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컴퓨터 단층 촬영술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6초

정상견에서 다중채널 컴퓨터단층촬영술을 통한 폐용적과 밀도의 평가 (Evaluation of Total Lung Volume and Density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in Normal Dogs)

  • 최호정;이기자;최수영;이정우;한우석;이인;권영항;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0-515
    • /
    • 2011
  • 개에서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하여, 촬영 자세에 따른 정상 폐의 용적과 밀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각각 6 마리의 페키니즈견과 말티즈견에서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면서 자세를 앙와위, 좌측과 우측 횡와위, 그리고 흉와위로 변경하였다. 컴퓨터단층촬영을 실시하는 동안 일정한 정도의 양압환기를 실시하였다. 폐용적과 밀도는 CT 영상의 삼차원 재구성 방식을 통해 측정하였고, 전체 폐용적 및 밀도, 좌측과 우측 폐의 용적과 밀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삼차원 재구성 결과 폐의 모양은 두 품종견에서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폐용적과 밀도는 촬영 자세를 변경하는 동안 두 품종견에서 모두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오른쪽 폐용적이 왼쪽 폐에 비해 유의적으로 약 $66.91{\pm}25.1$ ml 만큼 컸다. 페키니즈 견과 말티즈 견의 체중 차이가 유의적이었으며, 체중과 흉와위로 촬영한 폐용적 간에 선형관계가 관찰되었다. 좌우측 횡와위 촬영에서 중력의 영향을 받는 쪽의 폐는 반대쪽 폐에 비해 밀도는 높고 용적은 감소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으로 측정한 전체 폐용적은 폐밀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폐밀도가 정상 폐용적을 유추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복부 대동맥에 발생한 혈관 내막 육종 의증 - 1예 보고 - (Suspected Intimal Sarcoma in the Abdominal Aorta -A case report-)

  • 최은석;김경환;최진호;이재항;황호영;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204-207
    • /
    • 2010
  • 68세 남자 환자가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심혈관 조영술에서 삼 혈관 질환이 발견되어 관상동맥 우회술을 계획하였다. 수술 전 검사로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 조영술에서 신동맥하 복부 대동맥부터 양측 총장골동맥에 걸친 거미줄 모양의 혈관 내 종괴가 발견되었다. 대동맥내 혈관 내막육종을 의심하고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는 관상동맥 우회술과 함께 신동맥하 복부 대동맥과 양측 총장골동맥을 절제 후 치환하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병리검사 소견에서 대동맥 내 병변은 혈관 내막 육종이 의심되었다. 수술 후 3개월에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 혈관 조영술에서 잔존 또는 재발의 증거는 없었다.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확장된 하행대동맥에 의한 좌측 주기관지 협착 (The Compression of Left Main Bronchus Caused by Dilated Descending Aorta After Ligation of PDA)

  • 강정한;박영환;윤영남;김부연;김시호;홍유선;조범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74-977
    • /
    • 2000
  • 유아에서 흔치 않지만, 선천적 혹은 후천적 원인으로 혈관에 의해 기도가 눌릴 수 있다. 8개월 남자 환아가 승모판 성형술,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좌측 폐의 무기폐가 발생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남은 비대해진 하행대동맥에 의해 좌측 폐의 무기폐가 발생하였다.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동맥관 개존증 결찰 후 남은 비대해진 하행대동맥에 의해 좌측 주기관지가 눌리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결찰 부위를 완전히 분리하고 하행대동맥을 봉합하여 크기를 줄여 기관지 압박을 해결할 수 있었다. 술 후 환자는 특별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으며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 PDF

초기 허혈성 대퇴골두 괴사증을 보이는 개에서 임상학적, 수술적, 방사선학적, 컴퓨터단층촬영, 조직학적 소견 (Early Stage Legg-Calve-Perthes Disease in a Dog: Clinical, Surgical, Radiological, Computed Tomography and Histological Findings)

  • 탁민애;윤헌영;정순욱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66-370
    • /
    • 2013
  • 7개월령 암컷 포메라니안견이 오른쪽 후지 파행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내원시 신체 검사에서 오른쪽 대퇴 관절을 신장하였을 때 통증을 호소하였고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오른쪽 대퇴골두에 미약한 방사선 투과성 병변과 오른쪽 대퇴관절 공간의 확장을 확인하였다. 14일 후 일반 방사선 사진에서 오른쪽 대퇴골두 골단의 변위를 확인하였고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오른쪽 대퇴골두에 저음영의 병변과 골절선을 확인하였다. 오른쪽 대퇴골두 절제술을 실시하였고 조직학적 검사에서 골두 골간단과 골단의 괴사를 확인하였다. 본 증례는 초기 허혈성 대퇴골두 괴사증이 있는 개의 방사선학적, 컴퓨터단층촬영, 수술적, 조직학적 소견을 기술하였다.

술자의 영상정합의 경험이 컴퓨터 단층촬영과 광학스캔 영상 간의 정합 정확성과 작업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age matching experience on the accuracy and working time for 3D image registration between radiographic and optical scan images)

  • 마이항나;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99-304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단층촬영과 광학스캔 영상의 정합에서 술자의 경험이 정합의 정확성과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치아결손이 없은 성인 악궁의 컴퓨터 단층촬영과 광학스캔 영상(IDC S1, Amann Girrbach, Koblah, Austria)이 수집되었다. 두 영상간의 영상정합이 임플란트 진단 소프트웨어(Implant Studio, 3Shape, Copenhagen, Denmark)에서 점 기반 자동매칭 방식으로 행해졌다. 영상정합 경험자 군과 미경험자 군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작업시간이 기록되었다(군당 15명). 각 군의 영상 정합 정확성은 구치부에서의 선형 오차값으로 측정되었다. 정확성 값과 작성시간의 통계적 비교 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0.05에서 독립표본 t검정이 이용되었다. 결과: 영상정합의 선형오차값은 경험자 군과 미경험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상정합에 소요한 시간은 경험자 군이 미경험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 = .007). 결론: 술자의 영상정합의 경험의 차이는 점 기반 자동정합이 사용된 경우 정합 정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경험자에서 정합에 소요된 시간은 짧았다.

컴퓨터단층촬영술을 이용한 수술 후 편측 성대마비의 진단보고 (Finding Report of Unilateral Vocal Cord Paralysis Using Computed Tomography)

  • 김민수;성현호;강성식;손희정;김태형;정유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5호
    • /
    • pp.505-509
    • /
    • 2018
  • VCP (Vocal Cord Paralysis) is rare but one of most serious complications related to endotracheal intubation. This report is a clinical experience of radiography and laryngeal EMG (Electromyography) assessment for the VCP. A 50-year-old woman with hoarseness, which was occurred after urethral diverticulum excision was examined by laryngoscopy. As a result of laryngoscopy, VCP was observed in left side of her vocal cord, and then recurrent laryngeal nerve damage was detected with additional CT (Computed tomography) scan and laryngeal EMG. After that, the vocal cord movement was recovered as normal state with regular conservative treatment for the 6 months.

흉부 방사선 촬영과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폐염전의 진단 4례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in Four Dogs with Lung Lobe Torsion)

  • 이기자;최성진;김영환;정인성;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90-393
    • /
    • 2013
  • 폐염전으로 진단한 소형견 4 마리의 흉부 방사선 사진 및 컴퓨터단층촬영 (CT) 영상을 평가하였다. 흉수 및 폐염전이 발생한 폐엽의 밀도 증가는 4 마리 환자의 흉부 방사선 사진 및 CT 영상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폐염전이 발생한 기시부에서의 기관지의 협착/허탈은 CT 영상을 통해 4 마리의 개에서 모두 확인된 반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는 오직 1 마리의 환자에서만 확인되었다. 폐포성 폐기종 패턴 (vesicular emphysema pattern) 역시, CT 영상을 통해 4 마리의 환자에서 모두 확인된 반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는 3 마리에서 관찰되었다. 폐염전의 특이소견은 폐포성 폐기종 패턴과 폐염전이 발생한 폐엽 기시부의 기관지의 협착/허탈이며, 이 소견은 흉부 방사선 사진보다 CT 영상을 통해 좀 더 용이하고 빈번하게 확인되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 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심하복벽 혈관과 천공지의 박리 용이성에 따른 분류 (Classification of Deep Inferior Epigastric Perforator Courses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Incide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 이연훈;김성찬;엄진섭;김은기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281-289
    • /
    • 2018
  • 목적: 우리는 미세혈관 유방 재건술 수술 계획에 참고하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 CT)혈관 조영술을 이용하여 심하복벽혈관과 천공지의 주행을 세부 유형으로 나누어 보고 영상 및 임상 소견의 상관성과 각 유형의 빈도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하복부 조직을 이용한 유방 재건을 받은 연속한 115명의 환자를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심하복벽동맥과 천공지를 주로 근육 내 주행의 특징에 따라 박리하기 용이한 것과 박리에 곤란한 것으로 특징짓고 각각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확인된 425개의 천공지 중 89개(20.9%)의 천공지는 박리에 용이한 주행을 하였으며 긴 근육 아래 주행(34.8%), 긴 근막 아래 주행(15.6%), 근육 주위 주행(13.9%)이 그에 속하였다. 반면 심하복벽동맥이 없거나 적절한 천공지가 조영되지 않는 경우가 3예와 8예에서 보고되었다. 총 65명(56.5%)의 환자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박리가 용이한 천공지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수술 전 CT 혈관 조영술을 통하여 심하복벽동맥과 천공지의 주행을 분석하여 박리에 용이한 유형과 곤란한 유형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수술 계획의 수립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Anatomic Study on the Lacrimal Duct using Computerized Tomograph

  • 정필훈;이의룡;홍종락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09-112
    • /
    • 2002
  • 구순 구개열 환자의 악교정 성형수술로 구강내 Le Fort II 골절단술이나 비중격 성형술이 많이 이용되는데, 이때 비골의 외측골절단술을 요하며, 이에 대한 술 후 합병증으로 비루관의 폐쇄나 비골의 분쇄골절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악안면기형 환자를 다루는 구강악안면외과의사에게 비루관의 웅용해부학적 연구는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합면을 기준으로 촬영된 컴퓨터 단충 촬영에서 비루관의 위치와 크기를 조사하는데 있다. 2000년 7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구강악안면방사선과에서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한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비상악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최단거리와 비루관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을 측정하였다. 우측비상악 봉합선에서 비루관까지의 거리는 5.68mm이고, 좌측은 5.67mm였다. 좌우 및 성별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의 해부학적 지견은 악기형 수술시의 비루관 폐쇄라는 합병증의 예방책으로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