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의 품질

검색결과 992건 처리시간 0.02초

레미콘의 품질확보 방안 및 콘크리트 기사 자격제도 (Pl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ady-Mixed Concrete and a Auggestion of Legislating a Concrete Engineer Certification)

  • 박승범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4-21
    • /
    • 2002
  • 국내에서 시공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대부분은 레미콘(ready-mixed concrete)으로 시공되고 있기 때문에 레미콘의 품질관리(quality control) 및 품질확보(quality security)는 곧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과 내구성의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잦은 사고로 인해 콘크리트의 품질문제가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비한 콘크리트 품질보증 시스템의 확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레미콘의 품질환경은 원재료의 품질저하, 레미콘 운반시간의 증대 및 기술개발의 미흡 등 주변여건이 좋은 편은 아니며 레미콘 산업도 경쟁시대에 돌입하면서 레미콘 품질이나 기술우위의 시대로 변화되고 있다.(중략)

노출콘크리트 시공단계 품질관리 기준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Quality Control Standards of Exposed Concrete in Construction Stage)

  • 정재수;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48-57
    • /
    • 2012
  • 콘크리트는 구조용 재료의 하나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개발 및 적용이 검토되어 왔지만, 의장적 기능을 가지는 마감재로서의 콘크리트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노출콘크리트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더욱 많은 공사비와 체계적인 품질관리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품질관리 방안이 구체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출콘크리트 노출면의 품질확보를 위해 기존 연구 및 사례를 조사하여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하고, Mock-Up 실험을 통해 거푸집 제작, 콘크리트 배합, 콘크리트 타설 방법에 따른 노출콘크리트면의 품질을 비교분석하였다. 콘크리트 배합 측면에서는 단위결합재량, 단위수량, 시공측면에서는 거푸집 종류, 슬럼프, 다짐시간, 다짐방법 등 시공단계의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여 노출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순환잔골재 품질에 따른 콘크리트의 강도특성 (Effect of Recycled Fine Aggregate Quality on Strength Properties of Concrete)

  • 전에스더;윤현도;장용헌;최기선;배기선;김긍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609-612
    • /
    • 2008
  • 본 연구는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에서 잔골재 품질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강도특성에 관한 몇몇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대부분의 실험이 실험실 내에서의 소규모 실험이기 때문에 현장적용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된 콘크리트는 레미콘 배합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잔골재의 품질[고품질(순환잔골재) : 흡수율 5%이하, 절건밀도 2.2g/cm$^3$이상, 저품질(저품질순환잔골재) : 흡수율 8.0${\sim}$10.0%, 절건밀도 2.2g/cm$^3$이하]과 치환율[0, 30, 60, 100%(고품질), 35, 70%(저품질)]을 변수로 설정하였다. 실험결과 순환잔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공기량 경시변화는 천연골재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순환 및 저품질 순환잔골재 콘크리트에서 잔골재 치환율과압축강도 및 파괴계수와의 상관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