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침전지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9초

공기 중 저급아민류의 분석과 측정 사례 (Analytical examples of volatile amines in ambient airs)

  • 유미선;양성봉
    • 분석과학
    • /
    • 제18권3호
    • /
    • pp.216-223
    • /
    • 2005
  • 연구에서는 일본의 공정시험법에 따라 7종의 아민 표준물질로부터 검량선을 작성하고 실제 공기 중의 아민시료를 채취하여 농도를 산정하였다. 검량선은 좋은 직선상관을 보였으며, 50 L의 시료채취시 트리메틸아민의 경우 검량한계가 0.033 ppb(0.040 ng)로 나타나 부지경계선에서의 규제농도(공업지역 20 ppb, 기타지역 5 ppb)까지 검출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측정사례로서 하수처리장과 랜더링사업장에서 채취된 시료를 분석한 결과 methyl amine, dimethyl amine, trimethyl amine, i-propyl amine의 4종류의 아민류가 검출되었다. 하수처리장 A의 최초 침전지와 탈수실에서는 trimethyl amine이 각각 9.07 ppb, 7.79 ppb로 악취세기 2.5를 넘는 농도로 검출되었고 하수처리장 B의 폭기조와 분뇨투입동, 분뇨처리장의 기계실에서는 모두 dimethyl amine과 trimethyl amine이 평균 70.0 ppb, 2.44 ppb로 검출되어 악취에 대한 기여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탁도 원수의 침전효율 증대를 위한 수평류식 핀 경사판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Horizontal Flow Fins Inclined Plate for Sedimentation Efficiencies Improvement in River Water with High Turbidity)

  • 최정수;진오석;주현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644-65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탁도 원수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해 수평류식 핀 부착 경사판(HFIP)을 설치하여 그에 따른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실험결과는 저탁도 원수 유입의 경우 HFIP 적용 후에 0.34 NTU의 방류수질과 90.45%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고탁도 원수의 경우에는 0.75 NTU의 방류수질과 97.27%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방류수질 안정성 측면에서는 HFIP 적용 후 0.12 NTU(저탁도 원수), 0.75 NTU(고탁도 원수)의 표준편차를 보였으며, 설치 전과 비교하여 방류수질 변동 폭이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FIP 설치로 인해 수류 속도 분포의 안정화와 침강효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침전지 유출부 구조 Remodeling을 통한 개선사례 연구 (Case Study on Remodeling Outlet Structure within a Sedimentation Basin for Improving Performance)

  • 김성수;박노석;문용택;이선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11-918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launder type on settling performance and hydrodynamic behavior within the two certain full-scale sedimentation basins (each flow rate/one basin; $10,000m^3/d$); one is the transverse typed launder(existing basin) and the other is building the finger type launder in combination with the longitudinal baffle. Comparativ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residual turbidity and particle concentration measurements in each effluent from two basins with the transverse and the finger type launders, respectively.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ould observe that turbidity removal rate in the finger type launder basin (modified basin) is about 30% higher than that in the transverse type launder basin (existing basin). Also, from the measurement of total particle concentration in each effluent, the removal efficiency was improved about 27% within modified basin compared to the existing basin. In order to explain the comparative experimental results and investigate the hydridynamic behavior within each basin in more detail, we conducte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and verified simulation results with acoustic Doppler velocimetry (ADV) technique. From the CFD simulation, it was investigated that extreme upward flow occurs underneath of the transverse laund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odified basin, the upward flow, which occurred in the beneath of launder, was much less than that in the existing basins.

장방형 2차 침전지 유출부의 구조가 유동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 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the Outlet Structure Effect on the Flow and Settling Performance of the Rectangular Clarifiers)

  • 김영철;박무종;신동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57-565
    • /
    • 2006
  • Proper operation of clarifier partly depends on outlet conditions. Effluent has to be uniformly withdrawn to prevent scouring of settled sludge and carry over of settling sludge from the clarifier. In this paper, 3-D numerical model was employed to analyze the flow and settling performance of the rectangular clarifier. There were two simulation conditions of which in the same clarifier, the first one was assumed to have a 11.5 meter weir length and the second has 8.5 meters. Shape, location and placement of the weir structure were different, but both of those outlets meet weir loading design criteria.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clarifier with longer weir generally gave strong and unstable currents at the mid-stream where the weir starts while in the clarifier with short and relatively simple weir, uniform and stable flow was observed in most parts of the settling zone, and especially at the weir region. These flow conditions affected settling performance. Effulent SS concentration from clarifier equipped with the long and complicated placement of weir was 24.5 mg/L, but 7.0 mg/L from the clarfieir having short weir length. From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as reported from other studies, weir loading does not guarantee settling performance and 3-D numerical model can be a useful tool for determining and validating outlet structure.

맥동식 침전지에서 맛·냄새 유발물질 제거 특성 (Removal Property of Taste and Odor Causing Material in Pulsator Clarifier)

  • 정일용;차민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4-109
    • /
    • 2011
  • The removal efficiencies of 2-methylisoborneol (MIB) and geosmin were investigated to reveal removal characteristics of typical organic compounds causing disagreeable taste and odor at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lant installed with pulsator clarifier patented by the French company $Degr{\acute{e}}mont$. The injection rate of Powdered Activated Carbon (PAC) into water was changed step wisely as we conducted jar tests in the laboratory and water treatment in the actual plant. 2-MIB concentration decreased linearly while geosmin did exponentially along with the injection rate of PAC at our jar tests. The removal efficiency of geosmin by PAC injection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2-MIB. In the real pulsator clarifier, 2-MIB concentration started decreasing as the injection rate reached up to 10 mg/L of PAC.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geosmin in water decreased proportional to the injection rate of PAC. In the sand filtration, removal efficiencies of 2-MIB and geosmin on July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n March. It was carefully suggested beforehand and found afterwards that general microorganisms notably existed in the sand filter with no chlorine in filter influent and backwash water and the sand filter biologically activated removed much more odor compounds. It was considered as the reason why the removal efficiency of 2-MIB and geosmin was increased. The microbial activity maybe increased in summer with water temperature rising and low filtration rate possibly increased contact time between odor compounds and general microorganisms.

총인슬러지의 1차 침전지 반송에 따른 하수처리장 고형물 제거특성 연구 (Evaluation of Solids Removal Characteristics on Sewage Treatment Plants Using T-P sludge Return into the Primary Settling Tank)

  • 김종오;정동기;권혜정;황준석
    • 한국수처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3-80
    • /
    • 2018
  • In this study, the solids removal characteristics using T-P sludge generated from PACl coagulation were analyzed by laboratory scale and full scale experiment. As the amounts of T-P sludge injection into the raw sewage influent increased at the rate of 0, 1, 2, 3, 4 %, the suspended solids concentrations after 20 minutes setting test decreased to 210, 137, 91, 64, 43 mg/L, respectively. The filtration time required for dewatering test of the raw sewage influent decreased to 982, 728, 658, 581, 492 sec for 0, 1, 2, 3, 4% of T-P sludge injection, respectively. As the amounts of PACl coagulant into the effluent from final setting tank increased at 0, 10, 20, 30, 40 mg/L, the required filtration times for T-P sludge increased into 12.3, 41.7, 53.7, 67.2, 79.5 sec and the dewaterability of T-P sludge decreased. After T-P sludge returned into the primary settling tank on J-si sewage treatment plants, the effluent concentrations of COD, SS, T-N and T-P from primary settling tank into bioreactor decreased by 35.9, 27.9, 22.2, and 52.6% due to the coagulation effects of the T-P sludg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turn of T-P sludge into the primary settling tank could result into the sludge reduction having a lower water content of 3.03% p than in case of the only T-P sludge dehydration.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ublic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Bukpyeong Industrial Complexes)

  • 박운지;심정민;최용훈;이관재;임경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5-425
    • /
    • 2021
  •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6,500톤/일)의 가동률은 30% 이하로 매우 저조하며, 폐수배출업체는 29개소로 그 수가 적어 배출오염부하량 비율에 따른 처리비용이 일부 업체의 경우 과도하게 부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입주업체 운영비용 부담을 저감하기 위해 해당 지자체에서는 운영비용의 65% 이내에서 일정금액을 지원하고 있으나, 동일업종에 대한 원인자비용부담금 비율의 경우, 동해시 A업체는 30.18%로 타 지역 B업체의 4.83%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자체 지원금을 제외한 순수 처리부과금의 경우 A업체가 2배 이상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북평산업단지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전체 운영비 절감을 위한 효율적인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평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의 운영 및 관리현황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재 운영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 법률 및 계획등을 검토한 결과, 북평산단 지역은 하수처리 구역이 아닌 공공폐수처리구역으로 산업폐수의 공공하수도처리시설 연계처리 지침에 따라 인근 공공하수처리시설과의 연계처리가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부에서는 가동률이 저조한 처리시설에 대해서는 시설개선을 통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어 현 처리시설의 공정개선을 통한 운영비 절감방안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현재 생물 반응조 후단에서 운영 중인 가압 부상조에 새로운 배관을 설치하여, 최초 침전지 유출수를 가압부상조 처리 후, 생물 반응조로 유입하고, 최종 침전 후 총인을 제어 할 수 있는 약품투입 시설을 설치하는 공정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생물 반응조 이전에 가압부상조를 설치하고, 후단 가압 부상조 미운영시 공정개선 전·후에 따른 총 슬러지 발생량은 24.2%, 탈수케익 처리비용은 27.6%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산정되었으며, 전체 처리시설에 대한 총 운영비 감소율은 13.4%로 분석되었다.

  • PDF

하수관망 최적관리를 위한 통합하수관거 시스템의 부정류 해석적용에 대한 연구 (Study on Applying of Unsteady Analysis in ToSS(Total Sewer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Optimal Management of Sewer System)

  • 최계운;이호선;조형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48-1153
    • /
    • 2005
  • 하수관거는 국민의 정맥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도시의 환경관리와 치수, 쾌적한 환경조성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설이며 그 규모가 광범위하고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하수관망을 통해 이송되는 물은 지저분하고 냄새가 심하기 때문에 지하에 관의 형태로 대부분 시공되어 왔으며, 상수관망처럼 압력관이 아니라 대부분 중력에 의한 이송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문제 발생 시 원인파악과 대처를 힘들게 하는 요인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하수관거의 관리 소홀은 곧바로 토양오염과 인근 환경오염으로 직결되며 장기적으로는 상수를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체계적인 방법과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명확한 분석을 시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가지고 최적으로 유지관리 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이러한 하수도 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 및 개선하기 위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근거 조사와 정비 사업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사업효과를 검증하거나 관로의 유지관리를 위하여 국내 실정에 맞지 않는 외국하수관망 흐름 해석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정확한 해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효율적인 유지관리가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관망해석이나 하수관망 정비시 필요한 불명수산정이 가능하고 국내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아울러 프로그램을 효율적 운영하고 관리하는 제어관리 기술을 개발,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부정류 해석 기능을 활용하여 대상구역의 해석을 실시하여 기존분석방법의 I/I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최적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준편차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용 CFD모형인 FLOW-3D를 계획 중인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유입부 설계에 적용하였으며 저류벽의 위치와 폭, 유공정류벽의 유공율에 따른 유입하수의 분배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수행하여 보다 정밀한 공식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10,924m^3/s$ 및 $10,075m^3/s$로서 실험 I의 $2,75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 PDF

정수장 침전지 유출수의 규조토 여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tomaceous Earth Filtration of Settling Basin Effluent)

  • 신대윤;지성남;문옥란;김지영;서동우;조영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10-416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applicability of precoat filtration that can be substituted for rapid sand filter of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system(CWTS). Precoat filter used in this experiment are candle filter. Element disk of candle are pore size $10{\mu}m(R),\;20{\mu}m(B)$ And diatomaceous earth are cake pore size $3.5{\mu}m$(Standard Super- Cel; A), $7{\mu}m$(Hyflo Super-Cel; B) and $17{\mu}m$(Celite 545RV; C). $2kg/m^2$ diatomaceous earth is used for precoating, it coated candle in $5{\sim}6mm$ thickness. 1. Al adsorption dosages by diatomaceous earth used in experimental we Hyflo Super-Cel 0.843mg/g, Standard Super-Cel 0.782 mg/g and Celite 545RV 0.766 mg/g. 2. Filtrate of precoat filter during 60min are R-C combination 20.7($m^3/m^2$)>B-C 18.3($m^3/m^2$)>B-B 15.0($m^3/m^2$)> R-B 12.9($m^3/m^2$)> R-A 11,093($l/m^2$). 3. Water quality of precoat filter effluent are thus. $KMnO_4$ consumption are $1.10{\sim}2.20mg/l$, removal rate are $30.9{\sim}65.6\%$. They are R-A 1.10(mg/l)(removal rate $65.6\%$). R-C(2.20 mg/l)(removal rate $30.9\%$). 4. $Al^{3+}$ are not detected with all combination, removal rate $100\%$. 5. Considering water quality and flux, continued running time of R-A combination is 7 hr. Accumulated filtrate are $74.4 m^3/m^2$, average flux is $177.2 l/m^2{\cdot}min$. And filtrate per diatomaceous earth 1g are 37.2 l. 6. R-A effluent's water quality are $KMnO_4$ Consumption 1.10(mg/l), DOC 1.161 mg/1, Al 0.0 mg/1, $UV_{254}$ 0.016/cm, Turbidity 0.1(NTU). R-A combination is suitable to precoat filtration for the settling basin effluent treatment.

Microthrix parvicella에 의한 슬러지 벌킹과 거품문제 해결 (Control of Bulking and Foaming Caused by Microthrix parvicella)

  • 강민기;김영철;방성호;이진우;하준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76-383
    • /
    • 2006
  • 본 연구는 고도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벌킹과 거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착수하였다. 현장조사결과 $SV_{30}$값은 90%, SVI 값은 300 mL/g 이상을 보여 심각한 벌킹문제와 함께 거품문제를 겪고 있었다. 하수처리장에서 벌킹과 거품문제를 야기하는 사상체를 형태적 특성과 염색반응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보고 된 적이 없는 Microthrix parvicella와 type 0092로 동정되었고 슬러지내 사상체의 밀도로 볼 때 M. parvicella가 벌킹과 거품의 원인 사상체이었다. 문제해결을 위해 연구대상 하수처리장의 공정과 관련 인자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슬러지 처리시설의 용량과 성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수용량의 부족으로 인해 운전 SRT를 높게 가져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으며 특히 낮은 슬러지 회수율은 다량의 원인 사상체를 재순환시켜 공정내에 축적 증식시켜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탈수기 용량을 확충하고 성능을 개선시킨 결과 운전 SRT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그 결과 SVI 값은 이전의 절반 내외로 크게 줄어 침전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아울러 벌킹제어결과 2차 침전지에서 슬러지 블랑킷 깊이도 안정되었고 그 농도도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M. parvicella의 증식완화는 처리수의 인 농도 상승을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