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일반

Search Result 2,1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mathcal{K}o$-ATOMIC: Korean Commonsense Knowledge Graph ($\mathcal{K}o$-ATOMIC: 일반 상식 기반의 한국어 지식 그래프)

  • Jaewook Lee;Jaehyung Seo;Seungjun Lee;Chanjun Park;Aiyanyo Imatitikua Danielle;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12-417
    • /
    • 2022
  •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는 대규모 코퍼스에 포함되어 있는 일반 상식을 그래프로 표현하여, 자연어 처리의 하위 작업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화된 지식 표현 방법이다. 현재 가장 잘 알려진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로는 ATOMIC [1]이 있다. 하지만 한국어를 주요 언어로 하는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존재하는 영어 기반의 지식 그래프와 일반 상식 기반의 한국어 데이터셋을 활용해서 한국어 일반 상식 기반 지식 그래프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제작한 지식 그래프를 평가하여 구축하는 방법론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SRLev-BIH: An Evaluation Metric for Korean Generative Commonsense Reasoning (SRLev-BIH: 한국어 일반 상식 추론 및 생성 능력 평가 지표)

  • Jaehyung Seo;Yoonna Jang;Jaewook Lee;Hyeonseok Moon;Sugyeong Eo;Chanjun Park;Aram S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76-181
    • /
    • 2022
  • 일반 상식 추론 능력은 가장 사람다운 능력 중 하나로써, 인공지능 모델이 쉽게 모사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딥러닝 기반의 언어 모델은 여전히 일반 상식에 기반한 추론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 부족한 성능을 보인다. 특히, 한국어에서는 일반 상식 추론과 관련한 연구가 상당히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 완화를 위해 최근 생성 기반의 일반 상식 추론을 위한 한국어 데이터셋인 Korean CommonGen [1]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해당 데이터셋의 평가 지표는 어휘 단계의 유사성과 중첩에 의존하는 한계를 지니며, 생성한 문장이 일반 상식에 부합한 문장인지 측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어 일반 상식 추론 및 생성 능력에 대한 평가 지표를 개선하기 위해 문장 성분의 의미역과 자모의 형태 변화를 바탕으로 생성 결과를 평가하는 SRLev, 사람의 평가 결과를 학습한 BIH, 그리고 두 평가 지표의 장점을 결합한 SRLev-BIH를 제안한다.

  • PDF

Wired Bridge Node : Design of Complex Sensor Network Architecture Simultaneously Support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Bridge Node : 유무선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복합 센서 네트워크 구조 설계)

  • Kim, Byung-Chul;Lee, Dong-Kyu;Park, Sung-Ho;Kim, Tae-Hyon;Kang, Soon-Ju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9.04a
    • /
    • pp.1253-125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공용 주파수 대역 2.4GHz를 여러 무선 프로토콜이 사용함으로 발생하는 간섭 및 충돌에 의한 전송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일부 센서 노드들을 Wired Bridge Node로 연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Wired and Wireless MAC을 포함하는 센서 노드인 Wired Bridge Node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제안하고 이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An Analysis on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Disadvantaged student (소외계층 학생의 인공지능 교육 실태 조사)

  • Kim, Seong-Won;Kim, Youngm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235-23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교육에서 소외계층의 지원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소외계층과 일반 학생의 인공지능 교육과 관련된 여러 요인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 결과를 소외계층과 일반 학생을 비교하여, 소외계층의 인공지능 교육에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인공지능 교육 관련 실태를 조사할 수 있는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온라인을 통해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소외계층 662명과 일반 학생 1,48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소외계층은 일반 학생보다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프로그램이 언어나 피지컬 컴퓨팅을 경험한 학생 비율이 높았다. 또한, 인공지능 직&·간접적 경험의 비율은 일반 학생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인공지능 교육 경험 비율은 일반 학생이 약 20% 높았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였을 때,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인공지능 교육을 받는 학생의 비율은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Ko-ATOMIC 2.0: Constructing Commonsense Knowledge Graph in Korean (Ko-ATOMIC 2.0: 한국어 상식 지식 그래프 구축)

  • Jaewook Lee;Jaehyung Seo;Dahyun Jung;Chanjun Park;Imatitikua Aiyany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319-323
    • /
    • 2023
  •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는 대규모 코퍼스에 포함되어 있는 일반 상식을 수집하고 구조화하는 지식의 표현 방법이다.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는 코퍼스 내에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일반 상식의 형태와 관계를 모델링하며, 주로 질의응답 시스템, 상식 추론 등의 자연어처리 하위 작업에 활용할 수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로는 ConceptNet [1], ATOMIC [2]이 있다. 하지만 한국어 기반의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에 대한 연구가 존재했지만, 자연어처리 태스크에 활용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언어 모델과 프롬프트의 활용을 통해 한국어 일반 상식 기반의 지식 그래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론으로 구축한 지식 그래프와 기존의 한국어 상식 그래프의 품질을 양적, 질적으로 검증한다.

  • PDF

Test Analysis of the 「General Computer」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대학수학능력시험 직업탐구영역의 「컴퓨터 일반」 교과 문항 분석)

  • Kim, JongHye;Kim, Yong;Kim, JaMee;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6
    • /
    • pp.11-1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problems from analyzing "General Computer" questions of Career Searching Sectio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2005 and 2006 and to offer some suggestions about them.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this paper analyzed content validity. For the quantitative research, this paper analyzed item difficulty and item discrimination by using Bayesian 1.0 based on 2-parameter item response model and this paper analyzed item reliability and distracters by using Testan 1.0. By analyzing "General Computer" questions, this paper would like to improve the quality of items and estimate item difficulty. Therefore, "General Computer" questions could be suggested as materials for developing reliable and discriminative questions.

  • PDF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첨단과학정보 DB구축

  • Hwang, Il-Seon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1
    • /
    • pp.96-101
    • /
    • 2000
  • 이번에 구축되는 첨단과학분야의 DB들은 슈퍼컴퓨터를 사용해야만 하는 방대한 데이터 양을 처리해야 되거나 혹은 계산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구축되는 DB들을 일반 상요자와 연결하는 정보서비스 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개발 정보센터는 일반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정보를 One-stop으로 제공받을 수 있ㄷ록 인터넷, 관련 공공망 그리고 슈퍼컴퓨터 센터의 전국망인 HPCNat을 통한 정보서비스 계획을 고려하고 있다.

  • PDF

Error Factors for Precise Time and Measurement Method on PC (정밀 시각을 위한 오류 요소 분석 및 일반 PC에서의 측정 방법)

  • 송정애;김종성;황소영;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23-825
    • /
    • 2001
  • 일반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 이용률이나 디스크 입출력 같은 프로세스에 의해 소요되는 시간 계산이나 빈번한 스크린 갱신을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시각을 제공하는 시각 장치의 정확성과 정밀도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컴퓨터 시각 장치들의 자체 오류 요소로 인해 이런 높은 정확성과 정밀도를 요구하는 시간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각 장치의 정확성과 정밀도가 우선, 보장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시각 장치들의 정밀도를 떨어뜨리는 오류 요인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컴퓨터 시스템의 시각 장치들에서 나타나는 오류 요소들을 알아보고, 일반 PC에서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컴퓨터 기술의 발전동향과 미래

  • Baek, Gwan-H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 no.2
    • /
    • pp.3-27
    • /
    • 1987
  • 본 연구는 점차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정보사회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방법으로서, 정보기술의 핵심이 되는 컴퓨터기술의 발전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하여 그 미래상을 그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선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일반컴퓨터를 출발점으로 하여 통상적인 내용과 함께 그 한계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컴퓨터가 나타나게 되는 배경을 밝혀두었고, 컴퓨터개발의 주류인 집적도에 초점을 맞추어 그 개요를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정보처리의 고속화를 주목적으로 개발되어 점차 보급이 확장되고 있는 수퍼컴퓨터의 일반동향, 기술분야 등 관련 내용을 요약하였고, 이와 관련이 깊은 고속화의 미래 전망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두었다. 또한 제5세대 컴퓨터의 근간이 될 것으로 보이는 인공지능컴퓨터는 개발역사, 현황, 응용분야를 차례로 설명하였고, 이에 대한 개발년도, 기술분야등 전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2000년대 광자공학기술의 결정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광컴퓨터의 가능성을 개념, 역사, 기술분야, 연구활동, 발전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컴퓨터기술의 마지막 영역으로 생각되는 생물컴퓨터에 대하여는 개념, 필요성, 접근방법, 연구진행상황 등을 통하여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은 그 실체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위와 같은 내용들의 요점을 종합정리하여 컴퓨터기술분야의 장기발전에 대한 전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The Comparison of EEG Changes in Performing EEG Biofeedback Game and Ordinary Computer Game (EEG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게임과 일반 컴퓨터 게임 수행에 따른 뇌파 비교)

  • 민윤기;이강희;이방형;민변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3-57
    • /
    • 2000
  • 본 연구는 일반 컴퓨터 게임과 뇌파를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게임의 수행에 따른 뇌파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두 가지 게임을 수행하는 동안 수행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뇌파를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뇌파 게임은 수행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slow alpha파가 증가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컴퓨터 게임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로 갈수록 fast beta파가 증가하였다. 특히 이러한 변화는 F3, F2, 그리고 T4 부위에서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후속 연구는 다양한 컴퓨터 게임들을 비교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