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 재량 활동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제안 - 재량.특별활동시간에 비주얼베이직언어를 중심으로 -

  • Mun, Oe-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4
    • /
    • pp.595-606
    • /
    • 2005
  • 7차교육과정에서의 초등 컴퓨터교육은 재량활동시간 또는 특별활동시간에 단순한 응용프로그램(워드프로세서, 엑셀, 파워포인트 등)을 활용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검색 수준이다. 따라서, 문제해결 능력이나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는 미흡하다. 인지능력이 뛰어난 초등학교 5, 6학년에는 이러한 컴퓨터 활용방법 교육보다 컴퓨터 기초원리 또는 프로그래밍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교육을 재량 특별활동 시간에 학년별(5, 6학년) 또는 통합학년으로 학습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교육과정 60차시 분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한 교육과정은 교수 및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얻은 기초자료를 참조하였다. 제안한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5, 6학년에 적합하고 우수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일부 차시의 교육과정으로 5, 6학년을 대상으로 재량활동시간에 직접 교수 학습한 후 자기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 제안한 교육과정이 적합성과 우수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relation to the Revised Curriculum - Focused on discretional activities - (2007 개정교육과정 관련 초등컴퓨터교육 실태 분석- 충북지역의 재량활동을 중심으로 -)

  • Choi, Kyeong-Suk;Jo, Mi-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17-23
    • /
    • 2009
  • 2009년부터 초등학교 1, 2학년에 적용된 '2007 개정교육과정'의 재량활동 컴퓨터교육이 필수에서 선택으로 바뀌고, 범교과 차원의 독서교육, 환경교육, 통일교육, 보건교육 등이 재량활동에서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컴퓨터교육이 어려움을 맞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충청북도 초등학교 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컴퓨터교육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정교육과정에서 바뀐 컴퓨터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며, 컴퓨터전담교사 배치 및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량활동을 통한 컴퓨터교육은 반드시 필요하고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An Analysis of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Textbook among ICT Skill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생의 ICT 활용 기능과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 분석)

  • 임화경;김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80-282
    • /
    • 2004
  • 초등학교에서 재량활동인 컴퓨터 교재의 내용은 ICT 소양교육을 중점으로 기능 교육(한글, 파워포인트, 윈도우, 통신 등)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이미 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정보화 시스템에 익숙하여 컴퓨터를 다루는 기능은 교재의 수준을 상당히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의 내용에 변화가 필요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초등컴퓨터 재량활동 교재인 '즐거운 컴퓨터'의 내용과 부산광역시 4, 5, 6학년 초등학생들의 ICT 활용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ICT 기술능력이 컴퓨터 교재의 내용을 앞서고 있음을 보이고 향후 교재내용의 변화가 있어야함을 보인다

  • PDF

Problems and Improving Measures for Computer Curriculum for the Application of Independen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독립교과 적용을 위한 현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고찰)

  • Lee, Mi-Sook;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41-50
    • /
    • 2005
  • 우리나라에서 컴퓨터 교과는 아직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교과로써의 체계마저도 불분명하다. 지금까지 학교 컴퓨터 교육은 정보통신기술교육이라는 이론으로 양적 팽창에만 치중해 왔으며 초등학교에서는 재량 활동으로 컴퓨터 교육을 의무화 하고 있지만 그 학습 내용은 교사의 재량에 의해 편중되는 경향을 보여 국민공동기본교육의 목적에 충분히 부합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컴퓨터 교육의 효율성을 증대하고자 초등학교에서 컴퓨터를 독립교과로 적용할 것을 제안하기 위한 사전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컴퓨터 교육을 정보통신기술교육의 교육과정, 컴퓨터 재량활동, 실과의 컴퓨터 관련단원으로 분석 대상을 나누어 문제점 알아보고, 교사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태 조사를 동해 이를 검증하였으며,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과 비교하고 교사와 아동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현실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for Substantial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Discretion Activity (재량활동을 통한 초등 컴퓨터 교육 내실화 방안)

  • Oh, Pill-Woo;Kim, Yong-Beom;Kim, Myeong-Ryeol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4
    • /
    • pp.15-23
    • /
    • 2006
  • The current 7th Curriculum require elementary students to participate in an independent computer education class one time per week through means of discretion activity. However a national standard of this educational process has yet to be established, which has made regional provincial and city offices of education to choose textbooks for this purpose by discretion, that showed difference in quality, in operating education curriculums related to computer education for each classes in school such as continuing the repetitive contents without any rank or system. Also informatization education, which is one of national policies, might develop educational unbalance to young children who are to become the main characters in the future information society, due to excessive emphasis on aspect of using computer, which develops education mainly based on learning functions of applicable software. Therefore, we are proposing a discretion activity education curriculum model for utilization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hich is showing regional difference based on former studies.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ubstantiating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 PDF

The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for the Advance of the Creativity through the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in the Elementary School - In priority of third & fourth year students -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컴퓨터 재량 활동 교재 개발 - 3, 4학년을 중심으로 -)

  • Kim, Jong-Hoon;Oh, Jung-Chul;Kim, Jong-Ji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5
    • /
    • pp.21-31
    • /
    • 2007
  •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ave run the ICT grounding and utilization education following 'the management guide for the ICT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2000.8.2). However, there is the Management Guide only without specific practical methods. By this reason, schools have the difficulties to enforce the ICTE curriculum.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computer discretion activity textbook(two step) based on 'the management guide for the ICT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2005.12) for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information utilizing ability.

  • PDF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재량활동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김정수;박기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20-723
    • /
    • 2004
  • 현대 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교육을 위해 정보 인프라 구축에 심혈을 기울이고 교육의 다양화 첨단화를 추구하여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는 교육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 정보화 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위해 정보화 교육의 중요성을 한층 더 강조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교육정보화 사업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초등학교에서는 컴퓨터 교육에 대한 정확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재량활동, 특별활동, 특기·적성교육, 실과교과의 일부분으로 컴퓨터 교육을 실시함에 따라 마땅한 컴퓨터 교재와 학생들의 수준별 학습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체계적인 컴퓨터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웹 기반 교수-학습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고 학습자에게 학습과정에 대한 자기 평가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인식과 주도성을 증진시키고, 수준별 학습을 할 수 있는 올바른 교육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Computer Teaching -Learning Model through Analysising Other Subject Teaching-Learning Model (타교과 수업모형 분석을 통한 컴퓨터교과 수업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Lee, Kwang-Woo;Han, Sun-K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102-110
    • /
    • 2004
  •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을 재량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필수적으로 36시간 이상의 수업을 하도록 전장하고 있다. 이에 각 시 도에서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도 나와 있다. 그러나 컴퓨터 내용학에 관한 교수 모형은 타 교과에서 만들어진 것을 차용하거나 컴퓨터 교과에 무리하게 적용한 것이 대부분이라 하겠다. 또한 컴퓨터 내용학보다는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기능 위주의 교육 내용 편성이 대부분이라 내용학을 다루는 것은 극히 일부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내용학의 교수 모형을 제시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내용학을 가르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한 현재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에 연연하고 있는 재량 활동 시간의 정보통신교육보다는 앞으로 정규교과목으로 지정될 것을 전제로 컴퓨터 내용학을 중심으로 한 교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창의성 측정이 가능한 초등 컴퓨터 교과서의 평가 문항 개선

  • 황국환;이재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99-208
    • /
    • 2003
  • 현대사회를 지식 정보사회라고 한다. 정보 매체인 컴퓨터의 등장은 모든 분야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그 변화는 계속되고 있다. 교육의 분야도 예외가 아니다. 업무처리와 학생지도에 컴퓨터가 도입되면서 능률적인 일처리와 다양한 방법의 학습지도가 가능하게 되었다. 초등 컴퓨터 교과가 재량활동의 교과로 선정되면서 컴퓨터 교과에 대한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방법의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모든 교육활동에 있어 평가라는 부분을 그 교육활동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아주 중요한 부분이다. 초등 컴퓨터 교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평가 방법을 살펴보고, 각 단계별 영역별 내용에 따른 평가 예시를 하였다.

  • PDF

A Study for Improvement of Computer Literacy using Peer Tutoring on the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재량 활동에서 동료교수를 통한 컴퓨터 소양 능력 신장 연구)

  • Jeong, Eun-Ah;Kim, Yun-Shin;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74-82
    • /
    • 2004
  • 컴퓨터 소양 교육은 학교가 안게 된 하나의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컴퓨터 소양 교육은 그 교과 내용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습자간의 준비도의 편차가 심하다. 준비도 격차가 큰 학습 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동료 교수법을 적용해 보았다. 동료 교수법이란 선행 학습자가 후행 학습자를 도와주고, 후행 학습자 역시 선수 학습자를 조력하는 역할을 하는 방법이다. 동료 교수 학습의 기본적인 과정은 '짝 정하기', '역할 정하기', '과제 제시 및 수행', '역할 바꾸기', '피드백'의 순이다. 동료 교수에 적합한 단원을 선정하여 학교재량활동 시간에 지도함으로써 컴퓨터 소양 능력 이외에도 사회성과 책임감, 의사 소통능력, 목표 의식 등에 전반적인 향상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