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투수 처리

Search Result 36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and Estimation of Double-Drainage System in Urban Areas against Localized High-Intensity Rainfall (집중호우에 대비한 도시지역 이중배수 시스템 개발 및 평가)

  • Kim, Tae Beom;Kim, Yong In;Kim, Yong In;Yang,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62-366
    • /
    • 2015
  • 지난 백여 년 동안 인간은 과거의 그 어떤 선조들도 이루지 못한 지식과 기술의 발전을 통해 고도로 산업화된 사회를 이루었지만,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라는 부차적인 결과와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상기후 현상은 전지구 규모뿐만 아니라 일정한 소규모 지역에서도 관측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특히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단시간에 발생하는 집중호우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현재까지 집중호우 발생 지역과 정도를 예측하기란 불가능한 상태이며,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그 피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집중호우에 대비한 도시 배수 시스템을 재점검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배수시설을 대체할 만큼 효율적인 배수구조물의 개발이 시급하다. 기존 도시지역의 측구형 수로관에는 마감불량, 정밀시공의 어려움, 이물질의 누적과 물고임, 노출로 인한 파손, 포장층 침투수 배수문제 등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측구형 수로관의 단점을 보완하는 더욱 효율적인 집수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집수정을 덮고 있는 포장층 상부면을 따라 흐르는 표면수를 처리할 뿐만 아니라, 포장층 내부로 스며드는 침투수를 처리 가능하도록 구조체 상부에 침투수 유입공을 설치하여, 표면수와 침투수를 동시에 고려하는 이중배수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집수정 구조체는 침투수에 의한 도로 및 구조체의 내구성 감소 및 겨울철 동파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순공정, 시공성 향상, 유지비용절감 등 기존 배수 시스템과 비교해 많은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이중배수 집수정의 효율 및 배수능력 평가를 위해서는 기존의 구조체와 차별되는 침투수 유입공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침투수 유입공에 대한 실내 실험 장치를 구축하였으며, 반복 실험을 통해 침투수 유입공을 통한 배출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구조체의 효능을 결정짓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n Pore Water Pressure Reduction at Embankment Foundation of Fill Dam and Levee by Relief Well (감압정에 의한 필 댐 및 제방 기초지반의 간극수압 저감효과 수치해석)

  • Chang, Jaehoon;Yoo, Chanho;Baek, Se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3 no.2
    • /
    • pp.25-36
    • /
    • 2022
  • In this study, seepage control effect of relief well was evaluated quantitatively on embankment of small fill dam and levee. Seepage analysis of dam and levee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ermeability of fill material and foundation and to analyze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seepage. The up-lift pressure at toe of embankment was analyzed which is generated by seepage according to relief well installation condition. The relief well could reduce pore water pressure which is to cause piping or up-lift pressure at foundation ground of embankment and it does not be influenced on geometric condition such as dam height and slope incline. In case of relative low permeable ground, the pore water pressure reduction effect of relief well was decreased compare with high permeable ground but it shows pore water pressure reduction effect compare with no relief well condition. The reduction effect of relief well shows relative gap according to diameter and penetration length of relief well and the installation length of relief well is the most effective factor for seepage control.

Study for improvement of water cycle in waterfront (수변지역의 물순환 개선 방안 연구)

  • Baek, Jong Seok;Lee, Sang Jin;Kim, Hyeong San;Kim, Baek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7-337
    • /
    • 2018
  • 시민들은 삶의 질 향상 및 친환경적 어메니티의 수요 증가로 수변지역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변지역은 물에 인접한 지역이라 친수 공간으로서의 긍정적 기능을 많이 포함하고 있으나, 방재 측면에서는 많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수변지역에 적합한 물순환 기준을 정립하여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친수공간의 접근성을 시민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지역을 물수지 분석 방법으로 접근하여 강우, 침투, 증발산, 유출 등의 변수들이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술 적용에 의해 빗물의 저장과 침투가 유출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도록 물순환 기준을 산정해보았다. 물순환은 강우를 기준으로 처리할 목표량을 계획한 후, 침투량을 우선 산정하고 나머지 유량은 저장으로 처리하도록 프로세스화 하였다. 먼저, 물순환 목표량은 대상지의 강우와 유출 특성을 분석하여 기준을 수립한다. 이후 대상지의 토지이용과 토양 등의 지형학적 상태를 고려하여 각각의 세분화된 소유역의 침투량 규모를 산정한다. 목표량에서 침투량을 제한 나머지 유출량은 빗물통과 같은 LID 저장 기술로 해결할 수 있도록 저장 규모를 산정한다. 이상의 프로세스로 수변지역의 물순환 목표량을 LID 기술의 저장과 침투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국 각지의 수변지역 특성에 맞는 적합한 물순환 기준을 제시하여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친수 공간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Relief Well Effect for Seepage Control of Small Fill Dam (소규모 필댐의 침투수 관리를 위한 감압정 효과에 대한 수치해석)

  • Chang, Jaehoon;Yoo, Chanho;Baek, Se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1 no.2
    • /
    • pp.5-13
    • /
    • 2020
  • The relief wells have been studied to be effective in seepage control in small dams such as agricultural dams. However, quantitative studies on the effects of the relief well are rare and there is no design standard also.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ffects of the seepage control in small dams, the research of up-lift pressure influencing the toe of dam body was conducted by seepage analysis, which investigates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dam and foundation. The effect of seepage control was studied by analyzing the reduction effect of up-lift pressure at foundation ground of the toe of downstream dam slop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of the relief wel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ief wells are effective in reducing the pore water pressure in the foundation, which can cause piping and sliding failure.

A Study on Penetration Effect of Penetrating Hardener for Prevention of Scattering of Asbestos Building Materials (석면 건축자재의 비산 방지를 위한 침투성 경화제 침투 효과에 관한 연구)

  • Song, Tae-Hyeob;Park, Ji-Sun;Shin, Hyun-Gyoo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6 no.4
    • /
    • pp.324-330
    • /
    • 2018
  • In accordance with the amendment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of 2007, Korea completely prohibited the import, distribution and manufacture of asbestos like Europe and Japan. Accordingly, the current problem of asbestos is the safe maintenance and disposal of asbestos construction material, the disposal of asbestos, and the final disposal of asbestos building materials. In the past, Korea used 100,000 tons of asbestos every year, and the building materials using it exceeded 1 million tons per year. These asbestos building materials continued to be used until 2006, and the Ministry predicted that these materials would continue to be maintained until 2044. When the permeable hardening agent is applied to the asbestos building material installed in the pre-pretreatment step for the harmless treatment of the asbestos waste and the dismantling is carried out, the scattering of the asbestos is suppressed in the disassembling step, detoxification treatment conditions can be improved. Therefore, permeable hardeners should be stably penetrated into asbestos building materials.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pre - pretreatment methods for the harmlessization of waste asbestos building materials with medium density level can be presented.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pre - treatment for chemical harmlessness in the future, the mixing ratio of permeable hardener and middle water Optim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Enhancement of runoff estimation module in SWAT (SWAT 모형의 유출성분 계산 모듈의 개선 및 효과분석)

  • Kim, Nam-W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50-1354
    • /
    • 2010
  • SWAT 모형에서는 토양수량을 고려하여 유출곡선지수법에 따라 지표유출량과 침투량을 계산하고, 계산된 침투량이 토양수대가 받을 수 있는 최대용량인 토양수 최대보수용량(soil water capacity)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을 강제적으로 토양수량에 더해지도록 처리하고 있다. 즉, 초과침투량이 연직 아래로만 유입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경사가 매우 완만한 경우에는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국내 유역에서와 같이 비교적 유역 경사가 급한 경우에는 지표유출량이 작게 계산될 수 있으며 특히 집중호우시 강우에 대한 유출 응답이 둔감하게 모의되어 홍수기 큰 강우로 인해 급격하게 증가하는 유출량을 잘 모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기 큰 강우에 대해서 유출량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초과침투량 재분배 모듈($\underline{R}$edistributing $\underline{EX}$cessive $\underline{INF}$iltration module, 이하 SWAT-REXINF)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토양층의 보수능을 초과하는 침투량 처리 방식을 개선한 것으로 지표유출의 집중시간과 토양수의 침루 유하시간의 상대적인 크기에 따라 초과침투량을 분배하여 지표유출량과 침투량에 할당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개발 모듈 SWAT-REXINF을 기 개발한 시간가중평균 유출곡선지수법에 의한 지표유출계산법과 접합-분리 방식의 토양층 구조화 기법 등의 유출계산 개선 기법과 접목하여 그 효과를 충주댐 유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시간가중평균 유출곡선지수법에 의한 지표유출계산법과 접합-분리 방식의 토양층 구조화 기법 등 다른 유출 개선 기법과 혼용하여 적용할 경우에는 지표유출량이 약 2배 증가, 첨두유량은 20~50% 증가하는 등 개선 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모형 개선으로 인해서 강우량에 대한 유출량의 응답 민감도를 증가시켜 유출수문곡선의 증감을 보다 용이하게 모의할 수 있고 정확도 또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nvironmental impact on water quality from paddy fields treated liquid manure (액비시용에 따른 논 포장에서의 수질환경 영향)

  • Jang, Taeil;Son, Jae Jwon;Choi, J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76-276
    • /
    • 2015
  • 농경지에서의 액비 수요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적정 액비시비량에 대한 기준과 사후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환경문제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논에서의 질소 및 인의 동태를 모니터링하고, 관개수, 배출수 및 침투수 중 영양물질 및 중금속 잔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화학비료 표준시비구, A)와 양돈분뇨액비 표준시비처리구(B)로 구성하였으며, 기상관측 측정을 위하여 자동기상관측기, 유입량은 수도미터계량기로 관측하였으며, 시험포장으로부터 유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압력식수위계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침투에 의한 영양물질의 유출부하량 평가를 위하여 침투계 1조 및 중금속 포집이 가능한 ceramic porus cup 4조를 각 처리구별로 설치하였다. 2014년 6월 9일 써래질 후, 6월 19일 $15{\times}30cm$, 1주 당 3본씩 "동진벼"를 기계이앙 실시하였고, 대조구 A는 농촌진흥청의 추천시비량, 처리구 B는 지상분무방식(액비시비 후 경운을 하는 방식 및 관개수 공급 후 액비를 시비하는 희석식)을 적용하였다. 기비 시비일은 6월 6일, 분얼비 시비일은 6월 26일, 수비 시비일은 7월 30일이었다. 강우량 대비 유출량 비인 유출률은 0.03에서 0.91까지 나타났으며, 담수의 수질조사는 평시 조사로 주 1회 실시하고 있으며, 분석결과는 SS의 경우 처리구 B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양물질(T-N, T-P 등)의 경우는 대조구 A에서 꾸준히 높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들 농도는 시비 시기에 따라 첨두값이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TH_3-N$의 경우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처리구 B에서 매우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유출수의 화학성분 분석결과는 완효성인 화학비료의 특징으로 전체적으로 대조구 A에서 수질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BOD의 경우는 처리구 B에서 높게 나타났다. 침투수의 T-N은 대조구 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TH_3-N$의 휘발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NO_3-N$은 처리구 B에서 더 높게 나타나 토양중으로 침출되는 양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액비시용에 따른 농경지 위해성 평가와 관리방안 개발을 위한 1차년도의 연구 성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향후 새만금 유역내 축산밀집지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축산분뇨 관리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s of Media Breakage on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in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강우유출수 처리시설 침투특성에 대한 필터여재 파쇄의 영향)

  • Segismundo, Ezequiel Q.;Koo, Bon-Hong;Kim, Lee-Hyung;Lee, Byung-Sik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2 no.2
    • /
    • pp.31-41
    • /
    • 2016
  • For sand and zeolite filter media in stormwater BMPs, media breakage effects on infiltration were investigated. Compaction effort and infiltration force were mainly examined for breakage sources. The 1-D column infiltration tests for un-compacted and compacted media filter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reakage effect on infiltr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duced: 1) particle breakage due to filtration forces was found to be relatively minimal; 2) un-compacted media had lesser amount of crushed particles and permeability fluctuations compared to compacted media; 3) even without the presence of suspended solids in the influent, reduction in permeability was found, which resulted from rearrangement and re-entrainment of media particle itself; 4) only media particle breakage resistance is considered, sand was revealed to have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zeolite media.

Effects of Stranded Oil on Seawater Infiltration in a Tidal flat Environment (조간대에 표착한 기름이 해수의 침투에 미치는 영향)

  • Cheong Jo, Cheong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8 no.1
    • /
    • pp.75-80
    • /
    • 2003
  • Understanding the seawater infiltration into tidal flat sediments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upply of dissolved oxygen, nutrients and organic matter to benthic organisms for survival. However oil blocks interstitial spaces of sediments, reduces seawater infiltration and results in the decrease in oxygen, nutrients and other food supply to benthic communities.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stranded oil into the sediments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information to know the effect of spilled oil on biological communities and to set up a cleaning method. So we initiated this study to quantify the penetration behavior of spilled oil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penetrated oil on seawater infiltration in tidal flat environment and its ecological implications.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crude oil into the tidal flat sediments was two times deeper than that of the fuel oil C, and the depth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tranded oil volume. However, the penetration depth of stranded oil was abruptly dropped at first falling tide but not significantly fluctuated after that. Moreover, hydrocarbon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within the upper 2 cm. Seawater infiltration was de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tranded oil volume. The seawater infiltration was more affected by the penetrated fuel oil C about 1.7 times than the crude oil, because the interstitial spaces of the top of sediments were more cleared by the fuel oil C. Therefore, quick cleaning actions for penetrated oil will be necessary for recovery of seawater infiltration because the seawater contains oxygen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benthic organisms in tidal flat.

Behavior of NO3-N Derived from Pig Manure in Soil (돈분(豚糞)에서 유래(由來)한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의 토양(土壤)중 행동(行動))

  • Yun, Sun-Gang;Yoo, Sun-H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29 no.4
    • /
    • pp.353-359
    • /
    • 1996
  • Micro plo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behavior of nitrogen derived from animal manure in soil and to obtain the fundamental information on animal waste management. Soil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sandy loam and loam. Soil water samplers (1m length ceramic cup tube) were installed at 90cm depth of soil to collect the percolate. Fresh and fermented pig manure were applied at the rate of 0, 50, 100 ton per ha. Maize was grown to evaluate the effect of crop on nitrogen behavior through soil profile. Concentration of nitrate nitrogen in percolate increased by application of pig manure. This trend was more obvious at the loam with fermented pig manure than sandy loam with fresh pig manure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nitrate nitrogen was lower under the maize cultivation than bare soil condition by 64.6-68.9%. Concentration of Ca, Mg and Na of soil and percolate increased as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equivalent ratio of cation to nitrate nitrogen of percolate was increased by application of pig manure. This result showed that canon leaching was accompanied by nitrate nitrogen. Concentration of nitrate nitrogen of subsurface soil was increased by pig manure appli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