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캘리브레이션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36초

시각측정시스템의 캘리브레이션 및 측정성능 검토 (Calibration and INvestigation into Measurement Performance of a Visual Sensing System)

  • 김진영;조형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8호
    • /
    • pp.113-121
    • /
    • 1999
  • It is necessary to calibrate measurement systems to enhance its measurement accuracy. The visual sensing system that is presented in our previous work has to be calibrated, too. It is a multiple mirror system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which is composed of a camera and a series of mirrors. It is important to calibrate the positions and orientations of the mirrors relative to the camera because they have direc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plane and the task space. This paper presents the calibration method for the visual sensing system. To confirm the measurement performance of the implemented system. its measurement accuracy in measuring the locations in three-dimensional space is investigated. A series of experiments for measuring the locations of the circle-shaped marks are perform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nsing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 PDF

내장형 렌즈 왜곡 보정 알고리즘 구현을 위한 이미지 워핑 방법 (An Image Warping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Embedded Lens Distortion Correction Algorithm)

  • 유원필;이형구;정연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673-676
    • /
    • 2002
  • 저가형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광학계의 경우 상대적으로 많은 렌즈 왜곡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제조 가격 및 소형 구현시의 제한에 기인하는 것으로 렌즈 재설계를 통한 물리적 보정에는 비용 및 구현시 부피 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렌즈 왜곡을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보정하는 경우에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통한 렌즈 왜곡 변수를 계산하는 방법 및 계산된 렌즈 왜곡 변수를 이용하여 왜곡된 원영상을 이미지 워핑을 통해 보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아울러 이러한 방법의 적용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scale factor ratio 및 이미지 센터와 같은 카메라 상수를 처리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uto Selection 방법과 캘리브레이션을 이용한 정밀 계측 장치 설계 (A Design of the precision-measuring System with Auto Selection and Calibration)

  • 김윤서;양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706-1707
    • /
    • 2007
  • 전력 계통의 사고 검출과 사고예측으로 계통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여 전력계통의 최적 운전을 유지하게 하기위해서는 전력계통의 가장 기본 적인 요소인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및 위상의 정확한 계측이 필요하게 되는데, 넓은 범위의 입력신호를 AD 변환 범위로 변환하게 되면 작은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AD로 너무 작은 신호로 변환되어 정확한 계측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 신호의 크기에 따라 증폭비율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과 PT나 CT의 특성에 따른 신호 왜곡과 AD 컨버터의 비선형성에 따른 신호 계측의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X-선 영상 시스템의 정밀 캘리브레이션 기법 (An Accurate Calibration Technique for X ray Imaging System)

  • 조영빈;권대갑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6권3호통권96호
    • /
    • pp.198-207
    • /
    • 1999
  • This paper presents an accurate algorithm for geometric calibration of X-ray imaging system. Calibration is a very important process for improving an imaging system performance. There has been a lot of previous works using linear camera modeling technique, where lens distortion is neglected and/or center of distortion is assumed to be known. Geometrical distortion of image intensifier, however, is very large and its center of distortion should be calculated. This paper presents a new calibration method to estimate the intensifier position and orientation, scale factor, distortion coefficient, magnification factor, and center of distortion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We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he algorithm by computer simulat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arameters can be estimated accurately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 PDF

생활스포츠 환경에서 라인 인/아웃 판정 지원을 돕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obile device camera calibration to support Line in-out decition in sports events)

  • 송누리;문지환;최재갑;박진호;김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57-660
    • /
    • 2019
  • 최근 모바일 디바이스의 발전으로 기기에 탑재된 카메라를 가지고도 눈으로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들의 고화질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보급형 하드웨어의 고성능화는 생활스포츠 환경 전반에서 거쳐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고가의 초고속 카메라 대신 개인용 모바일 디바이스에 탑재된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경기장 내 목표물의 움직임의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경기장의 라인 인/아웃 판정 지원과 3차원 재구성을 위한 판정 분석 도구 개발과 관련된 모바일 디바이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사학연금제도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재정추계 및 정책평가 방법 연구

  • 홍기석
    • 사학연금연구
    • /
    • 제4권
    • /
    • pp.57-90
    • /
    • 2019
  • 본 연구는 사학연금의 장기적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재정추계 및 정책평가 방법에 관하여 논의한다. 먼저 재정안정화 시나리오의 설정에 있어서 기간간 예산제약식을 이용하여 장기적으로 균제상태(steady state)를 달성할 수 있는 납부율 및 급여율의 선정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재정추계에 있어서 정책 변화에 따라 개인들의 행동 패턴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조기퇴직 결정에 관한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재정추계에서 내생성에 대한 고려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예시한다. 마지막으로 힉스 보상의 개념에 기초하여 안정화 정책에 대한 평가가 연금 재정지표에 미치는 효과만이 아니라 가입자 / 수급자의 후생에 미치는 영향까지 같이 고려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설명한다.

기술특집-컬러 캘리브레이션

  • 임남숙
    • 프린팅코리아
    • /
    • 통권2호
    • /
    • pp.122-135
    • /
    • 2002
  • 우리는 흔히 사진을 스캔하여 모니터에서 본 색상과 인쇄물의 색이 달라 곤혼스러운 경우를 자주 접한다. 원본과 동일한 색상을 쉽게 얻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이 문제는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해결될 수 있는 길이 있다. 이에 본지에서는 인포메이션 맥마당의 자료 협조를 받아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다.

  • PDF

입체영상의 시각 피로 최소화를 위한 특징기반 시차 보정 (Feature-based Disparity Correction for the Visual Discomfort Minimization of Stereoscopic Video Camera)

  • 정은경;김창일;백승해;박순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6호
    • /
    • pp.77-87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입체영상을 시청할 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시각 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차 보정 기술을 제안한다. 시각 피로는 3차원 TV의 상용화에 있어 반드시 풀어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차 보정 기술은 좌, 우 입체카메라의 기하학적 분석을 통하여 영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수평시차 보정과 특징 정합 기반의 수직시차 보정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시차 보정은 주로 입체영상 카메라의 기하적 관계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과정을 거쳐 구하고 그 결과값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캘리브레이션의 오류로 인한 시차의 오차가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시차는 입체카메라의 캘리브레이션 정보를 사용하는 반면 수직시차는 특징점 정합 기반의 보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직시차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유사한 특징점 정합 기반의 보정 알고리즘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