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컴퓨터 단층 영상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초

Image texture feature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 전이 예측 머신러닝 모델 연구 (Study of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non-small cell lung cancer metastasis using image texture feature)

  • 주혜민;우상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13-31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18F-FDG PET과 CT에서 추출한 영상인자를 이용하여 비소세포폐암의 전이를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생성하였다. 18F-FDG는 종양의 포도당 대사 시 사용되며 이를 추적하여 환자의 암 세포를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의료영상 기법 중 하나이다. PET과 CT 영상에서 추출한 이미지 특징은 종양의 생물학적 특성을 반영하며 해당 ROI로부터 계산되어 정량화된 값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의료영상으로부터 image texture 프절 전이 예측에 있어 유의한 인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AUC를 계산하고 단변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PET과 CT에서 각각 4개(GLRLM_GLNU, SHAPE_Compacity only for 3D ROI, SHAPE_Volume_vx, SHAPE_Volume_mL)와 2개(NGLDM_Busyness, TLG_ml)의 image texture feature를 모델의 생성에 사용하였다. 생성된 각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accuracy와 AUC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 random forest(RF)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가장 높았다. 추출된 PET과 CT image texture feature를 함께 사용하여 모델을 훈련하였을 때가 각각 따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예측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추출된 영상인자가 림프절 전이를 나타내는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의료 영상을 기반으로 한 비소세포폐암의 치료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유방암 환자의 수술 전 유방 MRI에서 우연히 발견된 유방 외 소견: 임상화보 (Incidental Extramammary Findings on Preoperative Breast MRI in Breast Cancer Patients: A Pictorial Essay)

  • 류진아;김신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372-385
    • /
    • 2023
  • 유방암은 여성에서 가장 흔한 암이며, 많은 합병증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오늘날 자기공명영상촬영(이하 MRI)은 유방암 수술 전 검사에서 필수적인 방법이다. 유방 MRI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면서 우연히 발견되는 유방 외 소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임상 화보에서는 유방 MRI 촬영에서 발견된 종격동, 폐, 상복부, 뼈 및 연조직 등의 다양한 유방 외 소견을 초음파(ultrasonography),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이하 CT), 간 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 스캔(PET/CT), 뼈 스캔(bone scan) 등과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컴퓨터단층촬영 유도 경피적 바늘 생검 이후에 발생한 혈종으로 채워진 기종: 두 건의 증례 보고 (Hematoma-Filled Pneumatocele after CT-Guided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Lung Biopsy: Two Case Reports)

  • 강세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311-317
    • /
    • 2023
  • 컴퓨터단층촬영 유도 경피적 바늘 생검은 폐 이상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이지만 기흉, 출혈, 객혈, 공기 색전증 및 종양 파종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시술 후 발생한 기종에 대한 증례 보고는 드물다. 저자들은 원발성 폐암의 경피적 바늘 생검 직후 발생한 기종 2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시술 후 단기 추적검사 컴퓨터단층 촬영에서 바늘 경로를 따라 새로 생긴 결절의 경우 혈종으로 찬 기종을 의심해야 한다.

부갑상선: 부갑상선 영상에 익숙하지 않은 영상의학과 의사들을 위한 전반적인 검토 (The Parathyroid Gland: An Overall Review of the Hidden Organ for Radiologists)

  • 김수호;신정희;한수연;김해정;김명경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327-344
    • /
    • 2024
  • 부갑상선은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 이하 PTH)을 생성하여 칼슘 대사를 조절하는 작은 내분비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갑상선 뒤에 4개의 부갑상선이 위치해 있으나 개수 또는 위치는 개인차가 있으며 4개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들이 있다. 부갑상선 질환은 부갑상선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부갑상선 자체의 문제 또는 신장질환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혈청 칼슘 수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최근 건강검진이 보편화되면서 우연히 비정상적으로 높은 혈청 칼슘 값이 발견되어 PTH 검사, 초음파, 테크네튬-99m 세스타 미비 부갑상선 스캔,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SPECT/CT), 4차원 컴퓨터단층촬영(4D-CT), 그리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컴퓨터단층촬영(PET/CT) 등의 추가적인 검사가 시행된다. 그러나 부갑상선은 여전히 영상의학과 의사에게 익숙하지 않은 기관이다. 이 종설에서 부갑상선의 해부학, 병태생리, 영상 및 임상 소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술자의 영상정합의 경험이 컴퓨터 단층촬영과 광학스캔 영상 간의 정합 정확성과 작업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age matching experience on the accuracy and working time for 3D image registration between radiographic and optical scan images)

  • 마이항나;이두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299-304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단층촬영과 광학스캔 영상의 정합에서 술자의 경험이 정합의 정확성과 소요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치아결손이 없은 성인 악궁의 컴퓨터 단층촬영과 광학스캔 영상(IDC S1, Amann Girrbach, Koblah, Austria)이 수집되었다. 두 영상간의 영상정합이 임플란트 진단 소프트웨어(Implant Studio, 3Shape, Copenhagen, Denmark)에서 점 기반 자동매칭 방식으로 행해졌다. 영상정합 경험자 군과 미경험자 군으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작업시간이 기록되었다(군당 15명). 각 군의 영상 정합 정확성은 구치부에서의 선형 오차값으로 측정되었다. 정확성 값과 작성시간의 통계적 비교 분석을 위해 유의수준 0.05에서 독립표본 t검정이 이용되었다. 결과: 영상정합의 선형오차값은 경험자 군과 미경험자 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상정합에 소요한 시간은 경험자 군이 미경험자 군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 = .007). 결론: 술자의 영상정합의 경험의 차이는 점 기반 자동정합이 사용된 경우 정합 정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경험자에서 정합에 소요된 시간은 짧았다.

특발성 골격 과골증과 병발한 메이-터너 증후군의 컴퓨터단층촬영 소견: 증례 보고 (CT Findings of May-Thurner Syndrome in Diffuse Idiopathic Skeletal Hyperostosis: A Case Report)

  • 정지욱;김태은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941-945
    • /
    • 2023
  • 메이-터너 증후군은 심부정맥혈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흔하지 않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한 메이-터너 증후군 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가 아는한, 미만성 골격 과골증 환자에서 뼈곁돌기에 의한 메이-터너 증후군 사례는 영어 논문으로 보고된 바가 없다. 저자들은 특발성 골격 과골증 환자에서 발생한 메이-터너 증후군의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컴퓨터단층촬영장치와 품질관리 (Computed Tomography and Quality Management)

  • 조평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21-233
    • /
    • 2020
  • 컴퓨터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 CT)을 이용한 검사는 영상의학과에서 인체 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진단장비 중 하나로 신뢰도가 매우 높다. CT검사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 최근에는 CT를 이용한 검사 건수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검사 건수 증가는 CT장치의 노화를 촉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CT장치에 대한 품질관리(quality management, QM)의 중요성이 대두된다. 특히, CT검사에서 품질관리란 임상영상에서 영상의 질(image quality, IQ) 저하로 진단영역 축소를 초래할 수 있는 발생가능한 모든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여 교정함으로써 항상 일정 수준의 영상의 질을 유지하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진은 CT검사의 품질관리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요약하여 보고 한다.

개에서 발생한 결장 평활근종에 대한 동적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 1례 (Dynamic Computed To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Colorectal Leiomyoma in a Dog)

  • 박노운;정욱헌;한재웅;엄기동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0-204
    • /
    • 2015
  • 12년령 중성화 수컷 시추가 변비와 배변곤란 증상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상 결장이 팽대되어 있으며 천추 수준에서 연부조직밀도의 종괴가 결장을 복측으로 압박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컴퓨터 단층촬영상 종괴는 균일한 연부조직 정도의 감약성을 보이며 변연이 뚜렷하고 전이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동적 컴퓨터 단층촬영상 종괴는 촬영간 지속적인 낮은 조영증강을 보였으며 관류성 및 모세혈관 투과성은 둔부근육과 비교하여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영상진단학적 검사상 종괴는 신생혈관 발달이 약한 골반강 내 양성 종양으로 잠정진단되었다. 종괴는 둔성분리를 통한 외과적 절제로 제거되었으며 조직검사결과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다.

어깨관절 컴퓨터 단층 검사 시 발생하는 노이즈 및 줄무늬 인공물 감소에 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duction of Noise and Streak Artifacts in Shoulder Joint Computed Tomography)

  • 장현철;조평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89-194
    • /
    • 2021
  • 어깨관절 컴퓨터 단층 검사 시 발생하는 노이즈 및 줄무늬 인공물에 있어 Boost3D 알고리즘 적용을 통해 노이즈 및 줄무늬 인공물 감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어깨관절이 포함된 흉부팬텀을 이용한 팬텀 연구와 2020년 9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어깨관절 컴퓨터단층검사를 실시한 35명에 대한 어깨관절 영상을 통해 임상 평가를 하였다. 평가는 Boost3D 알고리즘 적용 전 그룹과 후 그룹으로 나누어 노이즈 값, 신호 대 노이즈 비, 평균 대 표준편차 비 값을 분석하였다. 팬텀 영상 평가 및 임상 영상 평가에서 분석한 노이즈 값 및 평균 대 표준편차 비 값 모두 Boost3D 적용 후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를 통해 Boost3D 적용을 통해 노이즈 및 줄무늬 인공물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 대 표준편차 비 값이 높게 나타나 우수한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어께관절 컴퓨터 단층 검사 시 Boost3D 알고리즘을 이용한다면 어깨관절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 및 줄무늬 인공물을 감소시킨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흉부 방사선 촬영과 컴퓨터단층촬영을 이용한 폐염전의 진단 4례 (Radi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in Four Dogs with Lung Lobe Torsion)

  • 이기자;최성진;김영환;정인성;최호정;이영원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90-393
    • /
    • 2013
  • 폐염전으로 진단한 소형견 4 마리의 흉부 방사선 사진 및 컴퓨터단층촬영 (CT) 영상을 평가하였다. 흉수 및 폐염전이 발생한 폐엽의 밀도 증가는 4 마리 환자의 흉부 방사선 사진 및 CT 영상에서 모두 확인되었다. 폐염전이 발생한 기시부에서의 기관지의 협착/허탈은 CT 영상을 통해 4 마리의 개에서 모두 확인된 반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는 오직 1 마리의 환자에서만 확인되었다. 폐포성 폐기종 패턴 (vesicular emphysema pattern) 역시, CT 영상을 통해 4 마리의 환자에서 모두 확인된 반면, 흉부 방사선 사진에서는 3 마리에서 관찰되었다. 폐염전의 특이소견은 폐포성 폐기종 패턴과 폐염전이 발생한 폐엽 기시부의 기관지의 협착/허탈이며, 이 소견은 흉부 방사선 사진보다 CT 영상을 통해 좀 더 용이하고 빈번하게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