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컴포넌트개발방법론

Search Result 217,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Design of CBD Methodology for Weapon System Embedded Software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설계)

  • Lee, Jong-Lee;Yun, Hui-B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01-304
    • /
    • 2006
  • 본 논문은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국방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규정,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 그리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개발방법의 특징을 바탕으로 기존 CBD 방법론을 분석한다. 그런 다음 개발방법론 설계 고려요소를 도출하고, 고려요소를 바탕으로 컴포넌트 기반의 소프트웨어개발(CBSD)과 컴포넌트 개발(CD)에 대해 어떻게 설계를 할 것인가, 산출물간에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설명하는 컴포넌트 기반의 무기체계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표준 개발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A Comparison of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nents in CBD Methodologies (CBD 방법론의 컴포넌트 식별 방법의 비교)

  • Cho, Jin-Hee;Kim, Min-Jung;Lee, Woo-Jin;Shin,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515-518
    • /
    • 2000
  •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기술은 재사용성, 적시성, 유지 보수성 등이 업체의 경쟁력으로 대두되고 있는 정보 기술 업계에서 점차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다양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 및 지원 도구들이 제공되고 있지만 각 방법론별 고유의 컴포넌트의 식별 방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포괄적인 컴포넌트 식별방법을 제공하는 방법론은 없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산업계에서 쓰이고 있는 여러 방법론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하고 있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FOCUS)에서 제안하고 있는 컴포넌트 식별 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FOCUS에서는 보다 포괄적인 컴포넌트 식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Deriving Component Interfaces from UML Dynamic Medel (UML 동적모델에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

  • 김지혜;김수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415-417
    • /
    • 2002
  •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제품의 향상된 생산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되면서 ,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 이 집중되고 있다. 그에 대안 반영으로 컴포넌트 자체를 개발하거나, 상용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들이 제안되고 있고, 이런 개발 방법론이 바로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방법론이다.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이 확산됨에 따라 성공적인 컴포넌트 기반의 프로젝트의 중요한 요소로써 효과적인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이 부각되고, 제안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객체지향 방식으로 구현된 모델을 컴포넌트 기반의 모델로 전환 시의 지침들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방식으로 모델링 한 UML동적모델에서 근거한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즉, 분석 단계에서 컴포넌트를 식별하고, 설계 단계의 산출물인 Use Case모델과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컴포넌트의 메소드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컴포넌트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 PDF

Study on the Enviroment for Java Component Interaction (자바컴포넌트 상호작용을 위한 환경에 관한 연구)

  • 방영환;정천복;김혜미;황선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24-426
    • /
    • 2000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구조적 방법론에서 객체지향 방법론으로 발전하였고 최근 들어 소프트웨어 재사용의 핵심 기술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 컴포넌트 소프트웨어기반 개발 방법론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기반개발의 이점, 컴포넌트의 요건과 자바 컴포넌트(자바 클래스 또는 자바 컴포넌트)들 간의 기능, 속성, 연결 등을 동적으로 상호 작용(Interaction)할 수 있는 환경(Environment)을 제안하려 한다. 이오 같은 환경은 이미 만들어진 자바컴포넌트의 컴포넌트를 재사용 및 조립 전에 아키텍쳐의 모델링 도구로서 행위분석(Behavioral analysis)과 인터페이스의 기반설계(Interface Based Design)의 기반을 제공하고 자바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을 이해하고 결합형태를 미리 짐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에 소요되는 개발비용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 PDF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Component-Based Systems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 개발)

  • Ha, Su-Jung;Cho, Jin-Hee;Ham, Dong-Han;Kim, Jin-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c
    • /
    • pp.2019-2022
    • /
    • 2002
  •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하는 하나의 해결책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국내에서는 '80 년대 후반부터 방법론의 도입이 시작되었고 시스템 통합 사업의 팽창으로 '90 년대부터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구조적, 정보공학, 객체지향으로 이어진 국내 방법론 시장은 최근에는 작은 단위의 소프트웨어 부품을 조립하여 더 큰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구축하자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에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본 연구원에서 개발한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개발 방법론, 마르미-III 버전 2.0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ision Study on Component Bas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s (컴포넌트 개발기법 비교 연구)

  • Kim, Hyen-Joo;Seo,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523-526
    • /
    • 2000
  • 컴포넌트는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의 극대화를 통해 소프트웨어 제품의 생산성과 안정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컴포넌트 개발기법은 컴포넌트 개발 시 컴포넌트를 추출하고, 개발되는 각 컴포넌트간의 연결하며, 구현된 컴포넌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주요한 컴포넌트 개발 방법론으로 거론되는 UML, 카타르시스 방법론, CBD96 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 PDF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 Environment using Information Structure Modeling Methodology. (정보구조모델링을 이용한 컴포넌트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환경)

  • Bae, Jeong-Mi;Yoon, Yong-Ik;Park, Jae-N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001-1006
    • /
    • 2000
  • 90년대 이후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으로 객체 지향 방법론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후 최근에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 등이 소개되어 다양한 분산 컴포넌트 기술이 태동되었다.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의 컴포넌트 기술은 정보 시스템 구축 시 구성요소의 모듈화를 용이하게 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한 컴포넌트 재사용 성을 가능하게 하여 소프트웨어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MG에 의해 제안된 표준 분산모델로서 코바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정보구조 모델링 방법론을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구성하고 컴포넌트의 추출을 돕기 위한 컴포넌트 저장소 명세서, 분산 어플리케이션 개발 프로세스 절차를 제안 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ison Study of Methods about Component Identification (컴포넌트 식별 방법에 관한 비교 연구)

  • 최미숙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3
    • /
    • pp.383-390
    • /
    • 2002
  • System developments by components are accomplished by creating new software based on independent components having respective function. Generally,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s are expected to obtain profits caused by reuse of software, such as improvement of quality, rapid development, and efficiency of maintenance. In a component-based system, the most important goal and also key to success is to identify and construct high quality components that may increase reus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component developers to understand strong and weak points of existing component development methodologies in the aspect of identification of component, and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methodology for the system to be constructed. It is also necessary for component developers to develop a new methodology enabling effective identification of independent components through modification and/or complementation of existing methodologies. The modification and complementation needs comparison and analysis of various existing methodologies. Accordingly, the this paper is to provide explanation for some widely used methodologies representing the existing component-bas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ies such as RUP(Rational Unified Process) of Rational company[1,9], CBD96 of Computer Associates company[2,3], UNIFACE of Compuware company[5], and UML components methodology derived from extending of the component developing method of CBD96 by Cheesman and Daniels[4]. The this paper is also to point out respective problems of the representative existing methodologies. Furthermore, component identification methodologies are compared and analyzedon the whole through this paper.

  • PDF

A Modeling of Web-service for Construction CALS/EC Standard Guideline by using Component Based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에 의한 건설 CALS/EC 표준지침 웹서비스의 모델링)

  • 이상호;정용환;김소운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2003.09a
    • /
    • pp.78-8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건설CALS/EC 기반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정보시스템을 개발할 때 적용되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표준화되지 않은 개발방법론의 적용으로 시스템 개발에 비효율적인 비용을 투자하는 문제점과 특성상 입찰, 구매, 계약 등 분야별로 상이한 기능의 업무에 따라 구축되는 건설산업 정보화에 있어서 상호간에 데이터 및 프로세스를 원활히 통합하지 못하므로 인하여 발생되는 개발의 중복성, 정보 활용의 비효율성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근 새로이 부각되고 있는 방법론인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CBD: Component-Based Development)을 사용하여 건선CALS/EC 표준지침 웹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업무프로세스를 모델링하여 사용자가 쉽게 재사용가능하고 타업무분야에 확대 가능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적용상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컴포넌트 기반 개발방법론의 필요성을 증명하고 비즈니스 컴포넌트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건설 CALS/EC 표준지침 웹서비스의 업무프로세스에 적용할 기술적인 방법론을 고찰하고 업무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업무프로세스 컴포넌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컴포넌트 모델은 향후 타업무분야의 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자요구분석 단계부터 별도의 재 작업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시스템을 구현할 때 개발 모듈의 중복방지와 용이한 비즈니스로직의 변경 등이 가능하며, 추가의 업무 프로세스나 연관된 다른 분야의 업무프로세스의 반영 및 추가 시 컴포넌트의 활동모델을 쉽게 수정하여 정의함으로써 쉽게 시스템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LE 산정에 관한 지속적인 실험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증가할 것이다. 또한 부분육을 이용한 완전제품, 적색육제품, 유기농이나 별미식 제품과 같은 형태의 다양한 포장육 제품이 도입 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e in vitro SPF test method will be able to be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in vivo SPF in case of lotion and cream. replica.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ar Fruit Leaf Extract BG30-treated site was seen in decreased wrinkles. Star Fruit Leaf Extract BG30 results in clinically visible improvement in wrinkling when used topically for 5 weeks. 또한 관계마케팅, CRM 등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신뢰와 결속의 중요성이 재확인하는 결과도 의의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신뢰는 양사 간의 상호관계에서 조성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반면, 결속은 계약관계 초기단계에서 성문화하고 규정화 할 수 있는 변수의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가 있다. 본 연구는 복잡한 기업간 관계를 지나치게 협력적 측면에서만 규명했기 때문에 많은 측면을 간과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방법론적으로 일방향의 시각만을 고려했고, 횡단적 조사를 통하고 국내의 한 서비스제공업체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 공급파트너만의 시각을 검증했기 때문에 해석에서 유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타당성확보 노력을 기하였지만 측정도구

  • PDF

A Method for Testing Tool Development in a Product Line Practice (테스팅 도구 개발의 프러덕 라인화 방안)

  • 천은정;최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12-114
    • /
    • 2002
  • 다양한 자동화된 테스팅 도구들이 존재하지만 프러덕 라인(product line)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레벨과 방법론을 수용하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기존 테스팅 도구는 특정 기법과 레벨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른 기법을 사용하기 원할 경우 적용하고자 하는 기법이 적용된 다른 테스팅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테스팅 도구 개발에 있어서 프러덕 라인화 방안을 제안한다. 프러덕 라인 개념에 따라 표준에 정의된 테스트 활동들의 공통점과 방법론과 기법에 따른 차이점을 도출하여 추상화 시킨후 컴포넌트로 개발한다. 개발된 컴포넌트를 조립 시 컴포넌트의 구현된 차이점들을 리스트로 만들어 컴포넌트를 선택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된 제품이 변경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개발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해 각 컴포넌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제로 구현하지 않고 명세하여 자동 생성되게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법론과 기법이 적용된 테스팅 도구로 테스팅을 수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개발된 컴포넌트를 재사용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