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캘리브레이션

Search Result 26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A Study on Active Calibration Technique for Rotating Camera (카메라 회전을 이용한 능동적인 캘리브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 Yu, Won-Pil;Chung, Yu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03-70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pan/tilt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 시스템을 이용한 캘리브레이션 기법에 대하여 소개한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optical center, 초점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대상물체로는 포인트(point)특징점을 이용하고 있으며 카메라 구동부에서 제공되는 각도 정보를 이용하며 캘리브레이션 대상 물체에 대한 기하학적 사전 지식이나 3 차원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각각의 캘리브레이션 파라메타를 구하기 위해서 두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된 캘리브레이션 방법의 실용 가능성을 보인다.

  • PDF

Non-intrusive Calibration for User Interaction based Gaze Estimation (사용자 상호작용 기반의 시선 검출을 위한 비강압식 캘리브레이션)

  • Lee, Tae-Gyun;Yoo, Jang-Hee
    • Journal of Software Assessment and Valuation
    • /
    • v.16 no.1
    • /
    • pp.45-53
    • /
    • 2020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ew method for acquiring calibration data using a user interaction process, which occurs continuously during web browsing in gaze estimation, and for performing calibration naturally while estimating the user's gaze. The proposed non-intrusive calibration is a tuning process over the pre-trained gaze estimation model to adapt to a new user using the obtained data. To achieve this, a generalized CNN model for estimating gaze is trained, then the non-intrusive calibration is employed to adapt quickly to new users through online learning. In experiments, the gaze estimation model is calibrated with a combination of various user interactions to compare the performance, and improved accuracy is achieved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Improving Camera Calibration Results Using Least Squares Method (최소제곱법을 활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결과 개선)

  • Park, Jung-Tak;Park, Byung-Seo;Seo,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54-155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RGB-D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의 결과를 개선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멀티 뷰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찾아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동일한 특징점을 기준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RGB-D 영상은 필연적으로 렌즈와 Depth senor에 의한 오차가 포함되기 때문에 정확한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획득하는 것은 어려운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획득한 특징점을 기반으로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한 후, 최소제곱법을 통해 각 특징점간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카메라 파라미터를 획득하여 결과를 개선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 PDF

3-Dimensional Calibr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Pupil-labs Mobile Pupil Tracking Device (퓨필랩 모바일 동공 추적 장치를 위한 3차원 캘리브레이션 및 성능 평가 방법)

  • Mun, Ji-Hun;Shin, Dong-Won;Ho, Yo-Sung
    • Smart Media Journal
    • /
    • v.7 no.2
    • /
    • pp.15-22
    • /
    • 2018
  • Pupil tracking technologies can be used as an efficient information provider means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by connecting with a smart device. In this paper, we measure the distance of user gaze point using the pupil tracking device which produced by Pupil-labs, also shows the experimental result with analyzing accuracy and precision. Based on that the pupil gaze point location which tracked by pupil tracking device is compared with object target in terms of error. Since the mobile pupil tracking device is also one kind of camera, we have to perform the calibration before using the device. Not only generally used 2-dimensional calibration, but also 3-dimensional calibration method is explained. To get the improved accuracy of 2-dimensional calibration result, the 3-dimensional calibration set an imaginary plane and executes the calibration in various 3-dimensional spaces. To show the efficiency of 3-dimensional calibration, we analyze the experimental result. It also introduces various using methods and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device.

Skeleton-based 3D Pointcloud Registration Method (스켈레톤 기반의 3D 포인트 클라우드 정합 방법)

  • Park, Byung-Seo;Kim, Dong-Wook;Seo,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89-9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3D(dimensional) 스켈레톤을 이용하여 멀티 뷰 RGB-D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 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멀티 뷰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 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특징점이 필요하다. 우리는 다시점 카메라를 캘리브레이션 하기 위한 특징점으로 사람의 스켈레톤을 사용한다. 사람의 스켈레톤은 최신의 자세 추정(pose estimation) 알고리즘들을 이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는 자세 추정 알고리즘을 통해서 획득된 3D 스켈레톤의 관절 좌표를 특징점으로 사용하는 RGB-D 기반의 캘리브레이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Development of Calibration Target for Infrared Thermal Imaging Camera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용 캘리브레이션 타겟 개발)

  • Kim, Su Un;Choi, Man Yong;Park, Jeong Hak;Shin, Kwang Yong;Lee, Eui 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34 no.3
    • /
    • pp.248-253
    • /
    • 2014
  • Camera calibration is an indispensable process for improving measurement accuracy in industry fields such as machine vision. However, existing calibration cannot be applied to the calibration of mid-wave and long-wave infrared cameras. Recently, with the growing use of infrared thermal cameras that can measure defects from thermal properties, development of an applicable calibration target has become necessary. Thus, based on heat conduction analysi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we developed a calibration target that can be used with both existing visible cameras and infrared thermal cameras, by implementing optimal design conditions, with consideration of factors such as thermal conductivity and emissivity, colors and materials. We performed comparative experiments on calibration target images from infrared thermal cameras and visible cameras.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alibration target.

A Study on Efficient Self-Calibration of a Non-Metric Camera for Close-range Photogrammetry (근접 사진측량을 위한 효율적인 비측정카메라 캘리브레이션)

  • Lee, Chang No;Oh, Jae H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6_1
    • /
    • pp.511-518
    • /
    • 2012
  • It is well-known that non-metric digital cameras have to be calibrated for the close-range photogrammetry. But, the self-calibration is still not an easy task because it requires rather a large calibration site of accurate control points, multiple image acquisitions in different positions, and accurate image point measurements that are quite labor-intensive and time-consuming. Based on the premise, this study carried out check point accuracy analysis from self-calibration of different control point designs and photo combination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alibration using three photos covering three-dimensional control points produced high accuracy, but control points on a plane could attain the comparable accuracy with four photos including a 90-degree rotated photo. We then compared the target accuracy of on-site self-calibration using flat control points to that of laboratory-self calibration and observed comparable results.

An Accurate Camera Calibration Using Higher-Order Polynomials (고차 polynomial을 이용한 정밀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 Jo, Tae-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413-416
    • /
    • 2007
  •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비젼(vision) 시스템의 광학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영상 좌표계와 실세계 좌표계간의 변환관계를 정의해 주는 mapping을 구하는 과정으로 카메라를 이용한 측정, 검사, 위치보정 등의 응용에서 매우 중요하다.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Tsai 알고리즘은 여러 카메라 내부 상수들을 필요로 하며,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해와 카메라와 렌즈왜곡의 모델에 대한 사전지식을 요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나 렌즈왜곡에 대한 모델이나 가정없이, 영상좌표와 실세계 좌표간의 변환을 고차(higher order) polynomial을 이용하여 구현하여 사용이 손쉬운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을 소개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3차 polynomial을 이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방법이 Tsai알고리즘보다 정밀도에서 우수하였다.

  • PDF

Finding locating checker board using corner detection and interpolation (교점의 추정 및 보간을 이용한 체커보드 검출)

  • Oh, Sang-yup;Cho,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165-168
    • /
    • 2016
  •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실제 세상인 3차원의 좌표와 카메라가 만든 영상의 2차원 좌표 사이에서 수학적 관계를 알기 위해서 필요하다. 보통 체커보드의 교점을 이용하여 2차원의 좌표를 정확하게 찾는데 사용하며, 이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계산으로 응용된다. 따라서 체커보드의 교점을 정확하게 찾아야만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이 정상적인 성능을 낼 수 있다. 현존하는 체커보드 검출 방법은 입력 인수를 많이 필요로 하거나 정확도가 낮아 체커보드의 교점을 정확히 입력하지 못하면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체커보드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하는 방법은 아직 신뢰도가 낮은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을 위해서 체커 보드의 검출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주위 픽셀들간의 미분 값을 기준삼아 검출된 교점들을 이용하여 체크 모양의 직선을 추측한다. 이 직선을 이용하면 장애물이 있거나 노이즈가 있어서 검출하기 어려운 교점들이 있는 경우에도 교점 보간 (point interpolation) 방법을 사용하여 나머지 교점들을 찾을 수 있다. 보간 과정을 통해서 검출에 방해가 되는 요소들이 있는 상황에서 체커 보드 교점 검출의 성능을 높이도록 하였다.

  • PDF

Pattern Feature Detection for Camera Calibration using Circular Sample Pixel (원형 샘플 화소를 이용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패턴 특징점 검출)

  • Shin, Dong-Won;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33-434
    • /
    • 2015
  •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다시점 카메라 시스템에서 내부와 외부 인자로 이루어진 카메라 파라미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의미 한다. 이는 3차원으로 표현되는 장면과 카메라간의 구조를 다루기 위해 중요하다. 그러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은 사람이 직접 손으로 각 영상에서 사각형의 네 점을 정확히 찍어 주어야 하는 과정 때문에 카메라의 수와 패턴 영상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과정에서 손으로 수행하는 작업을 줄이기 위해 자동으로 패턴 특징점을 탐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먼저 영상에서 패턴 특징점의 후보를 찾기 위해 해리스 코너 검출 방법을 사용한다. 그리고 후보 주변의 원형 샘플 화소를 이용하여 유효한 패턴 특징점을 추출한다. 실험 결과는 Matlab 캘리브레이션 툴박스를 이용하여 획득한 카메라 파라미터와 비교해 보았을 때 큰 차이가 없지만 수작업의 번거로움을 상당히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