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코호트연구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39초

한국인 유전체역학 정보 DB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Database for the Korean Genome and Health Study)

  • 양은주;박용철;고인송;오범석;김규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844-846
    • /
    • 2003
  • 국립보건원 유전체연구소는 안산-안성 지역에 거주하는 45세 이상 69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고혈압, 당뇨, 골다공증, 천식, 비만 등 한국인의 총 국민의료비용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중요 만성질환에 초점을 맞추어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에 검진대상자의 설문 및 임상검사를 통하여 수집되는 개인식별 데이터, 생활습관 데이터 등의 설문정보와 다양한 임상검사정보에 대한 체계적 저장ㆍ관리와 향후 수행될 대규모 정보 분석을 위해 유전체역학 정보 DB를 설계.구축하였다.

  • PDF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들의 대사증후군 발생 수준과 위험요인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 in who under went medical check-up in a health promotion center)

  • 천해경;이태용;권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86-1193
    • /
    • 2012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관리함으로써 심혈관질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년 간격으로 검진을 받은 동일인 1,668명을 추적 관찰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 및 이의 관련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변화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률의 변화는 2004년을 기준으로 2006년 8.3%, 2008년 12.0%로 증가하였다. 동일기간 중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위험요인의 상대위험도와 95%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발생위험 요인으로 연령, 흡연, 총콜레스테롤, ALT, 요산 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위계적 APC모델을 활용한 가계부채결정원인 분석: 베이비부머세대 포함 중·장년·노년층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Household Debt using a Hierarchical Aging-Period-Cohort Model: Baby-boomers with Middle-Aged & Older Adults)

  • 김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96-40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위계적 APC(Hierarchical Age-Period-Cohort)모형과 2006~2016년 한국복지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한 중장년 노년층(32~76세)의 가계부채규모 결정요인을 연령(Age), 기간(Period), 코호트(Cohort)로 구분하여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에 사용된 대상자는 총 86,056명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가계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효과와 기간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베이비부머세대를 포함하는 특정시기 출생연도별 코호트(Cohort)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령이 한 단위 증가하면 가계부채도 353만원 증가하였지만 가계부채 증가폭은 연령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또한 연령이외의 개인단위변수로 경제활동여부, 건강상태 등이 가계부채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미취업자일수록,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가계부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코호트격리된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일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hospital nurses quarantined in cohort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Focused on a university hospital)

  • 이순열;한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61-572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코호트격리된 병원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학병원 간호사 191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𝛽=.40, p<.001) 사회적 지지 중 상사의 지지가 낮을수록(𝛽=-.21, p=.004) 극복력이 낮을수록(𝛽=-.16, p=.016) 이직의도가 높았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25%(Adj. R2=.25, F=16.99, p<.001)로 나타났다. 특히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병원 전체가 코호트격리된 병원간호사의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는 보통 이상이었다. 감염관리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방안을 찾고, 상사의 지지로 조직과 업무의 부정적인 측면을 줄여서 이직의도를 낮추어야 한다. 그리고, 극복력 향상을 위한 극복력 강화 프로그램으로 이직의도 감소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산후우울증 관련요인: 전향적 코호트 연구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 윤지향;정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5-235
    • /
    • 2013
  • Purpose: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recall bias to antepartum variables measured at postpartum periods and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215 women who answer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demographics, Postpartum Depression Predictors Inventory-Revised and Korean version of Edinburgh Postpartum Depression Scale at antepartum 36-40 weeks and postpartum 2 weeks and 6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kappa, and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greement between antepartum variables at both antepartum and two postpartum periods was relatively high (${\kappa}$=.55- .95). Postpartum depression rates were 36.3% and 36.7% at two follow-up points. In hierarchical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enatal depression (OR=4.32, 95% CI: 1.41-13.19; OR=5.19, 95% CI: 1.41-19.08), social support (OR=1.40, 95% CI: 1.18-1.66; OR=1.27, 95% CI: 1.06-1.53) and maternity blues (OR=4.75, 95% CI: 1.89-11.98; OR=4.22, 95% CI: 1.60-11.12)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t two follow-up points. Child care stress (OR=1.85, 95% CI: 1.01-3.37) was only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t 2 weeks postpartum and pregnancy intendedness (OR=1.57, 95% CI: 1.09-2.27) was only associated with postpartum depression at 6 weeks postpartum.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 a need to apply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prenatal education and counseling with families from antenatal period.

폐경 연령과 사망력과의 관계에 대한 코호트 연구 - 강화 코호트 연구 - (Cohort Study on Age at Menopause and Mortality - Kangwha Cohort Study -)

  • 홍재석;이상욱;지선하;손태용;오희철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4호
    • /
    • pp.323-330
    • /
    • 2001
  • Objective :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ge at menopause and mortality in a population-based sample of women in Kangwha, Korea. Methods : From the Kangwha Cohort, followed-up from 1985 to 1999, the data of the over 55 year old female group(n=3,596) was used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ge at menopause and mortality. We calculated the all causes mortality risk ratio and the cancer mortality risk ratio by age at menopause grouping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ith adjustments for age, BMI, smoking, education, chronic disease, self-rated health status, alcohol consumption and age at first birth. Result and conclusion : Compared to women who had menopause at 45-49 years, the all causes mortality risk ratio was 1.24 for women with menopause at less than 40 years(95% CI=1.01-1.53) and 1.05 for women with menopause at over 50 years(95% CI=0.92-1.20). Also, compared to women who had menopause at 45-49 years, the cancer mortality risk ratio was 1.53 for women with menopause at less than 40 years(95% CI=0.78-2.98) and 1.17 for women with menopause at over 50 years(95% CI=0.77-1.80).

  • PDF

소비의 불확실성에 따른 예비적 저축 동기 추정 (Estimating a Precautionary Saving Motive under Consumption Uncertainty)

  • 황진태;김성민
    • 경제분석
    • /
    • 제26권3호
    • /
    • pp.48-70
    • /
    • 2020
  • 본 연구는 1994~2016년 '가계동향조사'의 미시자료 변수를 표본평균으로 전환하는 방식의 코호트 접근법을 사용하여 소비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예비적 저축 동기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오일러 방정식을 이용하여 도출된 상대적 신중도와 유동성 제약 관련 최초 소득을 통제한 회귀모형을 추정함으로써 예비적 저축 동기 여부를 살펴보았다. 추정 결과, 2SLS 집단 간 추정량(BE2SLS)의 경우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상대적 신중도가 작게 추정되어 예비적 저축 동기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려웠다. 반면, 2SLS 확률효과 추정량(RE2SLS)을 사용한 경우에는 예비적 저축 동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동성 제약 여부를 기준으로 나눈 그룹별 추정에서 유동성 제약 그룹이 미래의 불확실성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환자에서 불안장애의 동반이환 : 우울증 임상연구센터 코호트연구 (The Comorbidity of Anxiety Disorder in Depressed Patients : A CRESCEND(Clinical Research Center for Depression in Korea) Cohort Study)

  • 사공정규;이도윤;서호석;성형모;김정범;정영은;이민수;김재민;조선진
    • 우울조울병
    • /
    • 제9권1호
    • /
    • pp.30-36
    • /
    • 2011
  • Purpose :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are often comorbid with each other, and the comorbidity is associated with poorer psychiatric outcome, resistance to treatment, increased risk for suicide, greater chance for recurrenc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comorbidity of anxiety disorder in Korea. Method : Subjects were total of 867 depressed patients recruited CRESCEND-K multicenter trial. We used SCID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 - IV) to find comorbidity of anxiety disorders in depressed patient. Results : Of 867 patients, total 8.2% had anxiety disorder. Proportion of anxiety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 was 3.5%, panic disorder was 1.7%,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as 1.1%,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0.9%,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was 0.6%, social phobia was 0.4%. Conclusion : In this study, anxiety disorder in depression were measured at a low comorbidity rate in compare to previous studies. Selection bias, use of antidepressants at registration, severity of depression symptoms, and point of SICD administration seems to have affected these results. It is probable that comorbidity evaluation would be more precise if shorter, structured interviews such as M. I.N.I.-Plus were used during first clinical interview for depression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