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포넌트기반개발방법론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sign of CBD Methodology for Weapon System Embedded Software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설계)

  • Lee, Jong-Lee;Yun, Hui-B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01-304
    • /
    • 2006
  • 본 논문은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방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규정,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 그리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의 특징을 바탕으로 기존 CBD 방법론을 분석한다. 그런 다음 개발방법론 설계 고려요소를 도출하고, 고려요소를 바탕으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개발(CBSD)과 컴포넌트 개발(CD)에 대해 어떻게 설계를 할 것인가, 산출물간에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설명하는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표준 개발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Deriving Component Interfaces from UML Dynamic Medel (UML 동적모델에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

  • 김지혜;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15-417
    • /
    • 2002
  •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제품의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되면서 ,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 이 집중되고 있다. 그에 대안 반영으로 컴포넌트 자체를 개발하거나, 상용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런 개발 방법론이 바로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론이다.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이 확산됨에 따라 성공적인 컴포넌트 기반의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로써 효과적인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이 부각되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객체지향 방식으로 구현된 모델을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로 전환 시의 지침들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방식으로 모델링 한 UML동적모델에서 근거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즉, 분석 단계에서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설계 단계의 산출물인 Use Case모델과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메소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 PDF

A Comparison of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nents in CBD Methodologies (CBD 방법론의 컴포넌트 식별 방법의 비교)

  • Cho, Jin-Hee;Kim, Min-Jung;Lee, Woo-Jin;Shin,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515-518
    • /
    • 2000
  •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기술은 재사용성, 적시성, 유지 보수성 등이 업체의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있는 정보 기술 업계에서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다양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및 지원 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각 방법론별 고유의 컴포넌트의 식별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포괄적인 컴포넌트 식별방법을 제공하는 방법론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산업계에서 쓰이고 있는 여러 방법론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하고 있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FOCUS)에서 제안하고 있는 컴포넌트 식별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FOCUS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컴포넌트 식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Enviroment for Java Component Interaction (자바컴포넌트 상호작용을 위한 환경에 관한 연구)

  • 방영환;정천복;김혜미;황선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24-426
    • /
    • 2000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구조적 방법론에서 객체지향 방법론으로 발전하였고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컴포넌트 소프트웨어기반 개발 방법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반개발의 이점, 컴포넌트의 요건과 자바 컴포넌트(자바 클래스 또는 자바 컴포넌트)들 간의 기능, 속성, 연결 등을 동적으로 상호 작용(Interaction)할 수 있는 환경(Environment)을 제안하려 한다. 이오 같은 환경은 이미 만들어진 자바컴포넌트의 컴포넌트를 재사용 및 조립 전에 아키텍쳐의 모델링 도구로서 행위분석(Behavioral analysis)과 인터페이스의 기반설계(Interface Based Design)의 기반을 제공하고 자바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이해하고 결합형태를 미리 짐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에 소요되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Component-Based Systems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 개발)

  • Ha, Su-Jung;Cho, Jin-Hee;Ham, Dong-Han;Kim, Jin-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019-2022
    • /
    • 2002
  •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하나의 해결책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국내에서는 '80 년대 후반부터 방법론의 도입이 시작되었고 시스템 통합 사업의 팽창으로 '90 년대부터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구조적, 정보공학, 객체지향으로 이어진 국내 방법론 시장은 최근에는 작은 단위의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립하여 더 큰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본 연구원에서 개발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 마르미-III 버전 2.0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using Information Structure Modeling Methodology. (정보구조모델링을 이용한 컴포넌트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환경)

  • Bae, Jeong-Mi;Yoon, Yong-Ik;Park, Jae-N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01-1006
    • /
    • 2000
  • 90년대 이후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객체 지향 방법론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후 최근에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 등이 소개되어 다양한 분산 컴포넌트 기술이 태동되었다.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의 컴포넌트 기술은 정보 시스템 구축 시 구성요소의 모듈화를 용이하게 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한 컴포넌트 재사용 성을 가능하게 하여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MG에 의해 제안된 표준 분산모델로서 코바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정보구조 모델링 방법론을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구성하고 컴포넌트의 추출을 돕기 위한 컴포넌트 저장소 명세서, 분산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세스 절차를 제안 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ative Case Study of Audit Criteria in Component Based Development Project (컴포넌트 기반 개발(CBD) 프로젝트 감리에 대한 사례 비교 연구)

  • Jeon, Soon-Cheon;Park, Ki-Ho;Cho, Nam-J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390-398
    • /
    • 2003
  • 폭포수 모델 개발 생명주기를 근간으로 한 전통적 프로그램 개발방법론과 달리, 부품 형태의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개발하는 방법론이 확산되고 있다. 컴포넌트 기반 개발(Component Based Development)의 감리에는 전통적 개발방법에 근간을 둔 감리기준이 아닌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에 적합한 감리가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개발방법론 근간의 감리기준과 CBD 적용 프로젝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감리기준의 개선점 여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사례로는 정부 공공프로젝트와 금융기관의 차세대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선정하였다. 기존의 정보시스템감리 기본점검표와 사례에서의 감리검토항목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감리검토항목의 개선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의 결과로 CBD 프로젝트에 적합한 감리검토항목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및 품질향상에 이바지 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Component for Network Management Based on Catalysis (카타르시스 방법론에 기반한 네트워크 관리 컴퍼넌트 개발)

  • 김행곤;차정은;김지영;박은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555-557
    • /
    • 2000
  •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는 미리 만들어진 검증된 부품을 합성, 조립하는 작업으로, 최근에 빠른 속도로 생겨난 카타르시스는 객체와 프레임워크로 CBD를 위한 완벽한 지원을 제공하는 차세대 방법론이다. 네트워크 환경과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한 인프라 구축과 다양한 방법론의 개발은 소프트웨어 부품화로써의 컴퍼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제반 여건을 조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네트워크 기반의 분산 환경이 응용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표준 아키텍쳐로 자리잡아 가면서 네트워크 관리가 개별 응용으로서 뿐 아니라 대부분의 응용에서 하부 계층 지원 서비스로 요구되는 중요한 응용 도메인이 된다. 따라서 다수의 개발자들이 환경적 제약없이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응용 컴퍼넌트를 획득, 조립함으로써 요구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방법론인 카타르시스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NMS)을 위한 컴포넌트를 설계하고 필요한 컴포넌트를 식별, 개발한다. 이를 통해 NMS를 위한 공용의 컴퍼넌트를 확보함으로써 체계적인 CBD 방법론에 의한 NMS 개발로의 표준화된 접근할 수 있다.

  • PDF

Methodology for Component-Based System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 Lee, Ji-Hyun;Kim, Jin-Sam;Park, Cha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625-1628
    • /
    • 2003
  •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의 개발 생산성과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생성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재사용할 수 있는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을 제시하고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로 재사용 프로세스를 구성하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작업과 핵심 산출물을 살펴보도록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mponent Repository System based on a CBD Methodology (CBD 기반 컴포넌트 리파지토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rk, Chang-Sup;Yeon, Seung-Ho;Rhee, Hae-Kyu;Park, Hyun-Gyu;Lee, S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003-100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KT 서비스개발연구소에서 개발된 컴포넌트 리파지토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방법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CBD 방법론 및 EJB 컴포넌트 모델을 적용하여 유연하고 확장성 높은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본 시스템은 컴포넌트를 기술하고 검색하기 위한 컴포넌트 명세 방법과 컴포넌트들을 체계적으로 분류, 관리할 수 있는 계층적 분류 체계를 정의한다 또 컴포넌트의 재활용을 위해 효과적인 검색 및 탐색 방법을 제공하며, 사용자 관리 및 통계 기능 둥을 포함한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사항 분석, 설계, 구현 단계에서 CBD 방법론의 적용 방안을 기술하고, 특히 컴포넌트 식별 및 컴포넌트 구조 설계 방법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