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컨테이너 터미널 시뮬레이션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pplication of Simulation Technique to the Optimal Design and Operation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s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의 설계 및 운용 최적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의 적용)

  • 장성용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1998.10a
    • /
    • pp.25-35
    • /
    • 1998
  • 정부는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은 선박하역을 담당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애드크레인을 무인 혹은 유/무인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선박과 야드간 이동은 AGV를 이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인건비 절감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척의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가상의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에서 컨테이너 크레인 수, AGV 대수, 야드 크레인수 등을 변화시켜가면서 터미널의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자동화컨테이너터미널의 최적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기 위한 구상을 제시하였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 계획을 위한 시뮬레이션 통합관리시스템의 설계

  • 배종욱;양창호;김영훈;김갑환;윤원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1.05a
    • /
    • pp.49-53
    • /
    • 2001
  • 지금까지 컨테이너터미널을 계획하면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소요자원의 규모나 생산성 등을 분석하려는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다. 그렇지만 컨테이너터미널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전제 조건이 부족한 경우에 도입 가능한 다양한 컨테이너 취급 시스템과 그에 관련된 배치안 및 운영 알고리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모든 대안들을 시뮬레이션하여 비교 평가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세 분석이 필요한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개발 조건을 고려한 컨테이너터미널의 적정 처리능력, 대안별 시설 규모 및 위치 그리고 하역 장비의 종류 및 운영대수 등을 대략적으로 계획하고 시뮬레이션 분석과 운영정보가 이에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정보와 흐름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다. 통합관리시스템은 수행 역할에 따라 프로젝트 관리, 운영정보 관리, 능력계획, 배치계획 그리고 시뮬레이션의 모듈들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각 구성모듈의 기능과 모듈간의 입출력 정보를 정의하였고 시뮬레이션에서 필요한 주요 객체 및 제어 흐름을 설계하기 위해 개체지향방법론의 표준인 UML을 이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Quay Capacity at the Container Terminal Using Simulation Model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컨테이너 터미널 안벽능력 분석)

  • 김창곤;양창호;윤동한;최종희;배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1.05a
    • /
    • pp.43-4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적정 안벽능력(Quay Capacity)을 분석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에서는 선박의 터미널 도착 특성, 선박별 양하량 및 적하량, 컨테이너 크레인(Container Crane, C/C) 생산성 및 투입대수 등을 입력변수로 입력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로써는 안벽점유율, 선석 점유율, 대기시간 비율, 대기비율, Norm time 초과비율 등을 출력하였다. 이중 컨테이너 터미널의 평가지표로는 Norm time 초과비율, 대기비율 및 안벽점유율을 적용하였다.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중인 터미널의 터미널 운영실적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의 확인 및 검증을 실하였다. 모델은 Knowledge Base에 근거하여 수행되는 G2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 PDF

3-Dimensional Simulation for the Design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설계를 위한 3차원 시뮬레이션)

  • 최용석;하태영;양창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4.04a
    • /
    • pp.471-477
    • /
    • 2004
  •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3-dimensional simulation to support the Design on ACT(Automated Container Terminal). This simulation system developed to simulate virtual operations of ACT using 3-dimensional simulation and animate the simulated results with real time. And the developed system applied an object-oriented design and C++ programming to increase the reusability and extensibility. We select several items of performance evaluation for objects used in ACT in terms of problem detection, problem forecast, and logic feasibility, and provide evaluation points for the design of ACT.

  • PDF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esigning Container Terminals (컨테이너 터미널 설계를 위한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 Won Seung-Hwan;Jeon Su-Min;Lee Byeong-Gwon;Jeong Bong-Ju;Jeong Da-Hun;Jang Dong-Won;Kim Gap-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58-1764
    • /
    • 2006
  • 컨테이너 터미널 간의 치열한 경쟁, 대형 선박의 출현,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의 자동화 등으로 인해서 세계 각국에서는 많은 컨테이너 터미널들을 건설 중이다. 컨테이너 터미널의 건설에는 아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터미널을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엔지니어링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시스템 TODAY(Terminal Optimization, Design, and Analysis sYstem)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먼저 설계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설계 프로세스는 데이터 입력, 능력 소요 계산, 대안 설계, 대안 평가, 결과 출력으로 구성된다. 대안을 신속히 설계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컨테이너 터미널 전용 라이브러리가 개발되었다. 라이브러리는 Wharf, Yard, TravellingArea, Gate로 구성된다. 라이브러리의 구조는 객체 지향적으로 설계하여 확장성과 재사용성을 가지게 하였다.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친숙한 인터페이스와 CAD 환경을 제공하여, 다양한 유형의 컨테이너 터미널 모형들이 데이터 입력과 라이브러리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생성된 대안 모형들은 시뮬레이션과 경제성 모형에 의해 평가된다. 시스템은 생성된 모형을 시뮬레이션 모형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피드백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대안이 제시된다.

  • PDF

Study on Construction of Simula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Container Handling Database - A case of HICCT in Japan - (컨테이너터미널의 하역 데이터베이스 분석에 의한 하역시뮬레이션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 일본의 HICCT를 중심으로 -)

  • Kim, Hwa-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1 no.8
    • /
    • pp.717-723
    • /
    • 2007
  • In recent years, the transportation sector has been undergoing very rapid and multifarious changes due to the M&A, alliances between shipping companies, introduction of larger container ship as it cost reduction measure and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logistics to satisfy the needs of customers. Therefore, container terminal is required adequate terminal facilities, sufficient channel depth, efficient handling and low cost of port fees and du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functional assessment of efficient container terminal. Firstly, the container operating process information about yard equipment and chassis is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al daily work report of container terminal. Also, the formulae of skill factor and troubles of operator on transfer crane are defined. Lastly, container handling simulation model which consideration of skill factor and trouble of operator is proposed by Petri network model.

수직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운영전략을 고려한 하역생산성 분석

  • Bae, Jong-Uk;Kim, U-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29-130
    • /
    • 2009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하역작업 생산성은 운영전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수직배치형 컨테이너 터미널을 대상으로 여러 운영전략에 따른 하역생산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가하역이 가능한 ALV 이송시스템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여 하역작업 생산성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따르면 수직배치인 경우에 본선작업 물량의 장치장 분산 할당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Simulator for Evaluating of AGV Guide Path and AGV Numbers (첨단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AGV 이동경로 평가 및 적정 운영 대수 산정을 위한 시뮬레이터 개발)

  • 민상규;정귀훈;하승진;김형식;변성태;이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152-15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자동화 설비 중 안벽용 크레인(Quay Crane: QC)과 장치장용 크레인(Automated Transfer Crance: ATC)간의 컨테이너 이송을 담당하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의 운영에 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전용의 시 뮬레이터를 개발하는데 목적은 두고 수행하였다.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처리 능력은 선석의 QC 능력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QC의 능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서의 AGV의 운영 효율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또한 AGV의 운영 효율에는 장치장의 ATC 작업시간이 영향을 준다. 연구결과, AGV의 운영 효율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QC의 작업시간과 ATC의 작업시간에 따른 AGV의 적정대수를 산출하였다. 본 시뮬레이터는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운영 상대와 유사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고, 컨데이니 터미널의 운영 능력을 산출하는데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

Study on Simulation for Buffer Space Analysis of Container Crane with Dual Trolley (듀얼 트롤리형 컨테이너 크레인 버퍼공간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

  • Choi, Yong-Seok;Won, Seung-Hwa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3 no.5
    • /
    • pp.331-337
    • /
    • 2009
  • Container crane is main equipment in container terminals and it determines the productivity and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s. The typical type of container cranes has the single trolley and one among advanced types of them has the dual trolle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buffer size of a container crane with the dual trolley in container terminals. We present a simulation model for analysing the buffer space of a container crane with the dual trolley. The buffer space is located between main trolley in sea-side and second trolley in yard-side. We performs various simulation experiments and analyze the buffer size to estimate the required productivity.

경인항 인천 컨테이너터미널의 안전 접이안을 위한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고찰

  • Kim, Se-Won;Kim, Jong-Seong;Park, Yeong-Su;Yun, Gwi-Ho;Kim,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61-62
    • /
    • 2011
  • 이 연구는 경인아라뱃길 중의 경인항 인천 컨테이너터미널의 부두축조에 있어서 터미널 활용의 경제성을 감안한 대상 선박의 조종성능 및 운동성능을 검토하고, 대상선박의 통항 및 접 이안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적정 수역 및 부두길이를 확정하여 준설토 투기장의 부족문제 해결을 위한 부두전면의 최선의 준설범위를 결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550 TEU급 컨테이너선을 인천갑문 쪽으로 접안 배치하고, 1,000 TEU급의 컨테이너선을 갑문에서 멀리 떨어진 수역에서 접이안 조종함으로써 최대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인천항 도선사협회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거쳐서, 안전한 선박조종 수역을 포함한 최적의 부두길이 결정을 위한 부두배치안 2개(제1안, 제2안)를 설정하여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2개의 안에 대한 대상 선박의 접이안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