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지속도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9초

대두의 수화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the Water Uptake during Soaking of Soybeans)

  • 김동연;서인숙;이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46-51
    • /
    • 1988
  • 대두를 tap water와 0.5% $NaHCO_3$ 용액에 침지시켜 수화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침지온도가 높아 질수록 수화속도는 빠르고 세품종중 크기가 가장 작은 단엽이 tap water에 침지 할때나 0.5% $NaHCO_3$ 용액에 침지 할때도 모두 빨랐다. Arrhenius식을 사용하여 수화에 따르는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일정 수분 함량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과 침지온도와의 관계를 z값으로 나타내었을때 대두의 수화도가 증가 할수록 tap water에 침지할때나 0.5% $NaHCO_3$ 용액에 침지 할때도 z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칼슘 전착처리 후, 시멘트 모르타르 속 철근의 부식속도에 대한 EIS 모니터링 (EIS monitoring on corroded reinforcing steel in cement mortar after calcium electro-deposition treatment)

  • 김제경;기성훈;이정재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7호
    • /
    • pp.1-8
    • /
    • 2019
  • 본 연구는 시멘트 모르타르 속에 매입된 철근이 3wt.% NaCl 전해질 수용액에 8시간 침지 및 대기 중에서 16시간 건조가 반복되는 환경에 있을 때 교류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10kHz에서 용액저항, 10mHz에서 전하이동저항을 측정하여, 그 값의 차이로부터 분극저항을 계산하여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부식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포화 Ca(OH)2 용액에서 일정시간 전착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철근의 부식속도는 용존산소의 확산속도 증가에 의해, 침지보다는 건조 환경에서 가속되었으며, 이것은 모르타르 두께가 얇을수록 명확히 측정되었다. 침지 및 건조 반복횟수가 증가함에 따로, 철근의 부식속도는 부동태에서 Low-middle 상태로 가속되었으며, 그 기준은 다수의 연구자들이 사용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 기준에 의해 철근의 부식속도가 Low-middle 상태가 되면, 포화 Ca(OH)2 용액에서 -10 uA/㎠ 전류밀도를 사용하여 철근에 전착을 진행하고, 5일간 건조시킨 후, 3wt.% NaCl 용액에서 침지-건조 반복실험을 다시 진행하면서, 부식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모르타르의 두께가 얇은 경우, 부식속도의 감소를 명확히 관찰하였다. 또한, 전착에 의한 철근의 부식속도 감소는 침지상태에서 보다 철근이 건조과정에 놓일 때, 더욱 크게 측정되었다. 전착처리에 따라 칼슘은 철근표면과 모르타르 계면에 존재하는 Porous rust layer의 void를 메우는 것으로 보인다. 시험체가 건조과정에 놓일 때, 철근표면에 형성된 다공질의 녹층속에 농축된 Ca2+가 침지과정보다 쉽게 CO32-와 결합되어, CaCO3가 형성됨으로서 철근의 부식속도를 더욱 감소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쌀보리쌀의 수분 흡수 속도 및 침지 중 경도의 변화 (Hydration Rates and Changes of Hardness during Soaking of Polished Naked Barleys)

  • 윤영진;김관;김성곤;김동연;박양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1호
    • /
    • pp.21-25
    • /
    • 1988
  • 쌀보리(무안보리, 송학, 새쌀보리 및 늘쌀보리)의 주된 입자(7mesh)를 도정수율 65%로 도정하고 $40^{\circ}C$에서의 수분 흡수 속도 및 침지 중 경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쌀보리쌀은 침지 시간 7시간에 평형 수분 함량에 도달하였으며, 확산계수 값은 쌀보리에 비하여 $3{\sim}4$배 높았다. 쌀보리쌀의 침지 중 부피 증가량은 수분 증가량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쌀보리쌀의 부피 증가 속도 상수 값은 쌀보리에 비하여 약 2.2배 높았다. 쌀보리쌀의 침지 중 경도 변화는 대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감소속도 상수 값은 송학이 가장 컸으며 무안보리쌀이 가장 작았다.

  • PDF

올찰 및 한강찰벼 찹쌀의 수분흡수 특성 (Kinetic Studies on Hydration of Olchal and Hankangchalbyeo Waxy Rices)

  • 장명숙;김성곤;김복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13-319
    • /
    • 1989
  • 일반계인 올찰과 다수계인 한강찰벼 찹쌀의 수분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침지 온도 $4{\sim}40^{\circ}C$에서의 수분흡수 속도상수 값은 한강 찰벼가 올찰보다 작았다. 수분흡수의 활성화 에너지는 올찰이 한강찰벼 보다 다소 큰 값을 보였다. 침지중 부피 증가 속도상수 값은 올찰이 한강찰벼 보다 컸으며, 부피 증가의 활성화 에너지 값도 올찰이 다소 큰 값이었다. 침지에 따른 찹쌀의 경도 감소 속도상수는 침지 온도가 높을수록 큰 값을 보였으나, 시료 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침지 시간과 침지 온도와의 관계로부터 구한 z-값과 $Q_{10}$ 값은 각각 $39.7^{\circ}C$ 및 1.78로써 시료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Mg-Li-AI합금의 부식특성에 미치는 Y의 영향 (Effect of Y on the Corrosion Properties of Mg-Li-AI Alloy)

  • 김순호;김경현;배차헌;김인배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6권11호
    • /
    • pp.1074-1081
    • /
    • 1996
  • Mg-8Li-4AI 합금의 부식특성에 미치는 Y의영향을 전기화학적 분극시험 및 침지시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전기 화학적 분극시험에서는 Y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화 영역이 감소하엿고 부식전위가 증가하였으며, Y이 4.08wt% 첨가된 경우가 Y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부식속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침지시험에서도 Y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Y을 첨가하지 않은 시편에 비하여 무게감량 및 부시속도가 감소하였으며, Y이 첨가되지 않은 합금의 부식속도는 침지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Y이 첨가되지 않은 합금의 부식속도는 침지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Y이 4.8wt% 첨가된 합금은 96시간 이후부터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Y 화합물(Mg24Y5)이 $\alpha$/$\beta$계면에서 희생 양극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Y의 첨가는 Mg-Li-AI 합금의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일반계(천마벼)와 다수계(가야벼) 쌀의 조리특성 (Cooking Properties of Chunmabyeo(Japonica) and Kayabyeo(J/Indica) Rice)

  • 박선희;조은자;김성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9-74
    • /
    • 1987
  • 일반계인 천마벼와 다수계인 가야벼를 이용하여 팥알의 수분흡수속도와 부피증가속도, 침지조건별 가열시 호화도 및 취반속도를 구하여 일반계와 다수계 쌀의 조리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분흡수량과 부피증가량은 모두 침지시간의 평방근과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고, 동일한 침지온도와 침지시간에서는 부피증가량이 수분증가량 보다 많았다. 쌀의 조리중 호화도는 무침지한 것보다 침지한 것이 더 빨랐으며, $120^{\circ}C$에서의 취반속도는 100%에 비하여 천마벼가 1.79배, 가야벼가 1.83배 높았다. 수분흡수량, 부피증가량, 쌀의 조리중 호화도 및 취반속도는 모두 다수계인 가야벼가 일반계인 천마벼 보다 높았다.

  • PDF

고농도 용액의 침지시 감자 절편의 탈수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watering Model of Potato Slice when Soaked in Concentrated Solution)

  • 신해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82-587
    • /
    • 1999
  • 감자절편을 고농도용액에 침지하여 탈수시킨 결과 침지용액을 구성하는 용질의 분자량에 따라 탈수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저분자 용액인 NaCl, PEG 400 용액에 침지한 경우 조직의 뒤틀림현상(cytorrhysis) 은 나타나지 않고 부피의 감소와 수분의 탈수현상이 나타난 반면 고분자 용액인 PEG 4000, PEG 6000용액에 침지한 경우 cytorrhysis 현상을 동반한 부피의 감소와 탈수현상이 나타났다. 초기 탈수속도는 저분자 용액에 침지시 더 빨랐으나 최종 탈수량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 더 컸다 고장성 용액에 감자절편을 침지시켜 탈수되는 기작이 두가지 압력(삼투압 분자압착력)에 의해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모델을 제안하여 감정한 결과 제안된 모델은 고분자 용액에 침지시의 탈수현항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였다. 모델에서 구해진 압력인자(ΔP)와 농도인자(a)는 온도(T)와 농도(C) 의 함수로 표현되며 계수의 탄력성 검정결과 농도에 대한 의존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두의 침지중 고형물의 용출속도에 미치는 침지온도의 영향 (Temperature Dependence of Leaching Rate of Soluble Solids during Soaking of Soybeans)

  • 이영헌;이종욱;조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497-502
    • /
    • 1986
  • 새알, 광교, 단엽의 3가지 대두품종을 시료로 하여 그들의 침지과정중 고형물의 용출에 따르는 침지온도의 영향을 비교 검토하였다. 고형물용출량은 침지온도와 침지시간에 높은 의존성을 나타내었으며 $C=k{\cdot}{\sqrt{t}}$의 관계식으로부터 고형물용출속도상수값을 구한 결과 $10{\sim}33mg/min$의 범위에서 대체로 온도가 높아지면 용출속도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 때의 총괄물질이동계수값은 새알의 경우 실온에서 $67.7mg/m^2{\cdot}h$으로 다른 품종에 비해 그 값이 높았으며 활성화에너값은 4026cal/mole이었다. 일정량의 고형물이 용출될때까지의 Z값을 비교해 보면 용출량이 많아지면서 Z값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 PDF

콩의 침지중 부피의 변화 (Changes in Volume of Soybeans during Hydration)

  • 김종군;김우정;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9-293
    • /
    • 1989
  • 콩을 침지하는 동안 콩의 부피증가량은 침지시간의 평방근과 비례하였으며, 침지온도 $4^{\circ}C{\sim}60^{\circ}C$에서의 콩의 부피증가 속도는 수분증가 속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콩의 부피증가의 활성화에너지 값은 침지온도 $4^{\circ}C{\sim}40^{\circ}C$에서 $3,700{\sim}4,900cal/mole$, 침지온도 $40^{\circ}C{\sim}60^{\circ}C$에서는 $2,700{\sim}5,000cal/mole$이었다. 침지온도 $4^{\circ}C{\sim}60^{\circ}C$에서의 콩의 부피증가로부터 수분함량 50%에 도달하는 시간과 온도와의 관계로부터 계산한 z-값은 $50^{\circ}C{\sim}55^{\circ}C$ 이었다.

  • PDF

단상계 침지냉각 기술이 적용된 Li-ion계 배터리 발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ing Characteristics of Li-ion Battery Applicated Single-phase Immersion Cooling Technology)

  • 김운학;강석원;신기석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63-172
    • /
    • 2022
  • 연구목적: Li-ion 배터리의 효율적인 열관리 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Single&-phase 침지 냉각 기술을 적용한 시스템의 실험을 통하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LG-Chem에서 생산된 JH3 파우치 셀을 사용하여 14S2P 모듈을 제조하여 미국 카길사에서 생산된 식물성계 냉각유체에 침지한 후 0.3C~1C 속도로 충방전을 시행하여 열분포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침지냉각 기술로 배터리 모듈을 40℃ 이하의 온도로 관리할 수 있으며, 침지액의 분자구조 변화가 없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침지냉각 방식이 Li-ion 배터리 열관리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