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컬러 모델

Search Result 30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Structure and Feature of Color Appearance Models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의 구조 및 특성)

  • Heo, T.W.;Kim, J.S.;Cho, M.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6 s.78
    • /
    • pp.173-181
    • /
    • 2002
  • 컬러 디스플레이의 색재현 특성을 좋게 하는 것은 전세계 소비자들의 공통된 바램이다. 이를 위해서, 컬러 재현 장치에서 장치 독립적인 컬러 이미징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은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color appearance models)을 이용한 컬러의 재현능력 향상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컬러 어피어런스 모델의 최신 기술 동향, 색순응 변환에 있어서의 최신 기술 및 컬러의 차이를 정확히 나타내는 색오차식의 최신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Genetic Programming based Illumination Robust and Non-parametric Multi-colors Detection Model (밝기변화에 강인한 Genetic Programming 기반의 비파라미터 다중 컬러 검출 모델)

  • Kim, Young-Kyun;Kwon, Oh-Sung;Cho, Young-Wan;Seo, Ki-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6
    • /
    • pp.780-785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GP(Genetic Programming) based color detection model for an object detection and tracking. Existing color detection methods have used linear/nonlinear transformatin of RGB color-model and improved color model for illumination variation by optimization or learning techniques. However, most of cases have difficulties to classify various of colors because of interference of among color channels and are not robust for illumination vari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 illumination robust and non-parametric multi-colors detection model using evolution of GP.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to the existing color-models for various colors and images with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The Flame Color Analysis of Color Models for Fire Detection (화재검출을 위한 컬러모델의 화염색상 분석)

  • Lee, Hyun-Sul;Kim, Won-H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8 no.3
    • /
    • pp.52-57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color comparison analysis of flame in each standard color model in order to propose the optimal color model for image processing based flame detection algorithm. Histogram intersection values were used to analyze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color of flame and color of non-flame in each standard color model which are RGB, YCbCr, CIE Lab, HSV. Histogram intersection value in each color model and components is evaluated for objective comparison. The analyzed result shows that YCbCr color model is the most suitable for flame detection by average HI value of 0.0575. Among the 12 components of standard color models, each Cb, R, Cr component has respectively HI value of 0.0433, 0.0526, 0.0567 and they have shown the best flame separation characteristics.

Smoke color analysis of the standard color models for fire video surveillance (화재 영상감시를 위한 표준 색상모델의 연기색상 분석)

  • Lee, Yong-Hun;Kim, Wo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9
    • /
    • pp.4472-4477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color features of smoke in each standard color model in order to present the most suitable color model for somke detection in video surveillance system. Histogram intersection technique i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characteristics between color of smoke and color of non smoke. The considered standard color models are RGB, YCbCr, CIE-Lab, HSV, and if the calculated histogram intersection value is large for the considered color model, then the smoke spilt characteristics are not good in that color model. If the calculated histogram intersection value is small, then the smoke spilt characteristics are good in that color model. The analyzed result shows that the RGB and HSV color models are the most suitable for color model based smoke detection by performing respectively 0.14 and 0.156 for histogram intersection value.

Fire detection system using HSV, YCbCr Combined color information (HSV, YCbCr 컬러 모델의 복합 색상정보룰 이용한 화재 검출 시스템)

  • Jeong, Hee-yoon;Cehio, Ky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010-101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HSV, YCbCr 컬러 모델의 색상정보를 통한 화재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영상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서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평균배경영상을 계산하여 전경영상을 분리한다. 그리고 차영상을 이용해 움직임을 인식하여 컬러 모델 색상정보를 비교할 영역을 구한다. 전경영상의 구해진 영역에서 컬러모델의 복합 색상정보를 이용하여 화재 영역을 검출한다.

Detection of Facial Region using Multi-Channel Color Model (다채널 컬러 모델을 이용한 얼굴영역 검출)

  • Song, Sun-Hee;Suk, Kyung-Hyu;Kim, Chul-Young;Kim, Moon-Hwan;Jeoung, You-Sun;Bae, Chul-Soo;Ra, Sa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805-80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컬러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조명의 영향에 대응하면서 얼굴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 영역으로부터 다채널 스킨컬러 모델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외부 조명에 민감한 스킨컬러 특성을 고려해 색상정보와 광도를 분리할 수 있는 $YC_rC_b$ 색상모델을 이용하며, Green, Blue 채널의 정보를 Gaussian 확률밀도 모델로부터 $C_b-C_g$의 좁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스킨컬러 영역 밀도를 모델링한다. 또한 얼굴영역에 Region Restricting과 임계값 반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눈 영역 검출 과정을 보이고, 실시간 복합 얼굴 검출 시스템 조명방식에 의해 결과를 나타낸다.

  • PDF

A Study on Colorization of Buddhist Art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불교 미술 채색 연구)

  • Cha, Jin-Hyuck;Jung, Se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05a
    • /
    • pp.392-393
    • /
    • 2018
  • 컬러 사진을 흑백으로 바꿔 데이터 셋을 구축해 CNN 모델을 트레이닝 시킨다. HSI 컬러 모델에서 흑백 사진으로부터 밝기 값은 알고 있음으로, 나머지 두 컬러 영역 색상, 채도를 CNN 모델이 추측하도록 학습을 시켜, 흑백사진으로부터 컬러 사진을 만들어낸다. 이 기술을 채색이 안된 불교 미술 그림에 적용하여 채색을 시키는 것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A Study on Real-Time Detection System of Facial Region using Color Channel (컬러채널 실시간 복합 얼굴영역 검출 시스템 연구)

  • 송선희;석경휴;정유선;박동석;배철수;나상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463-46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컬러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조명의 영향에 대응하면서 얼굴 후보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후보 영역으로부터 다채널 스킨컬러 모델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검출 기법을 제시한다. 외부 조명에 민감한 스킨컬러 특성을 고려해 색상정보와 광도를 분리할 수 있는 Y $C_{r}$ , $C_{b}$ 색상모델을 이용하며, Green, Blue 채널의 정보를 Gaussian 확률밀도 모델로부터 $C_{b-}$ $C_{g}$ 의 좁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는 스킨컬러 영역 밀도를 모델링한다. 또한 얼굴영역에 Region Restricting과 임계값 반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눈 영역 검출 과정을 보이고, 실시간 복합 얼굴 검출 시스템 조명방식에 의해 결과를 나타낸다.다.

  • PDF

Color-based Stippling for Non-Photorealistic Rendering (비사실적 렌더링 (NPR)을 위한 컬러기반 점묘화 기법)

  • Jang Seok;Hong Hyun-Ki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3 no.1_2
    • /
    • pp.128-136
    • /
    • 2006
  • The stippling techniques, which represent objects with numerous points using pen and ink. The previous stippling techniques for Non-Photorsealistc Rendering(NPR) use single-colored points to represent the tone of gray image ur the material of surface. This paper presents a new stippling technique with various colored points based on the analysis of color information. By using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input image on HSV model, we define the color weight function that allows to determine automatically the number and size of points. The color jittering based on Munsell's color model can generate stippling drawings using various colored points to represent the image. Our color stippling method is expected to be used in many areas such as animation, digital art, video processing and CG tool.

Hybrid Color Model for Robust Detection of Skin Color under the Illumination Variance (조명 변화에 강건한 피부색 영역 검출을 위한 혼합 컬러 모델)

  • Moon, Kyu-Hyung;Choi, Yoo-J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98-10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얼굴영상 인식의 전처리 단계인 피부 영역 자동 검출시 적용 가능하며 조명변화에 강건한 피부 영역 검출을 위한 혼합 컬러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사용자별로 차이를 보이는 다양한 피부색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사용자에 적합한 피부색 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시한 컬러 모델을 기반으로 한 피부색 영역 모델링 전처리 단계를 제시한다. 우선, 사용자 및 사용 카메라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피부색에 대한 영역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화면상의 가운데에 손이나 얼굴 영역이 위치하도록 하고 일정 프레임의 화면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 화면 정보로서 각 픽셀에 대한 정규화 된 RGB 성분 및 H 성분, V 성분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평균화된 혼합 컬러 모델을 구축한다. H성분으로 피부색과 비슷한 배경을 제거하고 여기에 YUV 성분 중 적색에서 밝기 값을 뺀 성분인 V 값을 한 번 더 사용하여 밝기 값을 제거한 보다 뚜렷한 얼굴영역을 검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