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를로 몰리노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카를로 몰리노의 초현실적 공간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 (Carlo Mollino surrealistic design method)

  • 마르코 브르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54-65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카를로 몰리노(1905~1973)의 복합적인 특징을 그의 초현실적 공간구성 방식을 특별히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에 있다. 몰리노는 가장 독창적인 현대 이탈리아 건축가들 중 한 명이다. 그는 생애동안 그의 작품들은 비평가들에게는 인정을 받지 못했다. 그의 반 순응적인 성격과 극심한 개인주의도 일조를 하였지만 가장 큰 이유는 그의 작품들이 그의 전문적인 활동과 다양한 개인적인 관심사 사이에서의 강박적인 상호작용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이다. 그의 독창성은 그의 능력에 있는 것으로, 항공학, 자동차, 스키, 무대 디자인, 패션, 예로티즘, 문학 그리고 그 외 수많은 다양한 분야에서 얻었던 지식을 디자인하고 건축으로 변형하려는 그의 초현실주의 배경에서부터 나온다. 개인적인 집착으로 그의 작품을 키워가면서 몰리노는 당시 현대 건축의 모든 관습들을 깨고 전문적인 능숙함과 독특한 예술적 시야 사이에 걸려있는 독특한 디자인 표현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몰리노의 독특한 공간 구성 방식을 벗겨내기 위해 그의 배경, 즉 그가 열정적으로 탐구했던 연구 분야들과 전문적인 생산물 사이의 연결고리를 분석한다.

카를로 몰리노의 공간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 주요 작품의 개념적 전제와 계획적 전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Spatial Composition in the Works of Carlo Mollino - Based on the analysis of conceptual investigations and design strategies -)

  • 김일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15-123
    • /
    • 2007
  •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method and strategy of spatial composition in the selective works of Italian architect Carlo Mollino. With the continuos renovation of the interpretative frames and method on modernity and in particular on the spatial phenomenon, works of Mollino, once disregarded by the historiography and evaluated for its peculiarity. emerge as important architectural phenomenons. The intrinsic value in his works also enable to comprehend the complexity and multiplicity of modern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order to achieve this preposition, six important works were analyzed with three key words,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of each work and Mollino's contribution in the spatial composition of domestic and public spaces. Evaluation of the spatial strategies in conceptual investigations of Mollino had been underestimated to the relative poor conservation or incomprehension of various work, excluded from the categories of architectural elaborations. This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in the broad sense, the dialectical significance of modernity by emphasizing the aspects of his work related with Surrealism and vernacular tradition, as well as with its relationship with the various spatial disposi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