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전지역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tudy on Precipitation of the Minerals in the Soil of Imha Reservoir Watershed (임하호 유역 토양의 광물학적 침전성 연구)

  • Kim, Yeonjeong;You, Samhwan;Jeong, Hyungjin;Baek, Seungcheol;Lee, Sungmin;Seo, Eul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4
    • /
    • pp.13-18
    • /
    • 2010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 of suspended matter in soils of Imha-Dam area by turbidity. Soil sampling was conducted at 5 points of Yeongyang (Turbid area) and 2 points of Cheongsong (Clean area). Experiment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ose samples. The pH of water in the soils at turbid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clean area.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ed that every sample consists in mainly quartz, illite and feldspar before precipitation. After precipitation for 3 days, the content of quartz and feldspar was decreased and the content of illite was increased at turbid area. The soil of Sinheung (St. 6) at clean area was analyzed only illite. SEM-EDS analysis showed the much content of $SiO_2$ as to every sample before precipitation, but $K_2O$, MgO, $Al_2O_3$, CaO and $Fe2O_3$ with illite was increased after precipitation for 3 days as to every sample. Experimental results exhibited that the major mineral of turbid water was illite at turbid area and clean area.

Study on Distribution of Elemental Concentration with a Different Depth of River Sediment using Neutron Activation Analysis (중성자 방사화 분석을 이용한 하천 침전물의 깊이에 따른 원소의 함량분포 연구)

  • Kim, Hyeon-Soo;Im, Hye-Ran;Kim, Yong-Uhn;Moon, Jong-Hwa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6 no.3
    • /
    • pp.232-239
    • /
    • 2003
  • The river sediments were collected from 4 points of Seoknam river, one point of Miho river and one point of the joining area of two rivers. For preparation of sample, three sediment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surface, middle and lower part of the sediment at each sampling point. The elemental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using HANARO research reactor at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and the concentrations of 30 elements were determined by the relative method using standard reference material of NIST.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when the examination and prediction of contamination distribution about the site where the contamination site of river is connected to the lower river is done, the specific gravity of elements which is contained in the sediment and the speed of a current of river should be considered and also found that when the samples for concentration analysis in the river sediments are collected, for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representatives in samples, the range of sampling depth should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specific gravity of elements and the speed of a current.

한국의 지질과 자연동굴

  • 홍시환;유재신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17
    • /
    • pp.23-26
    • /
    • 1988
  • 석회동굴은 Karst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Karst 지형은 석회암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의 서흥, 신막, 수안, 곡산 물질지역과 평안남도의 덕천, 성천, 강동지방, 그리고 강원도의 삼척, 영월, 평창, 정선, 명주지방, 충청북도의 단양, 제천, 괴산지역 그밖에 경상북도의 울진 지역에도 분포한다.(중략)

  • PDF

Modification of Sediment Routing of SWAT model for Predicting Sediment In Dry Condition (비강우시 하천 유사 예측을 위한 SWAT 모형 개선)

  • Bak, Sangjoon;Choi, Yonghun;Yang, Dongseok;Lee, Seroro;Lee, Gwanjae;Jeong, Yeonji;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2-202
    • /
    • 2022
  • SWAT모형은 장기간에 모의가 가능하며 다양한 토양이용과 토지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유역 단위 모형으로 많은 연구에서 이용된다. 이러한 유역단위 수문모형의 평가는 통계적 지수(NSE, R2)들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한다. NSE, R2는 상대적으로 큰 값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 따라서 많은 강우량이 발생하는 시점에서의 유출량과 SS농도가 중요시되었다. 하지만 강우시에 하천으로 유입된 토양 중 일부는 하천에 퇴적물로 침전된다. 이 침전된 토양이 비강우시 바람 등과 같은 이유로 재부유되며 이로 인해 수중 DO를 고갈시켜 수생태계 악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비점오염저감시설 평가는 강우시 발생하는 SS농도도 중요하지만 비강우시 재부유되는 SS농도도 중요한 부분이다. SWAT모형에서는 하천 SS농도를 계산하는데 사용되는 매개변수가 강우시와 비강우시에 동일하게 적용되어 비강우시에 과대 산정되어 비강우시 SS농도가 증가되도록 sediment routing이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sediment routing을 수정하여 비강우시 SS농도를 실측 농도와 비슷하게 보정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비점오염관리지역 중 하나인 자운천 유역에 개선된 sediment routing을 적용하였다. 개선된 모형은 비강우시 농도가 잘 반영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Water Geochemistry and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precipitate in the Munkyeong Bicarbonate Hot Spring (문경 탄산온천수의 지화학적 특성 및 침전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 김정진;김윤영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2
    • /
    • pp.45-52
    • /
    • 2002
  • Water chemistry in the Munkyeong hot-spring expresses high values of EC(1,857 $mutextrm{s}$/cm), $HCO_3$(1,250 mg/l), $SO_4$(147.60 mg/l), Mg(43.05 mg/l), and Ca(279.43 mg/l). The precipitates of small quantity is formed in lower temperature, but much of in case apply heat by boiler. Although mineral that is settled from original ground water is most calcite, aragonite and calcite at the same time crystallized in boiler. The $CO_3$ is present predominantly as $HCO_3^{-}$ and $H_2$$CO_3$, $SO_4$, Mg and Ca are present as free ion. Ca is saturated with respect to carbonate such as aragonite and calcite but slightly undersaturated with respect to anhydrite and gypsum Al is saturated with diaspore and gibbsite. The precitptates are composed of carbonate such as calcite and aragonite and amorphous Fe-hydroxide.

우리 나라 동굴의 지질과 환경 보전

  • 정창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6.09a
    • /
    • pp.64-64
    • /
    • 1996
  • 석회동굴은 카르스트 지형 지역에서 지하 형성물로 나타나는 공동지역으로, 이 공동화된 공간에 2차적으로 석순, 석주, 종유석 등이 침전되어 생긴 동굴이다. 이런 카르스트 지형은 석회암 지층에서 용식작용으로 생겨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북쪽은 평안남도 동반지역과 함경남도의 남부서경지역, 황해도 서남부, 그리고 강원도 남부지역, 추가령 구조곡의 일부들이 해당한다. 그리고 남쪽은 문경 - 단양 - 제천 - 영월 - 평창 - 정선 - 삼척 - 강릉에 걸친 지역들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석회암동굴들은 그 대부분이 조선계 대석회암통의 막동 석회암 층에 분포되고 있다.(중략)

  • PDF

화강암 지역 암반 지하수 내의 불소의 기원과 거동에 관한 실험 연구

  • 김이섭;윤성택;소칠섭;채기탁;김성용;염승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0.11a
    • /
    • pp.252-257
    • /
    • 2000
  • 연구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천 목적으로 개발된 국내 심부 암반 지하수(조사 대상 시료수 419개)는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 지역에서 가장 높은 불소 함량을 보이며, 최소 75% 이상의 시료에서 먹는 물 수질 기준을 초과하였다. 2)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 지역의 심부 지하수 내 불소 함량은 특히 Na-HCO$_3$ 유형의 지하수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이 유형의 지하수 수질은 사장석, 흑운모를 위시한 규산염 광물의 비조화 용해 반응에 의해 조절된다 이들 지하수는 비교적 깊은 관정심도를 나타내었다. 3) 백악기 화강암과 물과의 용출 반응 실험 결과, 전암 분말과의 반응에서는 최대 7 mg/l의 불소가, 흑운모의 용출 실험에서는 최대 35 mg/1의 불소가 용출되었다. 형석의 포화지수는 비교적 반응 초기에 침전 조건에 근접한 반면, 흑운모의 포화지수는 지속적으로 용해 조건에 놓여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내 화강암 지역 심부 지하수 내의 불소는 대부분 흑운모의 비조화 용해 반응에 의해 용출되며, 용출 이후에는 형석의 용해/침전 평형 반응에 의해 그 농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4) 앞으로, 보다 자세한 평형 열역학적 해석과 다른 이온종과의 상호 관계 규명 및 광물학적 검토를 통하여 불소의 기원과 거동에 관한 보다 정확한 해석을 시도할 계획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Water Contamination and Precipitates of Acid Mine Drainage, Bongyang Abandoned Coal Mine, Danyang, Chungbuk Province with Emphasis on Fe and Al behaviors (충북 단양 봉양폐탄광 산성광산배수의 수질오염과 침전물의 특성: 철, 알루미늄의 거동을 중심으로)

  • Choo, Chang Oh;Lee, Jin Kook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2
    • /
    • pp.163-183
    • /
    • 2019
  • We investigated acid mine drainage (AMD) of Bongyang abandoned coal mine, Danyang, Chungbuk Province with emphasis on geochemical contaminants in AMD and precipitates using chemical analyses, XRD, SEM, IR, and $^{27}Al$ NMR. Water chemistry changes with pH and oversaturation of chemical species. According to calculation of saturation index, the AMD is saturated with various Fe, Al minerals. Orange or orcher precipitates are composed of schwertmannite and goethite, associated with Leptothrix orchracea bacteria, whereas whitish precipitates are composed mostly of alumimous minerals such as basaluminite with poor crystallinity. The whitish precipitates include trace $Al_{13}$-Tridecamer.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precipitation and solubility of aluminous species for ensuring remediation and control for the AMD discharged from the Bongyang abandoned coal mine.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Precipitates from Oseag Hot Spring (오색온천수의 지화학적 및 침전물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

  • 김정진;김수진;김윤영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169-176
    • /
    • 2004
  • The Osaeg hotspring (long. $128^{\circ}$ 56'E, tat. $37^{\circ}$ 06'N) located in the northester part of Kangwon-do, Korea. The pH value of the hot spring water is 8.31, and the EC, $SO_4$, F and Na are 196 ${\mu}\textrm{s}$/cm, 10.88 mg/L, 8.19 mg/L, and 37.07 mg/L, respectively. The ocherous precipitates are precipitated on the stream bottom of Osaeg hot spring drainage. X-ray diffraction analysis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stereo-microscope were used to analyze the precipitates. X-ray diffraction analysis shows that the precipitates consist mainly of poorly crystalline materials and messelite. Many spherical and rod-shaped bacteria-like forms were observed in the precipit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