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컨테이너화물조작장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화물의 특성 및 적재 공간을 고려한 LCL 화물 적재 알고리즘 (LCL Cargo Loading Algorithm Considering Cargo Characteristics and Load Space)

  • 박대산;조상민;박동윤;이용재;김도희;배혜림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4호
    • /
    • pp.375-393
    • /
    • 2023
  • 다품종 소량 생산 품목의 수요 증가와 전자상거래 시장의 발달로 인하여 소량화물(Less than Container Load, LCL)의 수출입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물류주선업에서 소량화물을 다루는 업체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화물 크기의 다양성과 이해당사자의 이익 구조가 맞물려, 컨테이너의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화물 적재 방법론이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화물 적재 계획을 미리 수립하여 컨테이너 조작장(Container Freight Station, CFS)에 전달하는 현 상황의 특성상, 산업현장에서 확인 가능한 변수들을 적재 계획에 반영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적재 계획의 수정이 용이한 화물 적재 방법론을 제시한다. 화물의 특성에 따른 불용 공간과 컨테이너 내부 현황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여 산업 현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3차원 공간을 2차원 평면 레이어로 조작하여 적재 계획을 수립하여 시간 복잡도를 줄임으로써 산업현장의 활용성을 높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을 통해 화물 적재 계획 품질의 일관성을 높이고, 적재 계획 수립 자동화에 기여를 할 수 있다.

대구.경북지역 기업의 물류특성 분석 (Logistics Peculiarities for the Firms in the Daegu-Gyeongbuk Area)

  • 하영석;서정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1-260
    • /
    • 2011
  •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대구 경북지역 기업 113개 업체를 대상으로 물류현황에 대해 업종별, 기업 규모별, 무역규모별, 화물 성격별 그리고 기업위치 지역별로 정성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이들 기업들의 3PL기업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특성 파악하기 위하여 수출입물동량, 취급 화물의 성격, 기업의 본사위치, 자사창고의 보유 여부를 예측변수로 사용하는 로짓 모형을 설정하였다. 102개의 유효데이터를 사용하여 모형을 추정한 결과, 수출입 물동량과 기업본사가 위치는 3PL기업의 이용에 10%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급 화물이 부피화물인지의 여부, 자사창고보유 여부는 가정한 바와 같은 부호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본사가 대구 경북 이외의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3PL기업을 활용한 물류전략을 보다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해석 해 볼 수 있다. 나아가 수출입 물동량이 많을수록 통관, 검역 등 수출입 관련 전문물류업체인 3PL기업을 활용하여 물류 효율성 증대를 도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