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 통합생산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 Evaluation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CIM) System Using Fuzzy Set (퍼지 집합을 이용한 컴퓨터통합생산(CIM)시스템의 평가)

  • 피수영;김국보;정환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7.11a
    • /
    • pp.134-140
    • /
    • 1997
  • 자동화기술 및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전 등의 환경 변화에 따라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생산 시스템 구현의 필요성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통합생산(CIM)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제안 요구서에 따라 각 업체에서 제안한 업체별 구현방법을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퍼지집합을 이용한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의 업체별 평가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n Evaluation of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CIM) System Using Fuzzy Set (퍼지 집합을 이용한 컴퓨터통합생산(CIM) 시스템의 평가)

  • 김국보;피수영;정환묵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7 no.2
    • /
    • pp.79-86
    • /
    • 1997
  • As envirc~nmental changes occur radically (unpredictabl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automatic technology) the necessity of the CIM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manufacturing fiel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method using the Fuzzy set and conventional technology (which is composed of both a proposal from t.he RFP and knowlodge expertise) to constract the successful CIM.

  • PDF

생산정보의 통합 활용을 위한 특징형상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

  • 노형민;이충수
    • ICROS
    • /
    • v.3 no.1
    • /
    • pp.60-65
    • /
    • 1997
  • 본 고에서는 생산정보 처리 기술 중에서, 컴퓨터 이용설계와 공정설계(CAPP) 분야에서의 생산정보 통합 활용에 필요한 특징형상과 부품 관련 생산정보 통합 활용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설계라는 두 가지 경우에 국한하여 생산정보를 통합 활용하려는 연구 결과를 정리한다. 즉 밀링 가공 공정을 대상으로 "지적 공정설계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얻은 50개의 특징형상과, "S사 금형공장 생산관리 시스템 개발" 과제를 통해 얻은 데이터베이스 설계 방법이 정리되어 있지 않고 CAD/CAPP 통합 및 생산관리 시스템 구축이라는 일부 예에 불과하나, 새로운 연구 분야인 생산정보 통합 기술의 정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술의 정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Product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ivity Enhancement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산 관리 시스템)

  • 김영진;오삼권;임기욱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322-325
    • /
    • 2001
  • 기업 내 관련 업무 및 조직의 유기적 연결을 통한 원활한 정보의 흐름은 생산성의 증대에 많은 영향을 주며 기업의 경쟁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개발에서부터 설계,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활용하여 기업의 업무 흐름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업 내 업무의 성격 및 규모, 어플리케이션 튜닝 등의 충분한 검토가 수행되지 않은 컴퓨팅 시스템은 개발비용의 부담과 더불어 시스템의 성능을 오히려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논문은 생산 제조 업체의 업무의 성격과 환경에 적합하고 업무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생산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컴퓨터 통합생산자동화(CIM)기술의 산업적 의미와 연구개발 사례

  • 김상국;강무진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1
    • /
    • pp.9-16
    • /
    • 1990
  • CIM기술은 기업체 지원형 및 국산화형 생산기술과 더불어 필수적이고 상호 보완적인 산업기술이 고 또한 첨단제품기술 및 원천과학기술과의 연계가 가능한 접속(interface) 기술이다. 동시에 이의 연구개발은 다분야 공동참여적인 (multi-disciplinary) 기술적 배경을 필요로 하며 산업계 연구 수 행과 종속적이고도 이원적인 연구 체제가 필요하다. CIM기술개발의 예로서 제품 설계에서부터 설계의 해석 및 평가, 금형 설계, 공장 설계, 가공, 사상 및 측정. 검사까지의 과정과 생산통제를 포함하는 제반 생산 행위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산 정보를 통합 제어함으로써 합리적인 금형 생산을 위한 사출 금형의 모델 플랜트를 소개하였다. 이 모델 플랜트는 설계, 공정 설계/NC, 연마, 측정. 검사, 시스템 통제의 5개 스테이션으로 구성되며, 각 스테이션에서의 중단위 통합 모델이 테스트되었다. 향후, 스테이션 간의 정보 흐름이 완전히 통합되면 금형업체는 물론 많은 제조업체에서의 광범위한 CIM기술 활용이 기대된다.

  • PDF

자동화 공정내의 워크스테이션 제어기 통신 소프트웨어 개발

  • 도성희;박경진;강무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256-269
    • /
    • 1991
  • 컴퓨터 통합 생산(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기술은 재래적 개념으로 생산의 3대 요소인 토지(Land), 노동(Labor), 자본(Capital)이외에 정보(Information)의 요소를 추가로 활용하여 설계, 가공과 조립, 검사, 저장 및 운반, 그리고 생산 관리간의 정보교환을 통합적으로 제어, 응용함으로써 전 생산 공정의 컴퓨터를 통한 자동화를 구현한 이래 총체적 최적 생산을 추구하는 생산 형태로 서 종래의 개념으로서는 양립된 생산성(Productivity)과 유연성(Flexibility)을 동시에 얻고자 하는 첨단 생산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나름대로의 전략을 수립 하여 어느정도 보편화 되어있는 기기들의 공정 제어(Process Control)및 통신에 관해 연구하고 이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제작하고 실험을 거쳐 검증하려 한다. 초기 단계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Personal Computer, PC)상에서 프로그램의 실험을 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중작업 오퍼레이팅 시스템(Multi-Task Operating System)으로 의 전이를 꾀할 것이다.

공장 자동화에서의 PC 이용

  • 남정곤;김학성;김남현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S1
    • /
    • pp.11-15
    • /
    • 1990
  •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퍼스널 컴퓨터의 등장으로 공장 자동화의 이러한 추세는 점차 진 행 및 고도화되어 가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컴퓨터 통합 생산(CIM :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방식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글에서는 금성 소프트웨어(주) 생산자동화 시스템실 및 산업자동화 시스템실에서 개발된 퍼스널 컴퓨터를 이용한 공장 자동화 프로젝트 실 제 사례들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공장 자동화에서의 퍼스널 컴퓨터 사용 추세를 전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