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투해석

Search Result 72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odeling of Chloride Ingress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염소이온 침투 모델)

  • Koo, Hyun-Bon;Kim, Eui-Tae;Lee, Kwang-M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5 no.1
    • /
    • pp.25-34
    • /
    • 2003
  • The degradation of reinforced concrete (RC) structures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attacks has been a major issue in construction engineering. Deterioration of RC structures by chloride attack followed by reinforcement corrosion is one of the serious problems.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m of mathematical model of chloride ingress into concrete. In order to overcome some limits of the previous approaches, a chloride ingress model, consisting of chloride solution intrusion through the capillary pore and chloride ion diffusion through the pore water, was proposed. Moreover, the variability of chloride ion diffusivity due to the degree of hydration of cement, relative humidity in pore, exposure condition, and variation of chloride binding, was considered in the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s predicted by the proposed model were compared with analysis results of Life-365, a computer program for predicting the service life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exposed to chlorides. In conclusion, the proposed model would be promising to predict the chloride ion profile and to estimate the service life of RC structures.

Numerical model for infiltration in riverbank and its foundation (하부투수층을 고려한 제방침투 수치모델링)

  • Lee, Nam-Joo;Kim, Ji-Hyun;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41-54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SEEP2D 모형을 사용하여 하부에 투수지반을 갖는 제방 내부의 침투흐름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제방의 재료는 4대강사업 낙동강 제2하구둑 건설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입도분석과 들밀도시험을 통해 구한 제방의 건조단위중량과 다짐도 및 제방의 투수계수는 각각 $1.372g/cm^3$, 93%, 1.35 m/day이다. 투수지반층과 1:3 비탈경사를 가지는 제방모형을 제작하여 연직 이차원 정상류 침투해석 모형을 해석하는 SEEP2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나온 결과 값을 수리모형 실험 결과 값과 비교하였다. 모의조건은 0.45 m, 0.50 m, 0.55 m, 0.60 m의 4가지 수위(각각 Case1~4)조건에 대하여 수리모형실험과 동일한 조건을 수치모형에 적용하였다. 수치모형의 결과는 실험결과와 비교적 일치하였지만 제방의 비탈사면이 시작하는 부분에서는 수치모형의 결과 값보다 실험결과 값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각의 조건별로 수치해와 실험 결과값을 비교해본 결과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제방의 비탈사면이 시작하는 지점부터 수치모형의 결과 값보다 실험결과 값이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Case3의 경우 4.35 m 지점부터 6.00 m 지점까지 유출이 발생하였으며 수치모형의 결과값과 실험결과 값의 차이가 가장 작게 나타났다. 사면유출 길이는 Case4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최대 4.10 cm로 발생하였다.

  • PDF

Stability Behavior of Geotextile Tube Composite Structure by Slope Stability and 2-D Limit Equilibrium Analysis (2차원 한계평형 및 사면안정해석을 통한 지오텍스타일 튜브 복합구조물의 안정성 분석)

  • Oh, Young-In;Shin, Eun-Chul;Kang, Jeong-Gu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5 no.4
    • /
    • pp.11-18
    • /
    • 2006
  • Geotextile has been used for various types of containers, such as small hand-filled sandbags, 3-dimensional fabric forms for concrete paste, large soil and aggregate filled geotextile gabion, prefabricated hydraulically filled containers. They are hydraulically filled with dredged materials and have been applied in coastal protection and scour protection, dewatering method of slurry, temporary working platform for bridge construction, temporary embankment for spill way dam construction. Recently, geotextile tube technology is no longer alternative construction technique but suitable desired solution. The paper presents the stability behavior of geotextile tube composite structure by 2-D limit equilibrium and slope stability analysis. 2-D limit equilibrium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geotextile tube composite structure to the lateral earth pressure and also transient seepage and st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re pressure distribution by tide variation and slope st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paper, the three types of geotextile tube composite structure is stable and also slope stability of overall geotextile tube composite structures is stable with the variation of tidal conditions.

  • PDF

The evaluation of applicabil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 of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AT 모형의 농업용 저수지 유역에 대한 적용성 평가)

  • Jang, Cheol-Hee;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21-121
    • /
    • 2011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CAT은 수자원의지속적확보기술개발사업(2008 ~ 2011)의 연구 성과로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하였다. 2008년 말에 모형의 기본구조가 개발되었고, 2009년에는 세부 알고리즘인 증발산, 침투, 유역 유출, 지하수 유거, 하도추적 등의 모듈과 사용자 편의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010년에는 우리나라 논의 특성을 반영한 논 유출 해석 모듈 및 저류지, 침투시설, 습지, 빗물이용시설 및 하천에서의 취수와 도수 등과 같은 물순환 개선시설을 평가할 수 있는 모듈을 추가하여 개발하였으며 2010년 3월에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 1.0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다. 2010년 12월 에는 1.0 베타 버전에 침투해석모듈(Green&Ampt, Horton), 논에서의 개량물꼬 배수, 침투녹지(Bioretention) 및 차집관거 기능을 추가하였고, 기타 GUI의 업그레이드 및 추가를 통하여 1.5 베타 버전을 출시하였다. 현재까지 여러 자연유역과 신도시 개발지역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연유역과 신도시 개발지역 외에 농업용 저수지와 논 관개지구가 위치한 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농업용수 지구이며 농업수리시설의 종류와 규모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농촌유역으로써의 대표성을 가지고 기존의 관측자료가 풍부한 점 등을 고려하여 경기도 평택의 이동유역을 선정하였다. 이동유역은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남사면 일원이며 서쪽은 경기도 오산시, 남쪽은 평택시, 안성시 그리고, 북쪽은 용인시와 인접하고 있다. 이동유역 내 주요시설로서 유역면적 $94.4km^2$의 이동저수지와 상류에 용덕저수지($12.41km^2$)와 미산저수지($4.39km^2$), 노곡저수지($2.00km^2$)의 3개 저수지가 위치하며 2개의 유입하천(진위천, 송전천)에 의해 이동저수지로 유입된다.

  • PDF

Analysis on Contaminant Transport according to the Embedded Depth of Vertical Barrier of Offshore Landfill (해상 폐기물매립지 연직차수벽체 근입심도에 따른 오염물질 이동특성 분석)

  • Park, Haeyong;Oh, Myounghak;Kwon, Oso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7 no.8
    • /
    • pp.29-37
    • /
    • 2016
  •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contaminants in offshore landfill, vertical barrier should be installed. Vertical barrier should be installed at designed depth of seabed to prevent the horizontal transport of contaminant in the subsurface. In this study, the seepage and contaminant transport in the subsurface according to embedded depth of vertical barrier were analyzed by using 2-D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SEEP/W and 3-D finite difference analysis program Visual Modflow. Numerical modelling results show that seepage flux and contaminant transport in seabed was greatly reduced when vertical barrier was installed at certain depth of low permeable layer. Therefore, the determination of minimum embedded depth for preventing contaminant leakage is helpful to design the economical vertical barrier.

Comparison of Rainfall Seepage Characteristics of Gneiss and Granite Weathered Soil (편마암풍화토와 화강암풍화토의 강우 침투특성 비교)

  • Song, Young-Suk;Yoo, Yong-Jae;Kim, Tae-Wan;Kim,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7 no.6
    • /
    • pp.21-28
    • /
    • 2021
  • The factors of landslides depend on rainfall intensity, du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il slope. The conventional slope stability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by assuming that the slope is saturated. But, a site slope consisting of unsaturated ground must be imitated and interpreted in order to explain a proper behavior of the slope due to rainfall. In this study, by using two major categories of soils in Korea, such as granite and gneiss weathered soils, landslid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have been compared with the difference of seepage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In general, the permeability of gneiss weathered soil, which contains a lot of fines content, is slower than that of granite weathered soil. As a result, in extreme rainfall, numerical analysis can show results that can penetrate quickly, resulting in saturation or more dangerous collapse.

Methodologies for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Shape Charge Jets and Targets (성형작약제트와 표적 상호작용 해석 방법론)

  • Kang, Min Ah;Park, Sung Jun;Greulich, S.;Hartmann, T.;Moon, Sei-H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31 no.3
    • /
    • pp.11-21
    • /
    • 2022
  • Two methods for analyzing interaction between shaped charge jets and targets are taken in AVEAM-MT (ADD Vulnerability and Effectiveness Assessment Model for Materiel Target), which is a model for vulnerability analysis of materiel targets and being developed by ADD. One is an empirical method improved from the Fireman-Pugh technique for rapid penetration calculation into target components. The other is ADD-TSC(ADD Tandem Shaped Charge), which is a physics-based model extended to be applicable for shaped charge jets from the Walker-Anderson penetration model for higher fidelity analysis. In this paper, the two methods are briefly described, and the empirical technique is compared to the physics-based model in the prediction of residual penetration capacity. The latter is also compared to experimental results found in literature in predicting penetration capacity. These comparisons show that both methods can be used for fast calculations or higher fidelity calculations in vulnerability analysis models like AVEAM-MT which is required to perform a considerable amount of iterative simulation for damage analysis.

Assessment of a Slope Stability of Unsaturated Soils (불포화 자연사면의 안정성 평가)

  • Ryu, Chi-Hyob;Kim, Sa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2.03a
    • /
    • pp.773-778
    • /
    • 2002
  • 강우시 불포화 자연사면의 파괴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면내 모관흡수력의 변화를 고려한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사면에는 강우계, Tensiometer, Pizometer, Water mock, 경사계 등이 설치되었으며 강우시 사면내 부간극수압과 임시지하수위의 거동을 관찰하였다. 실내실험으로부터 불포화 사면의 안정해석을 위하여 입력 값으로 사용되는 불포화투수계수, 불포화강도정수를 시료의 No.200체 통과량과 건조밀도를 기준으로 경험계수를 이용하여 추정 사용하였다. 강우의 침투로 인한 사면내 부간극수압의 분포는 계측값과 수치해석결과가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불포화 흐름시 흙속의 공기의 영향, 강우의 나무와 수풀에 의한 중간차단효과 및 증발의 영향을 해석에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사면안정해석결과 강우초기 모관흡수력을 고려하는 경우 약 10%의 안전율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침투가 진행되면서 그 차이는 좁아져 임시지하수위가 표층까지 도달했을 때 흡수력을 고려하지 않는 해석과 안전율은 일치하였다.

  • PDF

침투해석 프로그램의 활용과 해석 사례

  • Kim, Sang-Gyu;Hong, Byeong-Man;Seo, H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1.10a
    • /
    • pp.235-254
    • /
    • 1991
  • In the analysis of seepage behavior through the porous media, unsaturated domain should be included for obtaining more accurate results. The seepage programs considering its domain have been developed and practically used widely. The programs are reviewed and two case studies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case studies are performed using PC-SEEP and obtained good results for the cases of saturated-unsaturated transient fl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