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테고리화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Feasibility Study on Cross-Product Category User Profiling in Collaborative Filtering Based Personalization (협업 필터링 기반 개인화에서의 상품군 중립적 사용자 프로파일링 타당성 검토)

  • Kim, Jong-Woo;Park, Soo-Hwan;Lee, Ho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0a
    • /
    • pp.257-263
    • /
    • 2005
  • 초기에 하나의 상품 카테고리만을 다루던 전자상거래 사이트들이 브랜드 확립 후에 다른 상품 카테고리까지 확대해 나가는 모습을 많이 보아왔다. 고객이 아직 방문하지 않은 신규 상품 카테고리의 상품에 대하여 기존 상품 카테고리에서 만들어진 사용자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할 수 있다면, 고객이 다양한 상품 카테고리를 방문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사용자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개인화된 추천을 수행하기 때문에, 해당 카테고리 내 상품의 구매나 방문 기록이 없다면 개인화된 추천을 수행하기가 어렵다 . 본 논문에서는 협업 필터링을 통해 신규 상품카테고리 내의 상품을 추천하기 어려운 고객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사용자 선호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규 상품 카테고리 내의 상품을 추천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살펴보도록 한다. 즉, 기존 사용자의 특정상품 카테고리 선호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간 유산도를 계산하고, 이를 추천하려는 타 상품 카테고리 내의 상품들에 대한 예측 선호도 계산에 활용 타당성을 살펴본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토하기 위해서, Yes24 사이트의 서적, 음반, DVD 3개의카테고리 내의 상품을 방문한 웹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동일 상품 카테고리 내의 선호도 정보를 가지고 현업 필터링을 수행하는 것보다는 추천 성과가 낮았지만 활용할만한 추천 성과를 보였으며, 활용하는 상품 카테고리와 예측하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추천성과가 상이했다.

  • PDF

Selecting Examples to Be Labeled for Semi-Supervised Clustering Using Cluster-Based Sampling (군집화 기법을 이용한 준감독 군집화의 훈련예제 선정)

  • 김종성;강재호;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646-648
    • /
    • 2004
  • 기계학습의 군집화(clustering) 기법은 예제들 간의 유사성에 근거하여 주어진 예제들을 무리 짓는 방법이다. 준감독(semi-supervised) 군집화는 카테고리가 부여된(labeled) 소수의 예제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군집형태가 보다 자연스럽게 형성되도록 유도하는 군집화 방법이다. 준감독 군집화 문제에서 예제에 카테고리를 부여하는 작업은 현실적으로 극히 제한적이거나 카테고리를 부여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하므로, 제한된 자원 내에서 군집화에 효용성이 높을 예제들을 선정하여 카테고리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능동적 학습의 초기 훈련예제 선정을 위해 제안된 군집기반 훈련예제 선정 방법을 준감독 군집화에 적용하여 군집 결과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군집화를 이용한 예제 선정 방법은 유사한 예제들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는 가정하에 전체 예제를 활용하여 선정하고자 하는 예제 수만큼 군집을 생성 한 후. 각 군집의 중심점에 가장 가까운 예제들을 대표 예제로 선정하여 훈련 집합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서를 대상으로 하는 준감독 군집화 실험을 통해, 카테고리를 부여할 예제를 임의로 선정한 경우에 비해 군집화를 이용한 훈련 예제들로 준감독 군집화를 수행한 경우가 보다 좋은 군집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 PDF

Automatic Image Categorization using Combination of Multiple Features (다중 특징값의 조합을 이용한 자동적 이미지 카테고리화 방법)

  • Yang, Seung-Ji;Yoon, Jeong-Hyun;Ro, Y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39-4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및 필터링 시스템을 위한 카테고리 식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식별 가능한 카테고리를 사전에 정의하고, 정의된 카테고리를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들을 수집한다. 다음으로, 이들로부터 다중의 내용 기반 특징값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값들로 카테고리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한다. 카테고리를 식별할 질의 이미지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질의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다중 특징값들을 각 카테고리의 단일 특징값과 각각 비교함으로써,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다중의 유사도 거리값을 측정한다. 각 카테고리를 대표하는 다중의 유사도 거리값들은 두 가지 연산 방법에 의해 조합되는데, 조합 방법은 각각의 단일 특징값이 각 카테고리 식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정의된다. 최종적으로, 각 카테고리의 조합된 유사도 거리값을 비교한 다음, 가장 유사도가 큰 카테고리를 해당 질의 이미지의 카테고리로 식별한다.

  • PDF

Object Categorization Using PLSA Based on Weighting Distinctions (특이점 가중치 기반 PLSA를 이용한 객체 범주화)

  • Song, Hyun-Chul;Choi, Kwang-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c
    • /
    • pp.460-465
    • /
    • 2007
  • 영상 내 사물들의 카테고리를 인식하는 연구는 시각적 영상처리와 연관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객체 범주화(Object Categorization)는 가정과 같은 실내에서 책상, 의자, 컵, 주전자 등의 다양한 사물들을 구분하여 인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영상 내 객체들의 카테고리 분석을 위해 연구된 PLSA를 기반으로 특이점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보다 유사한 카테고리 간에 인식 성능을 향상시키는 접근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PLSA는 문서기반의 정보검색 분야로부터 소개된 기법으로, 약한 수준의 비감독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인식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비슷한 특징점 분포를 보이는 유사한 카테고리 간의 객체 카테고리 인식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성능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카테고리간의 비교실험을 통해 각 특징점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PLSA를 적용하여 유사한 객체 간의 카테고리 인식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서는 기존의 PLSA 기법과 제안한 가중치를 부여 PLSA 기법을 각각 적용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PLSA 기법에서는 비교적 낮은 인식률을 보인 유사한 카테고리 인식에 대하여 실험 결과를 통해 가중치를 부여한 PLSA 기법이 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Object Categorization Using PLSA Based on Weighting (특이점 가중치 기반 PLSA를 이용한 객체 범주화)

  • Song, Hyun-Chul;Whoang, In-Teck;Choi, Kwang-Nam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0 no.4
    • /
    • pp.45-54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that recognizes the similar categories by weighting distinctive features. The approach is based on the PLSA that is one of the effective methods for the object categorization. PLSA is introduced from the information retrieval of text domain. PLSA, unsupervised method, shows impressive performance of category recognition. However, it shows relatively low performance for the similar categories which have the analog distribution of the feature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effective object categorization for the similar categories by weighting the mainly distinctive features. We present that the proposed algorithm, weighted PLSA, recognizes similar categories. Our method shows better results than the standard PLSA.

  • PDF

Selecting Initial Training Set for Active Learning by Clustering (군집화 기법을 이용한 능동적 학습의 최초학습예제 선정)

  • 강재호;류광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6-18
    • /
    • 2003
  • 기계학습의 분류(classification) 기술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카테고리(category)를 부여한 학습예제를 상당수 준비하여야 한다. 예제에 카테고리를 부여(labeling)하는 작업에는 무시할 수 없는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한다.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은 동일한 수의 학습예제로 최대한의 성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테고리를 부여할 학습예제를 선별하는 전략이다. 능동적 학습은 현재까지 파악된 정보에 기반하여 분류기(classifier)를 생성하고, 생성된 분류기를 활용하여 카테고리를 부여받았을 때 가장 이득이 큰 예제들을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만일 능동적 학습의 첫 학습단계에서 학습에 보다 유용한 예제들을 최초학습예제집합으로 선정한다면 같은 수의 학습예제로 더 나은 성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한 예제들은 동일한 카테고리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는 일반적인 가정에 기반하여 예제들을 군집화(clustering)한 후, 생성된 각 군집을 대표할 수 있는 예제로 최초학습예제집합으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안을 문서분류 문제를 대상으로 실험해 본 결과 최초학습예제들을 임의로 선정하는 방식보다 정확도가 높은 분류기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Topic Classifier for University News-based BI Analysis (대학 BI 분석을 위한 주제분류기의 구현)

  • Jang, Seo-Yoon;Jang, Hyeon-Yeong;Cha, Ch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3-2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대학별 홍보 전략,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 서비스는 데이터 수집에는 크롤링을 사용하고 사이킷 런을 사용하여 정확도를 최대화하고, 각 분류된 카테고리의 오류을 최소화한다. 이 서비스는 각 카테고리별로 특성이 높은 키워드를 사용하여 카테고리 별 학습 데이터셋을 생성한 후 이러한 학습 데이터셋을 바탕으로 각 기사들을 최적의 카테고리로 분류해주는 분류기를 구현한다. 이러한 분류기를 사용하여 분류된 기사들을 분석하여 막대 그래프 등의 시각화된 자료들로 볼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대학 홍보 자료에 비해 누구든 쉽고 간단하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A Categorization Scheme of Tag-based Folksonomy Images for Efficient Image Retrieval (효과적인 이미지 검색을 위한 태그 기반의 폭소노미 이미지 카테고리화 기법)

  • Ha, Eunji;Kim, Yongsung;Hwang, Eenjun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2 no.6
    • /
    • pp.290-295
    • /
    • 2016
  • Recently, folksonomy-based image-sharing sites where users cooperatively make and utilize tags of image annotation have been gaining popularity. Typically, these sites retrieve images for a user request using simple text-based matching and display retrieved images in the form of photo stream. However, these tags are personal and subjective and images are not categorized, which results in poor retrieval accuracy and low user satisfac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categorization scheme for folksonomy images which can improve the retrieval accuracy in the tag-based image retrieval systems. Consequently, images are classified by the semantic similarity using text-information and image-information generated on the folksonom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scheme, we collect folksonomy images and categorize them using text features and image features. And then, we compare its retrieval accuracy with that of existing systems.

A proposal of visualization method of MBTI personality types using celebrity images (유명인 이미지를 활용한 MBTI 성격 유형 시각화 방식 제안)

  • Shin, Ho-Sun;Lee, Kang-Hee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6 no.8
    • /
    • pp.491-498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visualization method that expresses users' MBTI personality types based on the categorization method called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their representative celebrities' facial images. This system has significance for visualizing traits from texts to images effectively. The entire system is composed of making backgrounds to represent traits of each MBTI category using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showing facial images of celebrities with corresponding MBTI personality types. First, 'Big Five Personality Traits' classifies 16 MBTI types into four categories and each of category traits lays the foundation to make background using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s and lines. Second, celebrities' facial images are substituted for the corresponding literal explanation of each MBTI type. By adjusting the color saturation, users can distinguish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intuitively. As a result, this system enables users to take information for their own / opposite / similar MBTI types simultaneously.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Tree Tag cloud model using tag grouping in blog (블로그에서 태그 그룹화를 이용한 트리형 Tag cloud 모델 설계 및 구현)

  • Choi, Seok-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589-592
    • /
    • 2007
  • 웹사이트의 블로그에서 등록된 게시물을 분류, 표현하는 방식으로 카테고리 분류방식과 Tag cloud 분류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카테고리분류방식은 같은 게시물이라도 블로그 관리자별로 해당 분류의 생성기준이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다른 분류에 속할 수 있어 이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게시물을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를 보완하는 방안으로 사용되는 Tag cloud 방식은 태그들을 흩어놓아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블로그에서 태그들을 그룹화하여 구현한 트리형 Tag cloud(이하 'TreeTag cloud') 모델을 통해 카테고리 분류방식의 트리 구조의 장점인 직관성 및 구조화와 Tag cloud 분류방식의 장점인 짧은 search depth 를 결합하여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