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퓨터이용교육

Search Result 1,478,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aphic Component for Function Learning in Mathematics (수학과 함수 학습을 위한 그래픽 컴포넌트 설계 및 구현)

  • Shin, Woo-Chang;Kim, Kap-S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4
    • /
    • pp.51-59
    • /
    • 2007
  • There is the meager level of applying computers to mathematics education. It is because the effective mathematics educational softwares and the various contents that make stu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computers are insufficient. As a solution to solve it, we design and implement the graphic component, graphic entities and function types that are supported in the component was identified through analyzing the mid/high school curriculum, using a simple script language to invoke the functionality of the component improves reusability and extendability. The component can be used to produce the mathematics educational softwares and contents easily that need the facility to draw various functions and geometric figures.

  • PDF

A Study on Selection and Organization in Primary School Computer Contents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연구)

  • Joo, Dae-Seon;Han, Su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94-101
    • /
    • 2004
  • 교과목표가 설정되면 교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야 한다.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기 위해 먼저 교과목표가 설정되어야 하나 현재 컴퓨터 교과가 정식 교과로 인정받지 못해 교과목표는 재량활동 2시간 중 1시간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정보통신 기술교육의 목표를 교과의 목표로 참고하고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현재 정보통신 기술교육 시간에 사용하는 교재에는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에 관한 이론이 아주 짧게 언급되어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내용 선정과 조직의 방법을 교육학 이론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4가지 기준을 이용 컴퓨터 교육과정 계열화 도표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MBL의 활용

  • Choe Seong-Bong;Kim Sang-Dal;Lee Yong-Seop;Lee Sang-Gyu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69-174
    • /
    • 2006
  • 현대 교육은 단순한 암기 위주가 아닌 첨단 컴퓨터를 이용한 실험 실습 위주의 직접 보고 듣고 느끼는 방향으로 진보하고 있다. 실험 실습에 의한 과학교육은 사용자의 탐구능력 향상과 과학적 태도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기존의 암기위주나 단순한 수치에 의한 개념 학습을 탈피하여 Data collection 기술과 분석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가 과학을 좀 더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을 증진하게 한다. 이를 위한 과학교육의 한 방법으로 MBL(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은 실험자가 실험실이나 야외에서 각종 기구를 사용해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컴퓨터 기반 과학 실험 시스템으로서 미국, 영국 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추구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MBL 시스템의 구성은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를 컴퓨터에 전달하는 매개체인 인터페이스, 과학 실험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에 전달하는 센서, 인터페이스에서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컴퓨터 화면에 나타내어 주는 컴퓨터용 전용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MBL을 과학교육에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스스로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f Developing Teaching Material to Improve Creativity with Program Elements (프로그램 요소를 이용한 창의성 신장 교재 개발 연구)

  • Kim, Jong-Hoon;Kim, Jong-Jin;Jeong, Won H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5
    • /
    • pp.17-30
    • /
    • 2005
  • The education has changed from the memory education for knowledge to the creativity education. Education of computer has attached importance to teach the creativity. But it till now developed materials are short improvement of the creativity. Especially studies of computer program education are no more than studies of education for genius. Hereupon I developed the teaching material for elementary students with computer program elements by matters in daily life. It has 20 subject in program elements, the aim is improvement of the creativity. After I taught students with developed teaching material, prove the creativity of students has improved.

  • PDF

An Instructional Method of Computer Algorithm Concept using Elementary Mathematics Problems (초등 수학문제를 이용한 컴퓨터 알고리즘 개념에 대한 교수방법)

  • Rim, Hwakyung;Jun, Seungs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9 no.3
    • /
    • pp.109-119
    • /
    • 2006
  • Algorithm is a fundamental concept for all related research areas in computer science. Though many researches have paid attention to computer algorithm in solving applied problems,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how to effectively instruct the computer algorithm concept. This paper proposed the instructional method for the computer algorithm concept by using mathematics problems of the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We have applied our the instructional methodology to classroom, and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ology. The results show that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metho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ology.

  • PDF

컴퓨터를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의 가능성 모색

  • Jo, Han-Hyeok;An, Jun-Hwa;U, Hye-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197-215
    • /
    • 2001
  • 최근 수학적 사고력 연구가 구체적 수학내용에 기반한 활동과 조작에 대한 연구보다는 활동이나 조작을 통한 결과로 수학적 사고력에 접근하는 일회성 연구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고에서는 교육 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학교수학에서 아동들이 어떤 수학적 사고를 하는데 장애을 겪는지에 주목하여,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는 것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대수에서는 문자도입에 따른 추상적 상징의 수용과 이용부분에서, 기하에서는 논증기하의 증명도입과정에서 형식적, 연역적 사고 시작으로 아동이 수학적 사고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사살에 주목하였다. 특히 논증 기하의 연역적, 형식적 증명은 논리와 추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논리와 추론은 고등학교 1학년과정 집합과 명제부분에 들어있어 아동은 논리와 추론에 대한 어떤 경험도, 교육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증명을 하게 된다. 이에 교육 내용으로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을 위해 가장 필요한 내용이 논증 기하가 도입되기 이전에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한 논리와 추론교육이라고 본다. 또한 교육 방법으로는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공학적 접근을 하고자 하였다. 교육공학적 접근이 적극 권장되는 교육적 현실과 정규교육과정에서 이를 받아들일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음을 감안하여, 교과 내용과 연계된 컴퓨터 교육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에 논리 및 추론 교육은 컴퓨터 교육으로 초등학교의 특기적성 시간이나 정규수업 시간에 이용할 것을 제안한다. 논리와 추론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답으로 논리와 추론교육에 적합한 수학적 내용으로 크게 이산수학과 중등 기하의 초등화하여 탐구하도록 하는 내용을, 교육 방법 측면에서는 논리와 추론 교육을 위한 LOGO 기반 마이크로월드를 설계, 이용하여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여기까지가 수학적 사고력을 위한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라면 후속연구로 이러한 가능성을 실험연구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Degree on The Relations of Studies Achievement Improvement Effect through Computer Utilization Skill Improvement (컴퓨터활용능력향상을 통한 학업성취도 향상효과의 관계 연구)

  • Ko, Eun-Bok;Kim, Jong-Wo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158-163
    • /
    • 2006
  • 컴퓨터 보급률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정보의 공유나 교환이 매우 쉬운 웹의 특성을 이용하여 초등학생들도 학습문제를 해결하는데 컴퓨터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게임과 채팅 등 오락 중심의 주된 사용은 컴퓨터를 올바르게 사용하고 있는지에 의문을 갖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터활용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대상 학습자별로 개별적 주기적으로 시행하였다. 그 후, 컴퓨터활용능력의 향상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향상 여부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 PDF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과정 모델 제안 - 재량.특별활동시간에 비주얼베이직언어를 중심으로 -

  • Mun, Oe-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4
    • /
    • pp.595-606
    • /
    • 2005
  • 7차교육과정에서의 초등 컴퓨터교육은 재량활동시간 또는 특별활동시간에 단순한 응용프로그램(워드프로세서, 엑셀, 파워포인트 등)을 활용하거나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검색 수준이다. 따라서, 문제해결 능력이나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는데는 미흡하다. 인지능력이 뛰어난 초등학교 5, 6학년에는 이러한 컴퓨터 활용방법 교육보다 컴퓨터 기초원리 또는 프로그래밍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교육을 재량 특별활동 시간에 학년별(5, 6학년) 또는 통합학년으로 학습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교육과정 60차시 분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한 교육과정은 교수 및 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얻은 기초자료를 참조하였다. 제안한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5, 6학년에 적합하고 우수한지를 검토하기 위해 일부 차시의 교육과정으로 5, 6학년을 대상으로 재량활동시간에 직접 교수 학습한 후 자기평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로 제안한 교육과정이 적합성과 우수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reative Games using programing element (프로그래밍 요소를 소재로 한 창의력 놀이 개발)

  • Kim, Jung-Ah;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09-114
    • /
    • 2008
  • 과학 기술과 정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은 갈수록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게다가 현재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IT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반면, 컴퓨터 교육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기능 위주의 교육을 강조한 결과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증진에 대한 교육 부분은 소홀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요소를 추출하여 그 원리를 이용한 창의력 놀이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창의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