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카메라보정

Search Result 730, Processing Time 0.04 seconds

Geometric and Photometric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for Low Cost Digital Cameras (저가형 디지털 카메라 적용을 위한 기하학적 왜곡 및 광도 왜곡 보정 방법)

  • 유원필;정연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05-20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 렌즈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렌즈계 왜곡에 의한 영상 품질 저하 현상을 소개하고 이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렌즈계 왜곡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기하학적 왜곡과 광도 왜곡이 그것이다. 이상적인 렌즈계가 아닌 경우 이러한 왜곡 현상은 필연적으로 발생을 하게 되는데 왜곡 보정을 위해서 기존의 카메라 캘리브레이션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학적 왜곡 보정을 위한 이미지 워핑 방법을 제시하며 아울러 광도 왜곡 보정을 위한 보정 방법을 다루고자 한다.

  • PDF

Radial Distortion Correction for Black box Camera Using Average Image (평균영상을 이용한 블랙박스 카메라의 기하왜곡 보정 기법)

  • Cheong, Jun Young;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132-13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블랙박스 카메라에 적합한 기하왜곡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정교한 카메라 보정 기법 없이 카메라 중심점을 지나는 직선주행 평균 영상에 나타나는 소실점과 카메라 중심점의 기하학적 관계와 기하왜곡에 의해 왜곡된 소실선을 특징으로 한 향상된 Hough 기법을 이용하여 기하왜곡된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에 대한 단일 기하왜곡 매개변수 모델을 추정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각각의 기하왜곡 매개변수 후보들에 의해 보정된 영상의 소실선들에 대한 에지픽셀들의 향상된 Hough 기법의 투표과정을 통한 최적의 후보선출 과정, 선출된 기하왜곡 매개변수를 초기변수로 최다 투표된 소실선들에 대한 에너지함수 최적화 과정, 최적의 기하왜곡 매개변수를 추정하여 왜곡된 블랙박스 카메라 영상보정 과정으로 이뤄진다.

  • PDF

An Easy Camera-Projector Calibration Technique for Structured Light 3-D Reconstruction (구조광 방식 3차원 복원을 위한 간편한 프로젝터-카메라 보정 기술)

  • Park, Soon-Yong;Park, Go-Gwang;Zhang, Lei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7B no.3
    • /
    • pp.215-226
    • /
    • 2010
  • The structured-light 3D reconstruction technique uses a coded-pattern to find correspondences between the camera image and the projector image. To calculate the 3D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ences, it is necessary to calibrate the camera and the projector. In addition, the calibration results affect the accuracy of the 3D reconstruction. Conventional camera-projector calibration techniques commonly require either expensive hardware rigs or complex algorithm.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asy camera-projector calibration technique. The proposed technique does not need any hardware rig or complex algorithm. Thus it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structured-light 3D reconstruction. We present two camera-projector systems to show the calibration results. Error analysis on the two systems are done based on the projection error of the camera and the projector, and 3D reconstruction of world reference points.

A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of Wide-Angle Camera Images through the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a Camera Model (카메라 모델의 추정과 검증을 통한 광각 카메라 영상의 왜곡 보정 방법)

  • Kim, Kyeong-Im;Han, Soon-Hee;Park, Jeong-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12
    • /
    • pp.1923-1932
    • /
    • 2013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everely distorted images from a wide-angle camera, we propose a calibration method which corrects a radial distortion in wide-angle images by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camera model. First, we estimate a camera model consisting of intrinsic and extrinsic parameters from calibration patterns, where intrinsic parameters are the focal length, the principal point and so on, and extrinsic parameters are the relative position and orientation of calibration pattern from a camera. Next we validate the estimated camera model by re-extracting corner points by inversing the model to images. Finally we correct the distortion of the image using the validated camera model.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correct the distortion more than 80% by the calibration experiments using the lattice shaped pattern images captured from a general web camera and a wide-angle camera.

Colorimetric calibration of digital camera excluding illuminant effect (광원의 영향을 제거한 디지털 카메라의 색보정)

  • 류종우;박승옥;김홍석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2a
    • /
    • pp.120-121
    • /
    • 2003
  •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해보면 원래 이미지의 색과는 다르게 보인다. 그 이유는 촬영할 때 주변 광원의 영향이 이미지에 미치고 두 장치간의 색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두 장치간의 색 특성이 다른 이유 때문에 본 연구의 목표인 디지털 카메라의 색보정 이외에 모니터의 색보정도 고려되어야 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옵션 중에는 White Balance 기능이 있어서 자체적으로 주변 광원의 변화에 따른 색보정을 수행하지만 White Balance 기능만으로는 주변 광원의 영향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다. (중략)

  • PDF

Calibration of Active Binocular Vision Systems (능동 양안시 장치의 보정)

  • 도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0.11a
    • /
    • pp.432-435
    • /
    • 2000
  • 로봇의 지능적 작업을 위해서는 3차원 공간에 대한 감각기능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목적으로 시각장치가 사용되었을 경우 보정은 여타 절차에 선행하게 된다. 실제 보정 과정중 중요한 것은 제어점들과 그들의 영상점을 획득하는 일과 이를 이용한 광학적, 기하학적 카메라의 파라메터 결정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빔프로젝터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는 양안시 장치를 활용하여 많은 수의 3차원 제어점들과 이들의 영상좌표값들을 간편하게 획득하는 방법을 서술한다. 또, 위치가 고정된 카메라의 경우와 달리 능동 카메라 장치는 그 파라메터의 일부가 변수가 되는데, 이 경우에 유용한 선형의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nalyzing effects of correction of image distor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tterns, size of image files and the number of image files (패턴 개수, 이미지 파일 크기, 이미지 파일 개수가 영상왜곡보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 Cheon, Sang-kyu;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11-314
    • /
    • 2013
  • 방사왜곡, 접선왜곡으로 인해 영상의 왜곡이 발생한다. 왜곡 영상은 시각적인 문제 외에도 영상분석을 통해 정확한 수치 계산을 통해 영상을 처리할 때, 문제가 되기 때문에 영상을 보정해 주어야한다. 감시 시스템, 로봇의 시각 역할 등 다양한 비전 시스템에서 카메라가 장착되어 왜곡보정에 대한 사용도가 증가 하고 있다. 그리고 한 광각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은 비선형적인 방사 왜곡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왜곡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왜곡된 영상을 올바르게 보정 해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은 영상 좌표계의 한 점이 실세계 좌표계의 어느 위치에 대응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보정 변수들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수행할 때 패턴 개수, 이미지 파일 크기, 이미지 파일 개수가 영상 왜곡 보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을 때 다른 어떤 경우보다 패턴 개수를 비교적 작게 했을 때의 경우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Compensation of active camera motions by using a sensor for tracking of a moving object (센서를 이용한 능동 카메라 움직임 보정 및 이동 물체 추적)

  • Youn, Su-Jin;Heo, Oh-Chul;Ahn, Jae-Hong;Park, Ki-H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4a
    • /
    • pp.119-120
    • /
    • 2008
  • 움직이는 물체 영역 검출 시 연속된 두 영상간의 차영상을 통하여 구하는 방법은 가장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능동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험할 경우 두 연속된 영상 간 배경의 움직임, 즉 카메라의 움직임 영역이 함께 포함되기 때문에 실제로 움직인 물체만을 찾아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를 보정하는 방법 영상의 처리를 통만 배경의 예측 및 보정, 그리고 센서를 통해 카메라가 움직인 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보정해주는 방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팬틸트 장비에 장착된 카메라에 센서를 부착하여 각 시간 간격 당 움직인 각도를 획득, 이를 이용하여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에서의 픽셀 위치 변화 관계를 구하여 카메라의 움직임을 보정한다. 그리고 보정된 영상과 이전 영상간의 비교 통해 움직임 영역을 구하고 움직인 물체의 센트로이드를 구한다. 이때 센트로이드가 항상 이미지 플레인의 중심점과 일치하도록 팬틸트 파업을 수행한다.

  • PDF

Distortion Correction of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an Infrared Camera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한 표면온도측정의 왜곡 보정)

  • Lee, Sungmin;Kim, Ikhyun;Lee, Jong Kook;Byun, Yunghwan;Park, Gi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7
    • /
    • pp.545-551
    • /
    • 2016
  • Surface temperature of supersonic wind tunnel model was measured using an infrared thermography technique. To measure the temperature quantitatively, various calibration techniques such as blackbody calibration which converts detected camera signal to temperature, distortion correction due to the camera lens and an imbalance of camera pose, and emissivity calibration which considers viewing angles to the model surface, were employed. Throughout the study, for th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 it was verified that the distortion correction must be considered even for the use of two-dimensional model in aerodynamics testing.

Color Correction Method of CIS Digital Camera for Mobile Phone (휴대폰용 CIS 디지털 카메라의 컬러 보정법)

  • Kim Eun-Su;Jang Soo-Wook;Lee Sung-Hak;Han Chan-Ho;Jung Tae-Young;Sohng Kyu-I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3 no.4 s.310
    • /
    • pp.9-18
    • /
    • 2006
  • In the digital camera system, CMOS image sensor (CIS) is widely used because its size and weight become smaller and power consumption becomes lower. However, there are common problems that colors of the recorded image do not match those of the photographed object and that spectral sensitivity of the CIS used in different cameras varies largely in each case. Therefore, color correction is needed because the spectral sensitivity of the CIS in each color is neither the same color component for most standard colors nor the appropriate color representation for any output devices. In the conventional method, a color correction is empirically obtained by a large number of iterative experiments, but the result is not so satisfied.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obtain the efficient color correction matrix for digital camera using CIS is proposed. We obtain camera transfer matrix under the certain white-balance point, and color correction matrix that makes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digital camera close to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ideal camera is obtain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transfer characteristic of digital camera by the proposed method is close to that of the ideal camera. In addition, the image quality of pictures of digital camera using the proposed method is dramatically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