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카니발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최동훈 영화의 사회반영성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을 중심으로- (Social Reflection of Director Choi Donghoon -based on the Theory of Carnival of Mikhail M. Bakhtin)

  • 이민호;이효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25-136
    • /
    • 2013
  • 최동훈은 <범죄의 재구성>(2004), <타짜>(2006), <전우치>(2009), <도둑들>(2012) 등의 영화를 만들어내며, 한국의 주류 영화감독으로 인정받음과 동시에 영화의 상업적 성공을 이루어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했다. 본고는 최동훈의 영화가 수많은 관객과의 소통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시대적 삶을 우화적으로 그리면서 민중 문화적 축제 즉 카니발적 성격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보고자 한다. 이는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 이론과 맞닿아 있다. 바흐친에게 카니발 이론은 민중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었고, 최동훈 역시 자신의 영화 속 세계를 묘사할 때 카니발 이론의 요소들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니발 이론의 미적 요소 중 탈관과 대관, 권위의 전복과 조롱, 향연의 이미지가 최동훈의 영화 속에서 캐릭터를 통해, 격하와 조롱, 군중의 언어가 대사와 이미지를 통해, 과거와 현재, 시점의 통합이 플래시백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특징들은 최동훈 영화에 일관되게 드러나며, 최동훈의 영화는 카니발 이론처럼 민중의 세계를 묘사하고 바라본다. 이것이 최동훈이 영화를 통해 하는 현실반영이자 현실참여이다. 관객은 그런 최동훈의 시각에 동조하고 호응한 것이었다고 본다.

우모쪼기와 카니발리즘의 원인, 예방과 치료

  • 이광
    • 월간양계
    • /
    • 제18권2호통권196호
    • /
    • pp.68-73
    • /
    • 1986
  • 본고는 미국 알칸사주립대의 이광 박사가 월간양계 독자들을 위해 특별기고한 것으로 카니발리즘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 3회에 걸쳐 게재하고 있다.

  • PDF

카니발리즘과 양계(상) (Cannibalism in Poultry 1)

  • 이광
    • 월간양계
    • /
    • 제18권1호통권195호
    • /
    • pp.99-102
    • /
    • 1986
  • 본고는 미국 알칸사주립대의 이광 박사가 월간양계 독자들을 위해 특별기고한 것으로 카니발리즘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 3회에 걸쳐 게재할 예정이다.

  • PDF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 공포요소의 카니발적 표현 연구 (Research on the Cannibal Expression of Invisible Horror Elements in Films)

  • 이윤석;진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90-200
    • /
    • 2011
  • 시각적 공포요소가 등장인물과 직접적으로 대치하고 물리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과 달리 비가시적 공포요소는 암시와 상상을 통해 표현되며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다.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실체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디아더스'와 같이 공포의 주체와 피해자의 관계가 전복되거나, '해프닝'과 '파라노말 액티비티'에서처럼 신체강탈이라는 방법으로 표현된다. 관계의 전복은 갑작스러운 성격의 변화를 야기하고, 신체강탈은 타인의 신체를 취한다는 점에서 식인행위와 연결된다. 식인행위와 성격의 변화는 카니발리즘에서 따르는 하위질서의 공식화와 비논리성에 속하는 것이다.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인 공포요소가 지니는 의미는 유토피아적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카니발리즘의 본래의 의미와는 상반되어 보이지만 역할을 뒤집어 공포로 인한 갈등과 긴장이 해소되고 공포로부터 해방된다는 면에서 볼 때, 카니발의 정신인 '자유의 영역'으로 들어간다는 것과 의미가 상통할 것이다. 저자는 본 연구에서 비가시적 공포요소가 나타나는 영화의 표현과 플롯이 카니발리즘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분석해 보려고 한다.

카니발리즘으로 읽는 『보헤미아의 빛』 (Reading Luces de Bohemia with Carnivalism)

  • 김선욱
    • 이베로아메리카
    • /
    • 제21권2호
    • /
    • pp.25-52
    • /
    • 2019
  • 에스페르펜토는 바예 인클란의 문학에서 가장 독창적인 미학체계로 현실을 오목거울에 반영된 모습으로 그리는 기법이다. 그런데 바예 인클란의 독창적인 미학 체계인 에스페르펜토의 서술전략은 많은 지점에서 마하일 바흐친의 카니발리즘과 맞닿아 있다. 『보헤미아의 빛』에서 사용된 에스페르펜토의 여러 기법들이 바흐친의 카니발리즘적인 기법으로 설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바예 인클란의 『보헤미아의 빛』에 나오는 에스페르펜토적인 기법을 바흐친의 카니발리즘의 차원에서 되짚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바예 인클란의 첫 번째 에스페르펜토 극작품인 『보헤미아의 빛』은 다성성, 진지함의 전복성, 패러디, 그로테스크적 리얼리즘, 광장, 양가성, 변칙적인 시공간의 구조 등의 층위에서 지배계층의 권력이나 권위의 탈중심적인 전복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하일 바흐친의 카니발적인 요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다. 에스페란토와 카니발주의는 당시 스페인 사회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넘어 사회 현실을 해석하는 도구이다. 등장인물들은 고전 영웅들처럼 자신의 운명을 적극적으로 개척하기 보다는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모든 외부적인 요인에 수동적으로 행동한다. 현대인은 현대 문명의 외적인 환경에 대항하거나 그것을 통제하지 못한다. 그래서 비극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실에 도전하는 비극의 영웅은 사라지고, 이 작품의 주인공인 막스 에스트레야와 같은 꼭두각시가 그 자리를 대체한다. 이것이 바예 인클란이 『보헤미아의 빛』에서 시도한 카니발적 유머의 진정한 의미이자 풍자이다.

크리스 커닝햄의 작품에서 표현된 그로테스크 신체 (Expression of Grotesque Body in Chris Cunningham' Work)

  • 김호;김재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73-180
    • /
    • 2009
  • 최근 신체는 미의 범주에서 점차 확대되어 환경에 의해 변형되는 유기적인 매체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러한 신체는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술 발달의 의해 변형되고 왜곡되어 더 현실감 있게 재현되고 있다. 이렇게 과장된 신체의 이미지에서 관객들은 그로테스크한 느낌을 받게 된다. 영국 감독 크리스 커닝햄은 그로테스크 신체를 주제로 영상작업을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한 카니발적, 언캐니적 그로테스크 신체 표현 방식의 단계와 그로테스크 신체 이미지의 궁극적인 목표에 관해 접근 하였다.

카니발 축제의 가면에 대안 연구 (A Study of the Masks for the Carnival Festivals)

  • 한순자
    • 복식
    • /
    • 제59권7호
    • /
    • pp.34-49
    • /
    • 2009
  • Carnival is an allowed chance to express ordinarily suppressed and overlooked emotions. Especially with strong meaning of daily overthrow masks, masquerades, and mask-costumes are essential for expressing methods and festival personality reasons. Carnival in modern society without losing a significant portion religion in a format suitable for the era of secularization and the transformation has been created of nothing, that is not a reflection of society is also a cultural phenomenon of its own internal social and external conditions through a variety of means can analogy cultural phenomenon is a stag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omes from the carnival festivities, religious background, but the daily routine of life to know who joined his escape with the conduction of the role, going to enjoy the satire and humor, using the Dress to the eruption, which means that the form of the festival variety of analysis and with the victory of the expression of cultural phenomena and features on the festival and the dress for you should you wish to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