activity. This causes strength of concrete. Specific method of curing is according to each situation which is environment element. We wish to analyze curing course in construction of concrete at the paper. Also we wish to predict the problem as to consider curing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paper.

  • PDF

QUALITY CONTROL OF FIELD CONCRETE

  • 김형걸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1 no.4
    • /
    • pp.9-15
    • /
    • 1968
  • 콘크리트 공사시방에 있어서 강도 최저강도를 지정하는 것이 오늘날 까지의 관습으로 되어있다. 즉, 몇개의 강도시험의 평균치가 얼마이상 이어야 된다든가, 전부의 콘크리트가 얼마 이상의 압축강도를 갖어야 된다든가, 또는 콘크리트는 28일 압축강도 얼마를 낼 수 있도록 콘크리트 단위용 적당 cement를 몇 kg, 혹은 몇 포대를 사용해야 된다 든가로 규정되는 것이 보통으로 되여 있다. 그러나 이 방법만으로는 그 콘크리트의 실제의 안전율을 예측할 수 없을뿐만 아니라 균질한 콘크리트를 얻는것을 기대할 수가 없을 것이다. 즉 합리적인 시방이 되지 못 한다. 두말 할 것도 없이 우리는 현장에서 건축물설계자가 요구하는 강도의 콘크리트를 얻어야 될 것이고, 또 한편으로 그 강도가 골고루 되어야 할 것이다. 즉 강도의 변화가 심하지 않아야 될 것이다. 이것을 기대하기 위하여 concrete 제조현장에서 통계학적 이론에 입각한 품질관리를 행하는 것이다. 그렇게 하므로서 보다 합리적인 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미국에서는 콘크리트 공사의 큰 현장에서 concrete 생산 품질관리를 행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면 여하한 이론에 입각하여 현장에서 다량으로 concrete를 생산할때에 그 품질을 관리하느냐 하는 것을 현재 미국에서 propose 되여 있는 안과 ASTM에 규정되여 있는것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아울러 concrete 공사에서 강도에 관한 시방을 앞으로 이끄러, 나갈 방향을 제시하고저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