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전공정

Search Result 41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creasing Particle Size of Paclitaxel Using Polymer in Fractional Precipitation Process (고분자물질을 이용한 분별침전 공정에서 파클리탁셀의 입자크기 감소)

  • Kim, Min Jae;Kim, Jin-Hy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2
    • /
    • pp.278-283
    • /
    • 2016
  • In this study, we have for the first time applied fractional precipitation with hydrophilic polymer in order to decrease the particle size of the anticancer agent paclitaxel from plant cell cultures. When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no hydrophilic polymer was employed, the addition of hydrophilic polymer in fractional precipitation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paclitaxel precipitate. Among the polymers used, HPMC 2910 was the most effective for inhibition of precipitate growth. A polymer concentration of 0.2% (w/v) obtained the smallest particle size. The particle size was reduced by ~35% compared to control. In addition, the precipitate siz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the absolute value of the zeta potential.

Recovery of Silver from the Spent Solution Generated from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Radioactive Wastes (放射性 폐기물의 전기화학적 분해 폐액으로부터 銀의 回收)

  • 문제권;정종훈;오원진;이일희
    • Resources Recycling
    • /
    • v.10 no.5
    • /
    • pp.22-28
    • /
    • 2001
  • Recovery of silver in the spent solution generated from MEO(Mediated Electrochemical Oxidation) process, which is a process to decompose radioactive organic mixed wastes at low temperature, was performed using chemical method. Silver nitrate in 5M nitric acid solution could be completely recovered as AgCl by using 1% excess of the stoichiometric HCl equivalents. Then, AgCl was transformed to Ag metal by reduction reaction with hydrogen peroxide under alkaline media. The optimum pH for the reduction to silver metal was found to be in the range of 12.8∼13.0.

  • PDF

A Comparative Study of Phophorus Removal Condition by PAC Coagulation of Membrane Effluent (MBR공정 유출수의 화학응집에 의한 인 제거 조건 비교 연구)

  • Park, In-Gun;Lee, Kang-Yu;Eom, Tae-Young;Yang, Jin-Ho;Choi, Min-A;Lim, Kyeong-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1-16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MBR 공정 유출수의 화학응집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자 A2O공정 하수처리수를 대상으로 막의 공극 크기와 약품 교반시간 및 응집 침전시간에 따른 인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막 여과 전후의 시료에 대한 응집실험결과 막 여과 전후의 응집제 투입에 따른 인 제거효율은 막 여과 전 90%와 비교했을 때 각각 74.5, 71.2, 62.6%로 최고 37.4%까지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막 여과로 인하여 시료 내 존재하는 콜로이드성 물질들의 입자 크기가 작아져 응집반응을 위한 응집핵 형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며 막의 공극 크기가 작을수록 인 제거 효율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속교반과 침전시간을 길게 할수록 인 제거 효율이 증가하였다. 침전시간이 10분일 경우는 인 제거 효율이 막 여과 후의 시료에 대해서 각각 45.3, 35.1, 52.0%로 인 제거가 상당히 불안정하였고 60분일 경우에는 각각 83.4, 85.1, 80.7%로 탁월한 인 제거가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Dissolved Air Flotation Technique to Improve Reservoir Water Quality (가압부상 공법을 이용한 호소수질개선 연구)

  • Kim, Tae-Hoon;Sei, Young-Ho;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91-493
    • /
    • 2012
  • 우리나라는 농업용수, 생활용수 등의 목적으로 여러 개의 호소 등을 설치하여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몇몇 호소들은 인구증가 및 산업발달로 인하여 매년 오염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하여 남조류가 과다번식 할 경우 호소 수질 및 수생태계에 악영향은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소의 부영양화 현상을 제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부영양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여러 제한인자 중 인(P)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부상분리의 일종인 DAF는 침전공정의 대안으로서 25년 전부터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수 및 하수처리 공정에서 이용되어 왔다. 가압부상공법에서 발생되는 기포의 크기는 $50{\sim}100{\mu}m$ 정도로 부상물질인 스컴이 파괴될 가능성이 낮고 기포의 크기가 작아 공기의 용해효율이 높으며 대전작용, 물리적 흡착효과 등의 특징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공기와 물 뿐만 아니라 Al 성분의 응집제인 PAC를 이용하여 버블을 발생시킬 경우 인의 제거 효율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가압부상공법의 경우 응집 침전 공정과는 달리 발생되는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을 외부로 유출 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호소 수질정화에 이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형태와 유사한 반응조를 설계하여 DAF를 주입하는 실내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호소수질 정화를 위한 DAF의 타당성에 대해 평가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 PDF

Optimization of Alkali Extraction for Preparing Oat Protein Concentrates from Oat Groat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쌀귀리 단백질의 알칼리 추출 공정 최적화)

  • Jeong, Yong-Seon;Kim, Jeong-Won;Lee, Eui-Seok;Gil, Na-Young;Kim, San-Seong;Hong, Soon-Tae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3 no.9
    • /
    • pp.1462-1466
    • /
    • 2014
  •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produce oat protein concentrates from defatted oat groat by alkali extraction. Independent variables formulated by D-optimal design were NaOH concentration (X1, 0.005~0.06 N) for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pH (X2, pH 4.0~6.0),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extraction yield (Y1, %).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zed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o determine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Extraction yield increased both with an increase in NaOH concentration of the extraction solution and when approaching a precipitation pH of 4.9, and NaOH concentrations were a major influencing parameter. Solubility of oat protein concentrates showed a minimum value (i.e., 0.1%) at pH 5 and increased substantially at pH values in the range of ${\leq}$ pH 3 or ${\geq}$ pH 7, reaching a maximum value at pH 11 (i.e., 76%). Regression equation coincided well with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to maximize extraction yield were 0.06 N NaOH (X1) for extraction and pH 4.7 (X2) for precipitation.

혐기-호기 고정생물막공정을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

  • 박영식;안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78-180
    • /
    • 2001
  • 본 혐기성 반응기와 호기성 반응기를 사용하여 염색폐수를 처리 할 경우 HRT 24~30시간의 경우 색도는 방류수 수질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으나 외관상 색도를 띄며, COD의 경우 배출수 허용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우므로 전처리나 후처리로써 응집. 침전 공정, 오존 및 UV와 같은 고도산화공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PDF

양이온교환 수지층에서 V(III)-Fe(II)-Picolinate 착화물 함유 제염폐액의 재생연구(III);재생거동에 대한 공정변수의 영향

  • 심준보;박상윤;문제권;오원진;김종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05b
    • /
    • pp.921-927
    • /
    • 1995
  • 수지충전식 전해재생조내에서 바나듐-철-Picolinate 착화물이 함유된 모의 LOMI 제염폐액의 재생거동에 대한 공정변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기투석에 의해 양이온종이 제염 폐액으로부터 제거되는 재생 분리효율에 대한 전류밀도, 제염폐액 공급유량 및 재생조내 수지층두께 등 공정변수의 영향은 바나듐이온이 가장 크게 받는다. 공정변수의 영향을 총괄 파라미터인 공정변수비 $\alpha$로 정의하여 나타낼 때 재생 분리효율 95%이상을 얻기 위해서는 $\alpha$가 0.2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LOMI 제염폐액의 재생시 전기투석 flux는 공정변수비, $\alpha$값이 증가함에 따라 철이온이 바나듐이온에 비해 더욱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생종료 후 발생되는 음극폐액내 철 및 코발트 등 방사성이온종은 음극액의 초기 수소이온 농도를 조절하면 침전제의 첨가 얼이 음극반응에 의해 음극액의 pH를 산성에서 알카리성으로 바꿀 수 있어, 수산화물 형태의 침전물 입자로 만들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재생시 바나듐이온은 대부분 $V^{III}$(Pic)$_2$$^{+}$ 착화물형태로 전기투석된다. 음극액으로 formate용액을 사용하면 철 및 코발트 등 방사성이온종을 제거한 음극액은 농축된 LOMI제염제로 회수하여 필요시 산화가를 조정한 후 재생된 착화제와 혼합하여 제염제로 재사용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제염폐액을 재생하는 향상된 재생방법이다.다.

  • PDF

Removal of NOM Using Biological Rope Media Sedimentation Tank (로프형 미생물 담체 침전조를 이용한 상수원수중의 NOM 제거)

  • 심상준;강연석;김우식;박대원
    • KSBB Journal
    • /
    • v.16 no.4
    • /
    • pp.332-336
    • /
    • 2001
  • This paper is intended as an application of the biological rope media sedimentation tank using biodegradability of BAC(Biological activated carbon) to the drinking water treatment system for the removal of NOM. The removal of DOC(Dissolved organic carbon), UV absorbance(UV$\_$254/), and turbidity were evaluated under various operation condition of a biological rope media sedimentation tank such as raw water-media process (Media 1), ozonation-media process (Media 2), and ozonation-coagulation/sedimentation-media process (Media 3). The raw water had DOC concentration of 1.3∼3.4 mg/L, UV$\_$254/ of 0.027∼0.039 cm$\^$-1/, and turbidity of 0.3∼4.5 NTU, respectively. The average DOC concentration were 2.2 mg/L in media 1, 1.8 mg/L in media 2, and 1.3 mg/l in media 3 from raw wate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DOC concentration in conventional sedimentation tank was 1.5 mg/l. Higher removal of the DOC was noted in media 3 than media 1 and media 2. The UV$\_$254/ of the treated water were 0.037 cm$\^$-1/ in media 1, 0.027 cm$\^$-1/ in media 2, and 0.014 cm$\^$-1/ in media 3 from raw water, respectively The UV$\_$254/ in conventional sedimentation tank was 0.014 cm$\^$-1/ which is similar to that of media 3. Average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was 1.1 NTU in media 1, 0.9 NTU in media 2, and 0.5 NTU in media 3,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the biological rope media sedimentation tank is a good alternative over the conventional sedimentation process from these results.

  • PDF

Effect of Precipitation on Operation Range of the CO2 Capture Process using Ammonia Water Absorbent (암모니아수 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제거 공정에서 침전생성이 조업영역에 미치는 영향)

  • You, Jong Kyun;Park, Ho Seok;Hong, Won Hi;Park, Jongkee;Kim, Jong-Nam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5 no.3
    • /
    • pp.258-263
    • /
    • 2007
  • Ammonia water was investigated as a new absorbent of the chemical absorption process for the removal of $CO_2$ in flue gas. The suitable range of ammonia water concentration and $CO_2$ loading ($mol\;CO_2/mol\;NH_3$) were decided in the point of view of $CO_2$ absorption capacity and $NH_4HCO_3$ precipitation. The absorption capacity of $CO_2$ and the precipitation of $NH_4HCO_3$ in liquid phase were calculated by the Pitzer model for electrolyte solution. The $CO_2$ absorption capacity of the ammonia water over $5\;molNH_3/kgH_2O$ wa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amine absorbent. The $CO_2$ loadings where precipitation occurred were decided at various absorbent concentrations. Theses values were higher than 0.5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5-14\;molNH_3/kgH_2O$ at 293, 313 K. The absorber for the removal of $CO_2$ in flue gas could be operated without $NH_4HCO_3$ precipitation by using high concentration of ammonia water below these $CO_2$ loading values.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ammonia water absorbent for removal of $CO_2$ in flue gas was 297-312 K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water.

Effects of Processing Modifiers on Dispersion and Rheology of Nonaqueous Mullite/Zirconia System Suspensions (뮬라이트/지르코니아계 비수성 현탁액의 분산 및 레올로지에 미치는 공정보조제의 영향)

  • Kim, Ji-Hyun;Yang, Tae-Young;Lee, Yoon-Bok;Park, Chan;Park, Hong-Chae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6
    • /
    • pp.537-544
    • /
    • 2001
  • 뮬라이트, 지르코니아, 뮬라이트/지르코니아 비수성 현탁액의 분산 및 레올로지에 미치는 공정보조제의 영향이 침전밀도, 점도, 입자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검토되었다. 현탁액의 분산안정성 (높은 침전밀도와 낮은 점도로 특징 된)은 분산제+가소제+결합제를 함유하는 경우에 비하여 분산제 또는 분산제+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가 우수하였다. Ball mulling 후의 입자크기분포는 공정보조제의 종류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합제를 부가적으로 함유하는 현탁액은 상대적으로 강한 shear thinning 거동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