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칸디다균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2초

소프트콘택트렌즈 재질과 착색에 따른 눈물성분 침착과 칸디다균 흡착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the Deposition of Tear Constituents and the Adherence of Candida albicans according to Soft Contact Lens Materials and Pigmentation)

  • 박소현;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5-225
    • /
    • 2016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 특성과 착색 여부가 눈물 성분이 침착된 소프트콘택트렌즈에 칸디다균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Etafilcon A, hilafilcon B, nelfilcon A 재질의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를 대상으로 하여 인공눈물에 침착시키기 전과 후의 흡착 균 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렌즈에 흡착된 균을 관찰하였다. 결과: 칸디다균의 흡착은 콘택트렌즈 재질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Etafilcon A 재질에서는 투명 소프트콘택트렌즈와 써클 콘택트렌즈간 균 흡착양 차이가 없었으며, hilafilcon B 및 nelfilcon A 재질에서는 써클 소프트콘택트렌즈에 흡착된 균 수가 다소 많았다. 투명 중심부와 착색부를 비교하였을 때 투명 중심부에 칸디다균 흡착이 더 많았으며, 투명 중심부와 투명 주변부를 비교하였을 때 투명 주변부에서의 균 흡착양이 더 많았다. 눈물 단백질이 침착되었을 경우 흡착된 칸디다균의 수가 감소하였으며 눈물 단백질의 칸디다균에 대한 항균력 유지는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어 etafilcon A 재질 렌즈에서 유지 기간이 가장 길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 특성, 착색여부 및 부위에 따라 흡착되는 칸디다균수가 달라진다는 것을 밝혔으며, 칸디다균의 흡착 특성에 따라 관리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콘택트렌즈 재질 및 침착 단백질에 따른 균 흡착 정도와 다목적용액의 살균력 비교 (Comparisons of Adherence Level of Micro-organisms According to Contact Lens Materials and Protein Deposition and Disinfection Efficacy of Multipurpose Solution)

  • 성형경;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42
    • /
    • 2015
  • 목적: 콘택트렌즈 재질 및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종류에 따른 균의 흡착력을 비교하고 관리용품의 살균력 차이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FDA 평가기준 및 방법인 Disinfection Efficacy Testing의 Part 2. Regimen Procedure For Disinfecting Regimens에 따라 균 흡착 및 관리용품의 살균력 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 포도상구균을 제외한 녹농균, 세라티아균, 칸디다균은 etafilcon A 렌즈에 더 많이 흡착되었으며, 4종의 다목적용액은 칸디다균을 제외한 모든 균에서 거의 완벽한 살균력을 나타냈다. 눈물 단백질을 침착시킨 렌즈에서 세라티아를 제외한 모든 균은 알부민 침착 렌즈에서의 흡착이 많았으며, 다목적용액의 살균력은 라이소자임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보다 알부민 침착 렌즈에 흡착된 균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균의 종류에 따라 다목적 용액의 살균력이 달랐다. 결론: 균의 종류, 콘택트렌즈 재질, 침착된 눈물 단백질의 종류가 콘택트렌즈에 흡착되는 균의 양에 영향을 주며, 눈물 단백질의 침착은 다목적용액에 의한 살균력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살균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의해 콘택트렌즈 위생상태가 달라지며 부작용 발생 여부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클로르헥시딘을 이용한 치과기공용 연마기 캔디다균의 감염방지 (Prevention of Candida albicans infection in dental polishing lathe by chlorhexidine)

  • 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274-279
    • /
    • 2016
  • 목적: 치과 기공용 연마기 휠을 소독하기 위한 클로르헥시딘의 농도에 따른 캔디다균의 감염방지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동일한 모형에서 제작된 상악 총의치를 캔디다균에 감염시키고, 서로 다른 농도의 클로르헥시딘 용액에 1시간 보관한 연마 휠과 멸균된 퍼미스와 증류수를 이용하여, 치과기공용 연마기로 연마하였다. 이후 멸균된 상악 총의치를 연이어 연마한 뒤 연마한 부위를 면봉으로 채취하여, 재배양후 칸디다균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클로르 헥시딘을 적용한 연마휠은 농도에 관계 없이 감염의 전파가 일어나지 않았으나, 증류수만을 사용한 연마휠에서는 감염의 전파가 나타났다. 결론: 의치 연마기 휠의 감염방지를 위해 클로르헥시딘 용액은 효과적이다.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 효능 검사법 비교 (Comparison of Evaluation Methods for Disinfection Efficacy of Contact Lens Care Products)

  • 성형경;변현영;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9-67
    • /
    • 2014
  • 목적: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 효능 검사법 기준 개발을 위하여 막여과법(Membrane filtration method)과 희석중화법(Dilution-neutralization method)의 살균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시판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균(Serratia marces cens),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을 대상으로 하여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기준인 막여과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새롭게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할 희석중화법의 살균력 효능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총 20종 다목적 용액의 살균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살균효과가 강한 살균 성분 및 관리용품의 효능은 막여과법과 희석중화법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살균효과가 약한 관리용품의 경우는 막여과법 검사시에는 균이 뭉쳐있어 정확한 균 수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희석중화법 검사시는 정확한 균 수 측정이 가능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관리용품 중에는 살균력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제품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세라티아균과 칸디다균에 대한 살균력이 약한 경우가 많았다. 결론: 막여과법에 비해 희석중화법이 소량의 샘플로 더 정확하게 균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 확인이 빨라 살균력 효능 검사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andid albicans 바이오필름에 대한 전기분해 수소수의 항진균 효과 (Antifungal effect of electrolyzed hydrogen water on Candida albicans biofilm)

  • 표경열;유연승;백동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12-220
    • /
    • 2015
  • 목적: Candida albicans는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서 점액질환을 야기하며, 의치성 구내염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전기 분해 수소수는 금속 전극을 통해서 전기를 흘려 전기분해 한 물이며, 구강세균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칸디다 바이오필름에 대한 전기 분해 수소수의 항진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C. albicans는 발아세포 및 균사형태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사부로포도당 액체배지 및 F-12 영양 배지를 이용하여 호기상태 및 5%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각각 배양하였다. 여러 금속 전극을 이용하여 수돗물을 전기분해 한후에 발아세포 형태와 균사형태의 칸디다를 전기분해 수소수로 처리하였다. 결과: 사부로포도당배지와 F-12 영양배지를 이용하여 칸디다를 배양하였을 때, 각각 발아세포 형태와 균사 형태를 보였다. 전기 분해 수소수는 발아세포 형태의 C. albicans에 대해서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칸디다 바이오필름에 대해서도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여러 종류의 금속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수소수중에 백금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 수소수만 항진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백금 전기분해 수소수는 구강 칸디다증과 의치관련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한 구강 청결제로 사용 가능 할 것이다.

까마중 추출물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ntibacterial effect of solanum nigrum extract on candida albicans)

  • 최유리;강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9-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까마중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까마중을 70퍼센트 메탄올에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성분분석을 위해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존률을 OD값으로 측정하였고, 증식능력을 CFU로 측정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 각 $8.23{\pm}0.13mg/g$$14.97{\pm}1.58mg/g$로 나타났다. CFU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CFU 값이 낮게 나타났다. 균의 활성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더 낮은 균활성도 값을 보여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까마중 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까마중 추출물은 칸디다균뿐만 아니라 치과분야에서 천연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보인다.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항균 광역학 요법 (Antimicribial Photodynamic Therapy Using Diode Laser on Candida Albicans)

  • 김지원;구본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4권2호
    • /
    • pp.141-146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photodynamic therapy using Radachlorin and diode laser is an effective inhibitor of Candida albicans. Suspensions of Candida albicans were obtained, inoculated in petri dishes with Radachlorin, and incubated for 30 min. Then, the laser light of a diode laser was irradiated at at energy densities of 3 J/cm2, 5 J/cm2, 7 J/cm2. As a result, Candida albicans showed a killing rate of 91.5% at an energy density of 7 J/cm2. This study found that photodynamic therapy using a Radachlorin and diode laser was effective for the inhibition of Candida albicans.

미생물학적 분석과 보조요법을 이용한 내성을 가진 의치성구내염 치료 (A treatment of drug resistant denture stomatitis by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adjuvant therapy: a case report)

  • 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2호
    • /
    • pp.120-126
    • /
    • 2022
  • 심한 의치성 구내염의 경우, 항진균제의 처방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번 증례는 5개월간 fluconazole을 처방받았으나, 증상의 개선이 없었던 72세의 환자에 증례이다. 본원의 재진단을 거쳐 약물치료를 시행하였고, 임시의치를 제작하여, 구강회복을 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계속되는 약물치료에도 구강상태가 호전되지 않는 증례에서 미생물학적인 분석 및 보조요법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본 증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아에 있어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적 특징 :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 (A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ystemic Candidiasi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Comparison with Systemic Bacterial Infection)

  • 임정화;박경필;김진경;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7호
    • /
    • pp.847-854
    • /
    • 2002
  • 목 적: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간 입원 중인 환아는 입원중 전신성 감염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이미 항생제를 투여 받고 있는 환아에서 전신 감염 증상이 발현하면, 전신성 칸디다증은 장기간의 amphotericin B의 투여가 필요하며 세균 감염증은 감수성 있는 항생제로의 교체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인 저출생 체중아를 대상으로 전신성 칸디다증의 임상증상과 증상 발현시의 검사 소견을 전신성 세균 감염증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소견의 조기 감별 진단 상의의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미숙아 중 저출생 체중아 중에서 배양검사로 확인된 전신성 칸디다증 20례와 전신성 세균 감염증 23례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전신성 칸디다증 환아(이하 칸디다군)의 출생시 체중은 $1,290{\pm}290g$으로 전신성 세균 감염증 환아(이하 세균군)의 $1,530{\pm}430g$보다 유의하게 작았으며, 총 정맥 영양, 항생제 투여, 중심 카테테르, 기관 삽관, $H_2$ 차단제 사용의 빈도가 더 높았다. 임상 양상에 있어서는 서맥 동반 무호흡 및 호흡 곤란이 두 군의 주된 발현시 증상으로, 발현 빈도는 칸디다군(90%)에서 세균군(61%)에 비해 높았다. 증상 발현시 시행한 검사 소견에서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가 칸디다군 7례(35%), 세균군 2례(9%)로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균은 대부분 혈액에서 배양되었으며(칸디다군 19례, 세균군 19례), 그 외에 요, 중심 카테테르, 뇌척수액 등에서 배양되었다. 감염균은 칸디다군은 Candida albicans가 15례, 세균군은 Klebsiella pneumoniae와 Enterobacter cloacae가 각각 5례로 가장 빈번하였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장기 입원 중 전신 감염증 증상을 보이는 환아에서 호흡기 증상과 함께 검사상 혈소판 감소 단독 또는 혈소판 감소증과 백혈구 감소증이 동반된 경우에는 전신성 칸디다 감염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잔토리졸의 칸디다균 항균 효과 (Microbiological Effects of Xanthorrhizol against Candida albicans)

  • 조완구;김효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7-43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fungal properties of xanthorrhizol (extract from curcuma xanthorrhiza) against Candida albicans. Some of the commercial products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growth of C. albicans. OTC product containing povidone iodide and cosmetic grade product with surfactants were tested. Antifungal activity was shown in 1.56% of OTC product, however, there was no antifungal effect in cosmetic product. For the comparison, we tested several materials. Povidone iodide, lemon tea tree oil and xanthorrhizol showed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 albicans in 0.25, 0.062 and 0.007%, respectively. We also tested the antifungal effects of povidone iodide and xanthorrhizol in surfactant base. Test results revealed that 2.5% of povidone iodide and 0.156% of xanthorrhizol showed similar antifungal effects. These findings support the application of xanthorrhizol for vaginal cleanser or personal cares using antifungal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