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캐주얼 셔츠 소재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여대생의 국적에 따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과 촉감 선호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bjective Sensation and Tactile Preferences for Casual Shirt Fabrics Compared by the National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 멍위;최종명
    • 감성과학
    • /
    • 제24권1호
    • /
    • pp.105-114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인 감각과 선호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춘추용 캐주얼 셔츠의 소재로 시판되는 소재 중에서 섬유조성이 상이한 7가지 종류의 흰색 셔츠 직물을 선정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의 평가자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으로 40명이었다. 참가자들은 7종 소재를 관찰하고 나서 주관적인 감각과 촉감 선호도에 대한 평가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작성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을 요인분석한 결과, 평활감, 경량감, 유연감, 신축감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주관적 감각 요인은 소재의 섬유조성별 국적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 보다 면 100%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고, 폴리에스터 50%/모달 50% 소재와 P100 소재를 더 신축성이 있다고 평가하였으나, 중국인 여대생은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를 더 가볍다고 평가하였다. 캐주얼 셔츠 소재의 섬유조성별 촉감 선호도는 국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인 여대생은 중국인 여대생에 비해 면 80%/폴리에스터 20% 소재, 폴리에스터 50%/면 45%/스판덱스 5% 소재, 아마 100% 소재를 더 선호하였다. 한편, 캐주얼 셔츠 소재의 주관적 감각 요인이 촉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은 국적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한국 여대생의 경우, 평활감과 유연감이 캐주얼 셔츠 소재의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국인 여대생은 평활감, 유연감, 신축감이 촉감 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캐주얼 셔츠 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 및 촉감 선호도는 한국인 여대생과 중국인 여대생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여대생을 대상으로 캐주얼 셔츠 소재 기획시 이러한 감성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캐주얼 셔츠소재에 대한 주관적 감각과 구매 선호도 평가 (Assessment of Subjective Sensation and Purchasing Preferences for Casual Shirt Fabrics)

  • 최종명;권수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97-40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ive sensations and preference for spring/fall casual cotton shirt fabrics, and to assist in developing shirt fabrics that offer maximum comfort in wearing sens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ssessed the tactile sensation of seven types of spring/fall shirt fabrics available on the market: plain weave and rib weave made of cotton and that of cotton mixed fabrics. The subjects were university students between the ages of 20 to 23, who were residing in the city of Cheongju, Korea.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fabrics hand were evaluated using a nine point bi-polar scale of 9 descriptive terms. Mean, t-test, F-test and $X^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fabric hand evaluation on the seven types of shir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9 descriptive terms.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sensations according to fabric characteristics regarding shirt fabrics. As regards the difference in fabric hand according to gender, female students responded with more receptiveness and sensitivity than male students in the category of woven fabric evaluation.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responded with more sensitivity to the sensation of dense and wrinkle sensat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rchase preference according to gender regarding casual shirt fabrics. Plain weave fabrics made of cotton was most preferred among male students, whereas rib weave fabrics made of cotton/polyester was most preferred among female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