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메라 전송 단말장치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TDMA 기반 무선 IP 영상 전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DMA-Based Wireless IP Video Transmission System)

  • 윤상옥;석경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025-103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유선기반 CCTV 감시시스템과 IP 카메라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구축비용에 대한 부담을 절감하고자 무선 통신기술을 활용한 TDMA기반 PoE 무선 다중 IP 카메라 전송시스템 개발이며, 국산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고화질 영상의 원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대해 설계 및 구현 하고자 한다. 제안 관련 기술에 대한 선 IP 전송 시스템의 송수신 프로토타입과 무선 다중 IP 카메라 전송 단말장치 및 영상 수집 장치(SB-200)에 대해 기술하였다.

TDMA 기반 무선 IP 영상 전송 시스템의 모듈간 연동 평가 (Inter-Module Interworking Evaluation of TDMA-Based Wireless IP Video Transmission System)

  • 윤상옥;김명수;석경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0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유선기반 CCTV 감시시스템과 IP 카메라 시스템에 국산 무선통신기술을 활용한 고화질 영상의 원거리 무선 전송 기술에 대해 설계 및 구현에 대해 성능 평가을 하였다. 무선 다중 IP 카메라 전송 단말장치및 무선통신 RF 모듈간 연동시험과 무선 다중 IP 카메라 기반 영상전송시스템 통합 연동시험으로 영상 전송 시 모듈 연동 적합성을 확인한다.

영상 단말에 전송된 이미지를 이용한 전송 영상 복원 (Reconstruction of Transmitted Images from Images Displayed on Video Terminals)

  • 박수경;이선오;심동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9권1호
    • /
    • pp.49-5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들을 이용하여 전송된 영상의 원본 상태를 예측하는 복원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듬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디오 단말 스크린에 나타나는 영상들을 취득한다. 전송된 영상들은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들을 이용하여 예측해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들은 영상 출력 장치와 카메라의 특성에 의해 기하학적 왜곡과 컬러 왜곡을 포함하게 된다. 우리는 가중치 선형 모델을 이용하는 컬러 왜곡과 호모그라피를 이용하는 기하 왜곡 보정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이러한 왜곡들을 보정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한 알고리듬이 예측한 영상과 원본 영상과의 PSNR이 28 ~ 29 정도로 나타났다.

구형체 카메라를 이용한 무선 관제 시스템 (Wireless Control System Using Spherical Camera)

  • 장재민;신수용;지용주;채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4호
    • /
    • pp.461-466
    • /
    • 2016
  • 투척형 카메라는 사람이 진입하기 어려운 지역에 먼저 투입되어 해당 지역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투척형 카메라에 IoT기술을 적용시켜 당해 연구소에서 개발된 캡슐 모양의 감시/모니터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는 Edison 보드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실시간 비디오 데이터와 GPS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전송되는 데이터는 PC상의 서버 프로그램과 스마트 폰/태블릿에 설치된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투척형 카메라가 영상 정보만을 지원하는 것에 대비하여 영상정보뿐만 아니라 각 장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온/습도 데이터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 수의 카메라 화면을 서버프로그램에서 확인 할 수 있어 여러 장소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접속 방식도 기존의 투척형 카메라는 단거리 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또는 전용단말장치와의 연동만을 고려한 것에 대비하여 원격지 서버와의 통신 연동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휴대용 단말 기반 의료용 무선 방사선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Device Based Wireless Medical Radiation Monitoring System)

  • 박혜민;홍현승;김정호;주관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9권3호
    • /
    • pp.150-158
    • /
    • 2014
  • 각 의료기관 내 방사선 관련 종사자나 방사선 치료환자들은 진단 및 치료 시 필연적으로 의료상 피폭을 수반하게 된다.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ICRP) 권고나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기준에 따라 기준선량 제약치를 적용 및 권고 받고 있지만 1차 피폭대상자인 종사자나 환자들의 피폭최적관리를 위해서는 잠재적인 피폭대상자들에게 기존의 피폭관리 시스템보다 직접적이고 가용성이 높은 측정 및 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구비된 휴대용 단말과 연동하여 원거리에서 실시간으로 방사선 모니터링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검출부, 영상부, 통신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검출부는 시스템의 소형화를 위해 실리콘 광증배소자(silicon photomultiplier) 기반 섬광검출기를 설계하였으며, 영상부는 무선 CCD (charge-coupled device)카메라 모듈을 사용하여 검출부와 함께 Bluetooth 통신모듈을 통해 휴대용 단말로 측정된 방사선 정보와 영상이 전송된다. 제작된 시스템은 성능 평가를 위해 진단용 X-ray 발생장치와 $^{137}Cs$, $^{22}Na$, $^{60}Co$, $^{204}Tl$, $^{90}Sr$ 선원을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은 gamma, beta, X-ray에 대해서 검출 반응성을 확인하였고, 방사선 세기에 따른 응답 선형성과 MCNPX 전산코드를 이용한 측정 거리에 따른 시스템의 검출 정확도 평가 시 3% 내외의 오차범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사선 검출 시스템 구성의 비용절감 효과와 개인피폭정도관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