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출액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33초

녹용이 집토끼 조직에 미치는 영향(1)-수용성 단백의 비교연구- (The Effect of Deer Horn Extract on the Rabbit Tissues(1) -The effect on the soluble proteins-)

  • Kim, Gi-Sik;Oh, Suk-Heun;Lee, Sung-Ho;Kim, Nam-Ju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7-40
    • /
    • 1977
  • 녹용이 동물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일환으로 녹용 침출액을 집토끼에 주사한 후 여기에서 여섯개의 조직(골격근, 간, 신장, 부신, 비장, 심장근)을 선택 적출하여 disc-gel electrophoresis로 수용성 단백 분획상을 비교 하여 보았다. 대조군과 5일간 주사한 군에서 간, 신장, 부신, 비장에서는 서로 동일한 영동분획상이 나타났으나 골격근과 심장근에서는 대조군보다 실험군(5일간과 15일간 녹용침출액을 주사한 군)의 영동대에서 하나의 영동대가 더 나타났다. 한편 15일간 주사한 실험군과 5일간 주사한 실험군 사이에서는 단백분 획상의 차이점이 없음을 알았다. 이와 같은 변화는 녹용의 어떤 특수성분이 주로 근육형 조직에서만 백질을 합성하는 기작에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닌가 사려된다.

  • PDF

목편살수여상 침출액비와 어분, 골분, 게껍질 혼합액을 이용한 상추의 수경재배 (Hydroponic Culture of Leaf Lettuce Using Mixtures of Fish Meal, Bone Meal, Crab Shell and the Pig Slurry Leachate of Woodchip Trickling Filter)

  • 류종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5-226
    • /
    • 2010
  • 본 연구는 목편살수여상 pilot 장치를 설치하여 스크레파 축사에서 배출되는 뇨오수를 원수로 사용하여 가동한 후 침출액비를 공시재료로 하여 상추 양액재배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침출액비 (SL) 단독처리구, 침출 액비+어분 (SL+FM), 침출액비+골분 (SL+BM), 침출액비+게껍질 (SL+CS) 혼합처리구. 침출 액비+부산물 (SL+FM+BM+CS) 혼합처리구, 대조구로 원예연 상추양액 (NS) 처리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침출액비와 부산물 혼합처리 후 전기전도도와 pH를 조정하여 상추의 양액재배를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목편살수여상 처리 과정중 pH는 처리 시작전 7.3에서 처리 후 8.5로 상승하였다. 전기전도도 (EC)는 처리전 17.05 mS/cm에서 처리 후 30일에는 9.7 mS/cm로 낮아졌다. 2. 침출액비는 부유물질 (SS)이 낮아 수경 재배시 관배수의 막힘문제 없이 활용이 가능하였다. 침출액비는 양분조성에서 칼륨함량이 높고 인산 함량이 낮았다. 3. 침출액비시용구 (SL)의 상추수량은 원예 연 표준양액재배 대비 75%를 나타내어 25% 수량저하를 나타내었다. 침출액비을 어분. 골분. 게껍질을 혼합한 처리구는 대조구 대비 85%. 79%. 80% 수량을 나타내어 어분의 첨가 효과가 가장 높았다. 침출액비와 어분 혼합액은 침출액비 단독처리구 보다 10% 증수를 나타내어 유기양액의 대체 원료로 사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포화침출액법에 의한 시설하우스 토양의 유효인산과 전기전도도 (Available Phosphours Phosphoru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aturated Extracts of Soils from the Plastic Film Houses)

  • 정영상;조수현;양재의;김정제;임형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
    • /
    • 2000
  • 시설채소 재배지 토양에서 합리적인 토양관리 방안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집적된 인산의 수용성 특성과 이를 포화 침출액법 및 기존의 여러 가지 분석방법에 의한 유효인산과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포화 침출액이 전기전도도($EC_e$)와 (1:5) 전기전도도 사이외 상관관계를 구명하였다. 시료는 강원도 춘천시, 원주시, 홍천군, 횡성군 지역의 시설채소 단지에서 169개 지점의 토양을 채취하였고, 이들의 유효인산 및 전기 전도도 등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양의 포화 침출액의 인(P) 농도의 범위는 $0.02{\sim}34mg\;L^{-1}$로 평균 $8mg\;L^{-1}$ 이었다. Lancaster법에 의한 토양의 유효인산($P_2O_5$) 함량 범위는 $136{\sim}3,389mg\;kg^{-1}$ 이었으며, 평균 $1,261mg\;Kg^{-1}$이었다. 수용성 인산의 함량은 $2{\sim}118mg\;kg^{-1}$ 범위로 평균 $39mg\;kg^{-1}$ 이었다. 포화침출액의 인산농도(Y)와 Lancaster법에 의한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X) 사이에는 유의성있는 관계가 있었다 (Y=-5.075+0.018X, $r=0.662^{***}$, P<0.01). 토양 중 수용성 인산 유출에 의한 수질오염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포화 침출액 중의 수용성 인의 농도를 $1.0mg\;L^{-1}$이하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 농도는 Lancaster법 추출에 의한 토양 유효인산 함량 $337mg\;Kg^{-1}$에 해당되었다. 포화 침출액의 토양 전기전도도 ($EC_e$)는 1:5 전기전도도 $EC_{1:5}$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기울기가 12.2이었다.

  • PDF

망간침출액에서 불화칼슘화에 의한 高純度 망간酸化物의 製造 (Production of High purity $Mn_3O_4$Powder by Precipitation of Calcium fluoride in the Manganese Leaching Solution)

  • 한기천;이계승;최재석;신강호;조동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1호
    • /
    • pp.3-8
    • /
    • 2002
  • 고탄소페로망간을 중저탄소페로망간으로 제조하는 AOD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약 90%가 $Mn_3$$O_4$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soft ferrite의 원료인 고순도 $Mn_3$$O_4$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침출한 액의 Mn을 더욱 정제하여야 한다. 분진을 활성탄으로 배소하여 MnO로 환원시키고, 상온의 4N 염산수용액에 180g/L의 환원된 분진을 첨가하면 용액의 pH가 5이상이 되고 Fe와 Si가 침전으로 제거된 약 10%의 망간침출액이 얻어진다. Mn의 농도가 약 15000 ppm이 되도록 희석한 $70^{\circ}C$의 침출액에 F의 농도가 3000ppm이 되도록 $NH_4$F를 첨가하면 Ca가 침전하여 약14 ppm이하로 제거된다. Ca를 침전시킨 상징액에(NH$ 1.5M_4$)$_2$$CO_3$수용액을 2L/min으로 Mn의 당량만큼 첨가하면 미립의 고순도 $MnCO_3$가 침전한다.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한 후에 $1000^{\circ}C$에서 2 시간 소성하면 median size가 $8.2mu$m인$ Mn_3$O$_4$를 얻을 수 있다. 제조된 산물은 99%이상의 순도로 soft ferrite용 Mn$O_3$$_4$분말의 규격을 만족한다.

사용후핵연료 침출액 분석을 위한 세슘의 제거 및 스트론튬의 분리 (Removal of Cesium and Separation of Strontium for the Analysis of the Leachate of Spent Fuel)

  • 김승수;전관식;강철형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1-6
    • /
    • 2002
  • 사용후핵연료 침출액중 비방사능이 작은 핵종들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비방사능이 큰세슘을 제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세슘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한다고 알려진 ammonium molybdophosphate(AMP) 를 이용하여 사용후 핵연류 침출액의 구성원소들(Cs, U, Ce, La, Co, Sr)과 사용후핵연료와 접한 벤토나이트의 성분들(Ca, Na, K)에 대한 제거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0.1 M 질산매질에서 AMP로 90% 이상의 세슘이 제거되었고 대부분의 Ca, Na, Co, Sr은 용액중에 남아 있었다. 그러나 일부 세늄을 포함한 란탄족 3가 이온들은 세슘과 같이제거 되었다. 벤토나이트 성분중일부 칼륨도 AMP에 흡착하였으나 실제 시료와 같이 묽은 벤토나이트 용액에서의 칼륨은 AMP이 유효치환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사용후핵연료의 침출 기준원소인 스트론튬을 분리하기 위하여 8.0 M 질산매질의 용리할 경우 95% 이상의 스트론튬을 회수 할 수 있었다.

폐촉매(廢觸媒) 산성침출액(酸性浸出液)으로부터 용매추출(溶媒抽出)에 의한 몰리브덴과 바나듐의 회수(回收) (Recovery of Molybdenum and Vanadium from Acidic Leaching Solution of Spent Catalysts by Solvent Extraction)

  • 응우엔 티홍;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4호
    • /
    • pp.3-11
    • /
    • 2013
  • 폐촉매를 침출한 산성용액으로부터 용매추출에 의해 몰리브덴과 바나듐을 회수하는 공정을 조사하였다. 여러 침출액중 황산용액이 두 금속의 회수측면에서 가장 적합하다. 다른 불순물이 혼합된 용액과 순수한 몰리브덴과 바나듐용액에서 여러 추출제(양이온, 중성, 아민, 양이온과 중성 혼합추출제)에 의한 두 금속의 추출 및 탈거 거동을 검토하였다. 각 추출제는 금속 분리와 제 3상의 형성측면에서 장단점을 지니고 있다. 폐촉매의 산성 침출액으로부터 몰리브덴과 바나듐을 분리회수하는데 있어서 양이온과 중성의 혼합추출제가 가장 적합하다.

FCC 폐촉매로부터 Ce, Nd 및 V의 분리 회수 프로세스 (Separation and Recovery of Ce, Nd and V from Spent FCC Catalyst)

  • 전성균;양종규;김종화;이성식
    • 공업화학
    • /
    • 제8권4호
    • /
    • pp.679-684
    • /
    • 1997
  • 석유화학공업에서 사용된 유동접촉분해(FCC) 폐촉매의 주성분은 Si와 Al이며, 그외에 Fe, Zn, Ti 등의 기본금속과 알칼리금속 및 Ce, Nd, Ni, V 등의 희유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0.25mo1/dm^3-H_2SO_4$를 침출제로 폐촉매를 침출하였을 때 Ce가 640, Nd가 310, 그리고 V가 $450mg/dm^3$ 함유된 pH 1.0의 침출액을 얻었고, 아미노인산형 킬레이트수지에 의하여 Ce와 Nd를 선택흡착시킨 후, $4.0mol/dm^3-HCl$로 용리시켜 $1.2g/dm^3$의 Ce와 $0.75 g/dm^3$의 Nd 농축액을 얻었다. 농축액을 다시 옥살산 침전 및 공기산화법으로 처리하여 Ce와 Nd의 분리가 가능하였으며, 염소이온 공존하에 추출제 TOPO를 이용한 용매추출법으로 V와 Al을 각각 분리시켜, FCC 폐촉매로부터 순도가 99%인 Ce, Nd 및 V의 분리정제가 가능하였다.

  • PDF

석탄 비산재의 물에 대한 침출 특성과 탄산화 성능에 관한 연구 (Leaching Property of Coal Fly Ash Using Water as the Solvent and Its Carbonation Performance)

  • 신지윤;한상준;위정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8-205
    • /
    • 2014
  • 본 논문은 상온에서 물을 이용하여 석탄 화력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비산재(Coal fly ash, FA)의 침출 특성과 탄산염 광물화 성능에 관해 연구하였다. 침출률은 100분에서 가장 높았고 5회를 통한 비산재 내 Ca와 Na의 총 침출률은 각각 25.37%와 7.40%로 측정되었다. 또한, 비산재 침출 시 생성되는 $Ca(OH)_2$와 비산재의 주성분인 $SiO_2$가 반응하여 포졸란 반응이 일어나 침출률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침출 여과액을 통한 비산재의 탄산화 성능는 6.08 mg $CO_2/g$ FA로 측정되었으며 이중 Ca, Mg, Na, 및 K 성분이 기여한 값은 5.19 mg $CO_2/g$ FA로 약 85%로 계산되었다. 또한 침출액 기준 Ca와 Na의 탄산화율은 각각 85.62%와 77.70%이며 비산재 기준 Ca와 Na의 탄산화율은 각각 9.04%와 5.26%로 확인되었다.

Black Raspberry 침출액의 Anthocyanin 및 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능 (Anthocyanins,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Raspberry Exudates)

  • 이보경;신혜현;정지현;황금택;이연숙;김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5-130
    • /
    • 2009
  • Black raspberry 과실을 원형으로 사용하거나, 손으로 으깨거나, 녹즙기로 갈아서 20%, 40%, 60%, 80% ethanol에 담가(용액 900 mL 당 과실 125 g) 30, 60, 90일 동안 침출한 후 각 침출액에 대한 monomeric anthocyanin 함량, polyphenol 함량, DPPH와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과실의 형태와 상관없이 20% ethanol을 사용하여 침출한 경우에 monomeric anthocyanin 함량과 polyphenol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monomeric anthocyanin 함량과 polyphenol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50% DPPH와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20% ethanol에서 침출한 경우에 비교적 높아 항산화능이 낮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black raspberry 침출 시 20% ethanol을 제외한 용매를 사용하고 과실은 으깨거나 마쇄할 필요 없이 원형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며, black raspberry의 가공 시 침출기간도 중요한 고려사항인 것으로 생각된다.

폐 인코넬계(Inconel 713C)내열합금 모의 침출액으로부터 액-액 추출법에 의한 Mo의 회수 및 Mo 화합물 제조 (Recovery of Mo by liquid-liquid extraction from synthetic leaching solution of spent Inconel 713C super alloy and preparation of Mo compounds)

  • 안종관;김다영;인용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03-409
    • /
    • 2018
  • 고온 부품 소재로 사용하는 니켈계 내열합금인 Inconel 713C에는 Ni 70 %, Cr 12 %, Al 6 % 및 Mo 4% 등의 유가금속을 함유되어 있다. 이중 유가금속에서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원소는 Mo이므로 회수하여 재활용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폐 인코넬계(Inconel 713C) 모의 내열합금 침출액으로부터 액-액 추출법(용매추출법 및 역추출법)을 이용하여 Mo을 분리 회수하였다. 회수된 수상을 증발 건조 및 열처리법을 이용하여 Mo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수상은 $NaMoO_4$ $2H_2O$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사용하였으며, 추출제로는 음이온추출제인 Alamine 336과 양이온추출제인 Cyanex 272, 희석제로는 등유(Kerosene) 사용하였고, 음이온추출제인 Alamine 336 1 %이상에서 99 % 이상의 추출률을 확인하였다. 역추출제로는 황산, 염산 및 질산을 사용하였고, 각각 농도가 증가할수록 탈거율이 증가하였으며, 질산의 경우 4 M에서 96 %의 탈거율을 나타냈었다. 용매추출과 역추출에서 얻은 Mo 함유 수상을 증발 건조하여 순도 97.5 %의 $MoO_3$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Mo이 함유된 순환자원으로부터 Mo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면 국내의 자원효율성과 자원수요의 공급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