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전지역

Search Result 21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Carbonate Precipitaties from CO2-rich Water in the Jungwon Area (중원지역 탄산온천수의 탄산염 침전물에 관한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

  • 김건영;고용권;최현수;김천수;배대석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1
    • /
    • pp.22-36
    • /
    • 2000
  • 중원지역 지열수의 CO2 가스의 용축과 수반된 탄산염 침전물의 광물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탄산염 침전물에 대해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이들은 매년 수 mm의 두께로 저수조내에 침전되며 미세한 층상으로 결정화되어 있고, 검은 갈색의 얇은 층들이 반복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침전물은 비교적 순수한 방해석으로 되어 있으며 1M HCl로 처리하여 잔류물을 XRD 분석한 결과는 카올린 광물 및 일라이트질 광물이 확인되었다. 전자현미분석에 의하면 검은 갈색층은 주로 방해석과 Fe나 Mn 산화광물의 집합체이며 소량의 점토광물도 함께 섞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Fe의 경우에는 주로 방해석내 Ca자리를 치환하여 존재하며 일부 산화광물로 함께 침전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Mn의 경우는 일부는 Fe처럼 방해석결정구조 내에서 Ca를 치환하면서 존재하기도 하지만 주로 산화물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후방산란전자상(BSEI) 관찰에 의하면 Fe와 Mn 모두 매우 미세한 입자의 산화광물들로 밀집해 있는 부분이 관찰되기도 한다. 중원지역 탄산수로부터 방해석이 침전되는 과정은 CO2 가스가 방출되면서 pH가 증가하면서 방해석 및 Fe, Mn 산화물이 과포화상태가 되어 침전되는 것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심부를 순환하면서 활발한 물-암석반응의 결과로 Si나 Al 및 기타 이온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탄산수가 pH가 높아지면서 카올린 광물이나 일라이트질 광물, 석영등의 규산염 광물들이 함께 침전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방해석의 침전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 동안에, 온천공으로부터 채수되는 탄산수의 양이 수요에 따라 매우 불규칙해서 탄산수의 수요가 많은 경우 탄산수가 지속적으로 과잉 채수되면 주변 천층지하수가 탄산수에 혼합되어 Fe, Mn 등의 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추게 되어 산화물형태로 침전되기가 어려워져서 거의 순수한 방해석만이 침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거의 순수한 방해석 층에 검붉은 층이 불규칙하게 반복되고 있는 중원지역 탄산염침전물은 침전작용이 일어나는 대부분의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주변 전층지하수의 유입이 일어났음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Fe, Mn 등의 함량이 높은 탄산수로부터의 침전은 매우 짧은 기간동안 단속적으로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 PDF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Quality II. Effects of Regional Climatic Factors o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of Wheat Flour (재배 환경조건이 소맥품질에 미치는 영향 II. 지역별 기상조건이 소맥분 단백질함량 및 침전가에 미치는 영향)

  • Ryu, I.S.;Shin, H.K.;Cho, C.H.;Bae, S.H.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2 no.2
    • /
    • pp.65-70
    • /
    • 1977
  • The effects of regional climatic factors on wheat quality were discussed. The most important climatic factor on wheat quality during the ripening period of wheat was air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period of wheat. The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were higher in northern parts of Korea compared to southern parts in Korea. The varietal effects of ripening temperature o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of wheat were varied in nine tested varieties.

  • PDF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Quality I. Relationship between Grain Yield and Quality of the Wheat as related to Cultivated Locations (재배 환경조건이 소맥품질에 미치는 영향 I. 지역별 수량성과 품질과의 관계)

  • 류인수;장학길;안완식;송현숙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22 no.2
    • /
    • pp.59-64
    • /
    • 1977
  • The relationship between grain yield.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in wheat were studied using 9 varieties cultivated at 8 locations in Korea. The grain yields of wheat varied widely, according to varieties and location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grain yield and protein content, and grain yield and sedimentation value were observed,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was observed. Specific sedimentation values of soft wheats were below 4, while those of hard wheats were above 5. The intermediate varieties had sedimentation values of 4-5. This showed that specific sedimentation values could be used as a criterion in the classification of wheat quality.

  • PDF

Study on Sludge Concentration Change in Batch Column (Batch Column에서의 슬러지농도변화에 대한 연구)

  • Park, Suk Gyun;Kang, Seon-Hong;Kim, Dong-H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 /
    • v.20 no.3
    • /
    • pp.443-450
    • /
    • 2006
  • For understanding sludge concentration profile as a function of time, sludge was sampled at each sampling port. When sludge concentration was 3g/L, the vertical sludge concentration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at of 2g/L of sludge concentration. During the early stage of sludge settling, sludge concentration increased remarkably as the sludge interface height in batch column became lower. The higher sludge concentration became, the worse sludge setteability became. Also, the type of sludge settling was influenced with sludge concentration gradient in batch column. In the same concentration, the greater sludge concentration gradient was, the faster sludge interface settled down. And the changing sludge concentrations in a batch settling or a continuous settling were simulated by using the equation of sludge interface height change model.

좁쌀약주의 여과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

  • 강영주;고정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76.1-176
    • /
    • 2003
  • 제주지역 양조산업의 산업화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제주지역의 대표적인 전통 좁쌀 약주 제품에 대하여 유통 과정 중에 발생하는 침전 형성을 방지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여과 공정 개선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종 공극 크기의 유리 막 여과지와 중공사막 카트리지 여과 연구 결과, 이 좁쌀 약주 제품에서 대부분이 침전 형성 가능한 입자들은 1.2$\mu\textrm{m}$여과 매질 공극 크기에 의한 여과에 의하여 제거 되여 보통의 소비에 문제가 되는 침전은 잘 않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제품 제조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l$\mu\textrm{m}$ 공극 크기 원통형 정밀 여과기인 경우 이론적으로는 합당하나 여과 매질에 대한 산업 인 공극 크기에 대한 오차 한계인 $\pm$20-30% 때문에 일부제품에서 침전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4$^{\circ}C$와 실온을 48시간씩 반복하면서 3개월간 저장 중 유리 막 여과지인 경우는 0.7$\mu\textrm{m}$ 공극크기의 여과에서도 세밀한 관찰에 의하여 침전형성이 관찰되었으나 중공사막인 경우에는 0.45$\mu\textrm{m}$에서도 전연 침전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완벽한 침전 형성 방지를 위해서는 최종 여과공정에 중공사막 여과 시스템 도입이 효과적이며, 설계 기준은 0.45$\mu\textrm{m}$ 공극과 내경 1mm정도의 중공사막을 유효 여과 면적 1$m^2$정도를 가지도록 하는 중공사막 여과 시스템인 경우 여과 능력은 약400ι/hr로 계산되었다.

  • PDF

중부 옥천대 구룡산층 내 채석장에 의한 수질오염의 수리화학적 특성

  • 이병선;한원식;문상기;신우식;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225-230
    • /
    • 2002
  • 중부 옥천대 구룡산층 분포지역에서, 채석장 지류는 특징적으로 낮은 pH와 높은 EC를 나타내는 산성광산폐수의 형태를 보이고 있었으며, 황갈색 철 침전물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들은 탄산염이 풍부한 화전리층(상층) 지류와의 혼합으로 백색 알루미늄 침전물을 형성시켰으며, 따라서 산성수의 영향 범위가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포화지수와 열역학 데이터를 이용한 결과, 본 연구지역 채석장 지류에 황갈색 침전물을 생성시키는 용존철은 래피도크로사이트와 침철석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농도가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Removal of Zinc by Vortex Flow Separator as BMPs in Residential Area (도시주거지역 와류형 비점오염 저감시설에서의 Zn제거특성)

  • Lee, Seung-Chul;Ha, Sung-Ry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9 no.4
    • /
    • pp.443-4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하나인 주거지역에서 배출되는 강우유출수 내에 중금속이 장치형 비점 오염저감시설 중에 하나인 와류형시설에서 제거되는 특성을 파악하고자, 대상 중금속을 Zn으로 삼고 2007년 4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유출수 모니터링은 와류형 시설의 유입부와 유출부에서 유량과 수질을 각각 시간변화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시설유입부와 유출부, 그리고 시설하부에 쌓인 침전물을 채취하여 침전물 모니터링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높은 강우강도에서 발생된 강우유출수는 와류형 시설내에 HRT를 감소시켜 Zn의 제거효율이 낮게 관측되었으며, 특히 HRT가 20분이내의 조건이 될 경우에는 처리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Zn는 입자성물질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제거되는 특성을 보였으며, 입자성물질이 스크린에 의한 여과 및 침전작용이 일어날 때 입자성물질에 부착되어 거동하는 특성을 보였다. 그 중에 0.075mm 이하의 미세한 입자에 부착된 고농도의 Zn는 제거되지 못하였고, 와류형 시설 후단에 후처리시설로서 저류시설을 두어 충분한 HRT를 제공한 결과, 와류형 시설만을 운전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높은 제거특성을 보이게 되었다.

탄산수와 탄산침전물 및 침전잔류물에서의 희토류원소(REEs)의 분배 및 거동 특성

  • 최현수;고용권;윤성택;배대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384-387
    • /
    • 2004
  • 강원도 지역 탄산수에 대해 혼합에 의한 용존 희유원소의 거동특성 및 탄산염 침전물 형성에 따른 REE 분별작용을 살펴보았다. 탄산수들은 화학적으로 $Na-HCO_3형,\; Ca-Na-HCO_3형\; 및\; Ca-HCO_3$형으로 구분되며, 동위원소조성도 유형에 따라 명확히 구분되는 특징을 보인다. 지화학 및 동위원소 자료의 해석 결과, $Na-HCO_$형 탄산수는 지하심부에서 심부 기원 $CO_2$의 공급에 의해 형성된 반면, 다른 두 유형의 탄산수들은 $Na-HCO_$ 형 탄산수와 천부지하수 간의 혼합에 의해 생성되었음을 지시하였다. 탄산수 내 용존 REE 함량은 물 유형에 따라 변화하지만, ∑REE 함량은 TDS, pH, alkalinity, $\delta^{18}O$$\delta^{18}O$ 및 tritium 함량과 좋은 상관성을 보여주어, 천부 지하수와의 혼합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Na-HCO$_3$형 탄산수의 용존 REE 패턴은 강한 HREE 부화를 보여주어 이른바 'S-shape'을 나타내는 반면, $Na-HCO_$ 형은 분산되어 있으며 LREE 부화를 보여주었다. $Ca-Na-HCO_3$형은 약한 HREE 분화 패턴을 보여주었다. 탄산수로부터 침전된 침전물과 침전물을 제거한 잔류물의 REE 패턴은 원 탄산수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어, 탄산염 침전물과 잔류물 간의 REE 분별작용은 일어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Influx Path and Ingredient of Sedimentation Substance in Tunnel Drainage System (터널 배수시설에 유입된 침전물의 유입경로 및 성분분석 연구)

  • Woo, Jong-Tae;Yoo, Sang-Geo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8 no.4
    • /
    • pp.145-152
    • /
    • 2004
  • Red sedimentation substance contains large portion of Fe. The earth retaining structure of a tunnel and ground water containing more portion of Fe than other area are the major factor of this substance In case of white sedimentation substance, the most frequently founded ingredient is CaO, which is occurred in case grouting injection materials for ground reinforcement is transmitted into a tunnel system by ground water. This substance is doesn't affect safety of a tunnel Black sedimentation substance is often found in tunnels near station. This substance is a mixture of either white or red sedimentation substance and detergent material in station transmitted to a tunnel drainage system.

Genesis of Bonanza-style Ores in Uichang Area, Changwon City: Geochemical Interpretation by Reaction Path Modeling (창원시 의창지역 보난자형 금광상 성인 : 반응경로 모델링에 의한 지구화학적 해석)

  • Lee, Seung-han;No, Sang-gun;Park, Maeng-E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0 no.2
    • /
    • pp.85-96
    • /
    • 2017
  • Gold mineralization of Samjeong and Yongjang gold mines in Uichang area shows characteristics of Bonanza-type gold deposits. Ores are mainly developed along the contact parts between quartz vein and arkosic sandstone beds(Fe-rich bed) in sedimentary rock. Electrum, silver sulfide and sulfate minerals are mainly in the ores. On the other hand, gold mineralization is less developed in cherty rock and andesitic rock than arkosic sandstone. The study highlights characteristics of gold precipitation in the deposit on the basis of numerical modelling of the reactions between the assumed hydrothermal ore fluids with multicomponent heterogeneous equilibrium calculations. Aqueous species, gases and minerals, containing electrum are included in the calculations. The reaction result between hydrothermal ore fluids and arkosic sandstone show that pH increasing in the ore-forming fluid would trigger precipitation of quartz, chlorite, sericite, chalcopyrite, galena, pyrite, electrum, actinolite and feldspar. The numerical modelling also illustrates the drastic increase of pH and desulfidation lead to precipitation of electrum. Ag/Au ratios in the ore vary with pH conditions and subsequently precipitation of silver-bearing sulfides such as acanthite and polybasite. The modelling of the reaction between andesitic rock and ore-forming fluid shows that mineral assemblages of the case are analogous to ones of the reaction between arkosic sandstone and fluid except the latter has little portion of electrum. The abovementioned modelling results suggest that gold-silver mineralization is bounded by host rocks at the stud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