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메라제어

검색결과 1,044건 처리시간 0.048초

인원 출입 권한과 연계한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 시스템 (Smartphone Camera Control System in connection with Personnel Access Rights)

  • 전병진;한군희;신승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93-10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체의 임직원이나 협력사 직원들이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해 기업의 제품 도면이나 기밀유지가 보장되어야 하는 제품 개발 시 진행되었던 업무 내용이 저장된 문서 등을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하여 외부로 유출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허가된 사용자에 대한 사진 촬영과 기업체 내부에서만 촬영된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인원 출입 권한과 연계한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업체에 상주하는 임직원, 협력사 직원들과 방문객들의 스마트폰 제어 프로그램(MCS : Mobile Camera Control System) 대한 설치현황을 개발하여 출입이 허가된 지역에서 설치된 스마트폰 제어 프로그램 작동여부를 실험 및 분석한다. 또한, 방문객들이 기업체 방문 시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한 사진 촬영의 방지효과와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부분에 부착하는 봉인 스티커 비용의 절감효과가 나타났다.

웹 기반의 삼차원 스테레오 카메라 원격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 Based Remote Control System for Three-Dimensional Stereo Camera)

  • 김삼룡;임인택;이영란;이정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2호
    • /
    • pp.337-34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운 극한 환경에 웹-서버에 연결된 삼차원 입체 스테레오 카메라를 설치하고 안전한 상황실에서 원격지의 상황을 쉽게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클라이언트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삼차원 입체 영상 카메라의 주시각/초점 및 줌-인, 줌-아우트 그리고 팬/틸트 기능을 제어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환경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바 애플릿을 이용하여 설계 및 구현되었고, 그 동작 결과를 테스트하였다.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Vergence Control of the Parallel-axis Stereo Camera using Signal Processing)

  • 이광순;김형남;허남호;엄기문;안충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2호
    • /
    • pp.151-15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평행축 입체 카메라는 양안식 입체 카메라 중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좌·우 영상 센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입체 영상 시차 조절 기능인 주시각 제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상 센서(UD)와 렌즈를 분리하고 영상 센서가 평행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며 주시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축 입체 카메라는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 제어를 위한 CCD의 이동은 실제 영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평행축 입체 카메라로 얻은 영상에서, CCD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지는 부분만큼을 제거하고 영상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 원래 영상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보간하는 신호처리의 과정을 통한 주시각 제어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CCD의 이동량에 따라서 화질의 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 주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CCD의 이동량은 크지 않기 때문에 화질 열화를 거의 느끼지 않으면서 주시각이 제어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인터넷기반의 원격제어 카메라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remote control camera system based on internet)

  • 최기훈;김영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4-506
    • /
    • 1997
  • CCD camera is usually used for monitoring device. In most cases, he monitoring is performed from long distance. In this study, a camera system controlled through internet is developed. Using the system, not only we can get image information in real time but also we can control the orientation of the camera from long distance. Furthermore wireless communication is carried out between the camera and the server computer for verity of the application.

  • PDF

카메라 Roll 값 제어장치의 개발 (The Control Device for Camera Roll Value)

  • 정용범;고일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70-772
    • /
    • 2016
  • 방송 영상 제작을 위한 특수기번에는 여러 가지 장치가 존재한다. 특히 영상미를 높이기 위해 카메라 스태빌라이져에 대한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스태빌라이져의 경우 연속 촬영에서 앵글의 좌우와 업다운 변경 등에 대한 제약을 갖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카메라 Roll 값 제어장치를 활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다양한 특수 영상 제작이 가능해지고 이를 응용하여 다른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얇은막대 배치작업에 대한 N-R 과 EKF 방법을 이용하여 개발한 로봇 비젼 제어알고리즘의 평가 (Evaluation of Two Robot Vision Control Algorithms Developed Based on N-R and EKF Methods for Slender Bar Placement)

  • 손재경;장완식;홍성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4호
    • /
    • pp.447-459
    • /
    • 2013
  • 실제 산업현장에서 비젼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로봇 비젼 제어알고리즘의 기구학모델의 정확도, 로봇이 움직이는 동안 카메라 초점거리와 방위에 대한 보정, 3 차원 물리적 좌표에서 2 차원 카메라 좌표로의 매핑에 대한 이해 등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 제안된 비젼 시스템 모델은 카메라와 로봇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가 알려지지 않아도 제어가 가능하고, 카메라 보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 개의 카메라 매개변수를 가지는 비젼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로봇 비젼 제어알고리즘 개발에 N-R 방법과 EKF 방법을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N-R 과 EKF 방법에 의하여 개발된 로봇 비젼 제어 알고리즘의 위치 정밀도와 데이터 처리 시간을 얇은 막대 배치작업을 수행하여 비교하였다.

헤일레이션 방지 디스크를 이용한 소형 카메라 이미지 화질개선 연구 (Research for Image Enhancement using Anti-halation Disk for Compact Camera Module)

  • 김태규;송인호;한찬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6-3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소형 카메라 모듈의 화질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렌즈의 성능을 평가하며, 플레어 및 헐레이션 방지 디스크를 삽입하여 렌즈의 성능이 개선되는 효과를 검증한다. 카메라 모듈의 화질을 평가하는 카메라 모듈 화질검증 시스템과 이미지 신호 처리기(Image Signal Processor, ISP) 내부의 레지스터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 제어 프로그램 및 화질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제안된 헐레이션 방지 디스크를 삽입된 카메라 모듈의 화질을 기존 카메라 모듈의 화질과 비교평가에서 획득된 영상의 해상도, 밝기, 색재현 등의 성능을 검증한다.

Overview of KMTNet Control Software

  • Cha, Sang-Mok;Lee, Chung-Uk;Lee, Yongseok;Kim, Dong-Jin;Lee, Dong-Joo;Kim, Seung-Lee;Jin, Ho
    • 천문학회보
    • /
    • 제43권1호
    • /
    • pp.70.3-70.3
    • /
    • 2018
  • 외계행성 탐색시스템의 망원경-카메라 제어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구성과 관측 유틸리티에 대해 소개한다. 망원경 제어 소프트웨어는 천문 위치보정, 포인팅, 돔 회전 등을 담당하는 PC-TCS 프로그램, 망원경 적경-적위 축 서보 제어를 담당하는 full-closed loop PID 컨트롤 프로그램, 포커서, 필터박스, 돔 셔터, 주경냉각, 온도 모니터 등의 보조 시스템을 제어하는 AUX controls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제어 소프트웨어는 모자이크로 구성된 여러 CCD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IC(Instrument Control) 패키지와 이들을 총괄 제어하는 ICS(IC Science) 패키지로 구성되며 망원경과 카메라 소프트웨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는 TCS Agent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관측 진행을 돕는 유틸리티로서 관측제어 명령어 입력 및 관측 스크립트 구동 기능을 제공하는 OBS Agent 프로그램과 가이드 CCD를 이용한 시상 모니터링 및 자동초점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각 소프트웨어는 UDP, TCP/IP, RS-232, Redis server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며, CCD 영상 자료 전달을 위해 RAM(Random Access Memory) 디스크와 Network File System(NSF)을 이용하고 있다.

  • PDF

CCD 카메라를 이용한 크레인 주행 레인 인식

  • 김정식;김민섭;이해규;노태정;안병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5-12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RTG 크레인의 주행 노면에 표시된 주행 레인을 인식하여 이를 영상 처리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RTG 크레인의 직진 주행에 필요한 크레인의 절대 위치 즉 주행 편차 거리 및 자세 편차각 등을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영상에 포함된 참고물체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한 이족로봇의 균형제어기법 (Balance Control Scheme of a Biped Robot using Geometrical Information of a Reference Object in an Input Image)

  • 박상범;한영준;한헌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7권 제1호
    • /
    • pp.253-256
    • /
    • 2007
  • 본 논문은 로봇이 영상을 통해 획득한 특정물체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이족로봇이 안정적으로 보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균형제어기법을 제안한다. 영상은 핀 홀 카메라 모델을 통해 획득하였으며, 영상에 포함되는 특정물체의 특징성분에 대한 변위와 로봇의 자세와의 상관관계는 핀 홀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공간좌표계의 특징정보를 평면좌표계의 영상정보에 매칭시킨 후, 특징들의 변위에 따른 로봇 관절 좌표계의 변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균형제어기법은 별도의 센서없이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이족보행 로봇의 균형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소형이족로붓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그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