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코어 친화도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ynamic Core Affinity for High-Performance I/O Devices Supporting Multiple Queues (다중 큐를 지원하는 고속 I/O 장치를 위한 동적 코어 친화도)

  • Cho, Joong-Yeon;Uhm, Junyong;Jin, Hyun-Wook;Jung, Sungin
    • Journal of KIISE
    • /
    • v.43 no.7
    • /
    • pp.736-743
    • /
    • 2016
  •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impact of core affinity on the network I/O performance of multi-core systems. As the network bandwidth increases significantly, it becomes more importa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core affinity. Although a framework for dynamic core affinity that considers both network and disk I/O has been suggested, the multiple queues provided by high-speed I/O devices are not properly supported. In this paper, we extend the existing framework of dynamic core affinity to efficiently support the multiple queues of high-speed I/O devices, such as 40 Gigabit Ethernet and NVM Expres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xtended framework can improve the HDFS file upload throughput by up to 32%, and can provide improved scalability in terms of the number of cores. In addition, we analyze the impact of the assignment policy of multiple I/O queues across a number of cores.

Impact of Process Scheduling on Network Performance over Multi-Core Systems (멀티 코어 시스템에서 통신 프로세스의 스케줄링에 따른 성능 분석)

  • Jang, Hye-Churn;Jin, Hyu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827-829
    • /
    • 2009
  • 현재 멀티 코어 프로세서는 많은 서버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하나의 프로세서 패키지에 포함될 코어의 개수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운영체제들은 멀티 코어 시스템을 멀티 프로세서 환경과 거의 동일하게 다루고 있으며 아직 멀티 코어 특성을 고려한 성능 최적화 시도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SMP와 NUMA 구조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 환경에서 통신 프로세스와 네트워크 인터럽트의 프로세서 친화도를 변화시키며 네트워크 처리율과 코어의 유휴 자원 양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측정 결과 프로세서 친화도에 따라 통신 처리율은 크게 변하지 않지만 프로세서 자원의 요구량에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을 보인다. 또한 이러한 프로세서 자원의 영향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의 캐쉬 공유 구조 및 메모리 분산 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밝힌다.

System-Call-Level Core Affinity for Improving Network Performance (네트워크 성능향상을 위한 시스템 호출 수준 코어 친화도)

  • Uhm, Junyong;Cho, Joong-Yeon;Jin, Hyun-Wook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3 no.1
    • /
    • pp.80-84
    • /
    • 2017
  • Existing operating systems experience scalability issues as the number of cores increases. The network I/O performance on manycore systems is faced with the major limiting factors of cache consistency costs and locking overheads. Legacy methods resolve this issue include the new microkernel-like operating system or modification of existing kernels; however, these solutions are not fully application transparent. In this study, we proposed a library that improves the network performance by separating system call context from user context and by applying the core affinity without any kernel and application modifications.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our implementation can improve the network throughput of Apache by up to 30%.

An Optimization Tool for Determining Processor Affinity of Networking Processes (통신 프로세스의 프로세서 친화도 결정을 위한 최적화 도구)

  • Cho, Joong-Yeon;Jin, Hyun-Woo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2 no.2
    • /
    • pp.131-136
    • /
    • 2013
  • Multi-core processors can improve parallelism of application processes and thus can enhance the system throughput. Researchers have recently revealed that the processor affin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network I/O performance due to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multi-core processors; thus, many researchers are trying to suggest a scheme to decide an optimal processor affinity. Existing schemes to dynamically decide the processor affinity are able to transparently adapt for system changes, such as modifications of application and upgrades of hardware, but these have limited access to characteristics of application behavior and run-time information that can be collected heuristically. Thus, these can provide only sub-optimal processor affinity. In this paper, we define meaningful system variables for determining optimal processor affinity and suggest a tool to gather such information. We show that the implemented tool can overcome limitations of existing schemes and can improve network bandwidth.

Development of Walkability Search System (보행친화도 검색 시스템 개발)

  • Kim, Eun Jung;An, Donghyeok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12
    • /
    • pp.987-997
    • /
    • 2019
  • Walk score, walkablity index of built environmental condition, has developed and used in everyday life in United Sta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walk score in Seoul, and to develop computer-based walk score system for improving it's usage. This study covers city of Seoul, and the unit of spatial analysis is 100m × 100m grid cell. This study uses same methodology with walk score in US,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is used for calculating the values of walk score(N=58,062). This study implemented Java-based system that utilizes walk score dataset(latitude, longitude, and walk score). This system provided search functions including both lat/long-based and address-based options. Meanwhile, this system was designed to provide the closest value of walk score in dataset if location did not match the certain points in datase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o provide walk score system being easily available to all.

A Strategic Study of Pedestrian-Friendly Reconstruction in University Campus Core - Case Study of 'H'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 (대학 캠퍼스코어의 보행친화형 개조전략 연구 - 경기도 H대학교를 사례로 -)

  • Hong, Youn-Soon;Park, Chung-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6
    • /
    • pp.89-100
    • /
    • 2014
  • The Campus Core is centered at the physical, functional and symbolic environment of a university, which is known as the top academic institution, hence it metaphorically represents not only the educational philosophy when institution first opened, but also the transformed values of the time. Today, universities are asked to actively communicate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erms of function and be remodeled as pedestrian-friendly campuses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For this reason, the study comprehends the concept of the campus core in accordance with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and suggests a practical plan for campus cores of district national universities based on previous research examination. Sinc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change in the circulation system centered on vehicle use to transform into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through a planned approach while introducing public mixed-use at the same time, the study supports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reorganize the strategy of a pedestrian-friendly circulation system and partially revise the land utilization to yield the expected outcomes.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valid suggestions for similar maintenance plans while looking back to the meaning and value of today's campus core.

Applying scheduling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network equipment network subsystem (네트워크 장비 성능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스케줄링 기법 적용)

  • Bae, Byoungmin;Kim, MinJung;Lee, GowangLo;Jung, Yu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65-67
    • /
    • 2013
  • The recent high-performance network equipment is required, and also require high network bandwidth utilization. It is a trend to develop increasingly using multi-core processors for high-performance network servers.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network sub-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ore as a way to improve these high-performance and high network throughput. In this paper, we confirm through experiments on how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optimize performance and take full advantage of multi-core by Network communication proces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multi-core processor architecture, the process of concentration, the overhead for each core, based on network traffic according to the interrupt affinity in this process to determine the optimal core to give. The experiments were implemented in the Linux kernel, and experiments to improve the network throughput up to 30%, bringing reduces the Linux communication proces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or overhead of up to 10%.

  • PDF

Process Scheduling for High-Performance Network I/O Virtualization over Multicore Systems (멀티코어 시스템에서 고성능 네트워크 I/O 가상화를 위한 프로세스 스케줄링)

  • Kim, Jong-Seo;Jin, Hyu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a
    • /
    • pp.520-523
    • /
    • 2011
  • 가상화는 하나의 컴퓨팅 노드에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구성하여 서버의 자원 활용률을 높여주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멀티코어 기반의 전가상화(Full Virtualization) 환경에서 네트워크 I/O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는 미비하다. 또한 기존의 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은 통신을 수행하는 게스트 도메인의 프로세스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해주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I/O 가상화를 위한 통신 프로세스의 동적 스케줄링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프로세스 친화도 결정 기법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I/O 가상화에 특화된 제안 기법은 전가상화 VMM(Virtual Machine Monitor)인 VirtualBox를 대상으로 구현되었으며, 성능 측정을 통하여 네 개의 가상 머신을 적용하였을 경우 기존 리눅스 스케줄러 대비 총 네트워크 사용량을 약 97% 상승 시킴을 보인다.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메모리 소자에서 쉘의 유무에 따른 전도도 특성 및 전하수송 메커니즘

  • Yun, Dong-Yeol;Ryu, Jun-Jang;Kim, Tae-Hwan;Kim,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00.1-300.1
    • /
    • 2014
  • 유기물 박막에 나노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전자 소자는 낮은 소비 전력, 낮은 공정 가격, 그리고 높은 기계적 휘어짐이 가능하기에 차세대 전자 소자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친환경 소자를 지향하는 현대 기술에서 환경 친화적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를 이용한 나노복합체는 차세대 전자 소자 중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연구에서 뛰어난 소자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큰 관심을 받고 있으나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쉘의 유무에 따른 전도도 특성 및 전하수송 메커니즘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indium-tin-oxide가 코팅된 polyethylene terephthalate 기판 위에 CuInS2 (CIS)-ZnS 친환경 코어-쉘 나노입자가 poly (methylmethacrylate) (PMMA) 안에 분산된 박막을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여 ZnS 쉘이 전기적 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 하였다. CIS-ZnS 코어-쉘 나노입자에서 ZnS 쉘이 없어도 메모리 소자의 전류-전압 특성에서는 높은 전도도 (ON)와 낮은 전도도 (OFF) 상태가 존재하는 전류 쌍안정성 동작을 보이지만, ZnS 쉘의 유무에 따라 ON/OFF 비율 차이를 보여 전도도 특성이 다름을 관측 하였다. 반복된 전계적 스트레스에 의한 전도도 상태 유지 능력 측정을 수행하여 ZnS 쉘의 유무에 따른 소자의 전도도 안정성 능력을 관측하였다. 측정된 전기적 특성을 기반으로 PMMA 박막 안에 분산된 CIS-ZnS 코어-쉘 나노입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 ZnS 쉘의 따른 전도도 특성 및 전하수송 메커니즘 특성을 설명하였다.

  • PDF

인체친화적 $CuInS_2$-ZnS 코어-쉘 나노입자가를 포함한 Poly(methylmethacrylate) 박막을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대한 전기적 안정성

  • Yun, Dong-Yeol;Kim, Tae-Hwan;Kim, Seong-U;Kim,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36-336
    • /
    • 2012
  • 유기물/무기물 하이브리드 나노 복합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비휘발성 유기 메모리 소자는 공정의 간편성과 휘어짐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좋은 전기적 성능을 갖는 소자에 포함되는 나노 입자는 독성을 가지거나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인체진화적이며 가격이 저렴한 나노입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대한 전기적 성능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친화적 $CuInS_2(CIS)$-ZnS 코어-쉘 나노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poly (methylmethacrylate) (PMMA) 박막을 사용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여 전기적 성능과 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인체친화적 CIS-ZnS 나노입자를 포함한 PMMA 용액을 Al 하부전극을 가진 p-Si (100) 기판 위에 스핀코팅 방법으로 균일하게 도포 하였다. 남아 있는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열을 가해 CIS-ZnS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PMMA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CIS-ZnS 나노입자를 포함한 PMMA 박막 위에 금속 마스크를 사용하여 Al 상부전극을 열 증착 방법으로 형성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완성하였다. 정전용량-전압 (C-V) 측정을 하여 평탄 전압 이동을 관찰하였고, CIS-ZnS 나노입자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 나노입자가 없는 PMMA 박막을 갖는 소자를 제작하여 동일한 조건에서 C-V 측정을 하였다. 소자의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탄 전압-유지 시간 (Vth-t) 측정을 수행하였다. Vth-t 측정은 CIS-ZnS 나노입자가 전하 포획 장소로 사용할 수 있는 것과 전기적 안정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V와 Vth-t 측정결과 및 에너지 대역도를 사용하여 CIS-ZnS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PMMA 박막을 포함한 나노 복합체를 사용하여 제작한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서 전하수송 메커니즘을 설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