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자리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베트남의 약침 제조법

  • Hanh, Pham Thuc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6 no.1
    • /
    • pp.37-37
    • /
    • 2003
  • 약침은 경혈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아래의 인자 (즉 약물의 효과와 침의 효과, 주입하는 용액이 침자리에 미치는 효과들) 덕택에 효과를 증강시키는 방법이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기에 베트남 전통의들에 의해 적용되어 좋은 효과를 얻었다. 적응증으로는 만성 관절염, 신경성 감각 이상증, 위통, 고혈압, 천식, 좌골신경통, 요통 들이다. 주로 쓰인 침자리는 배수혈과 복모혈, 원혈과 아시혈이다. 약물은 vitamin B1, B6, B12, novocain 2%, 염화나트륨 용액 0.9%에 한 침자리에 0.2 to 2.0ml씩을 주입한다. 때때로 진통제인 voltarene 이나 pervincamine, cerebrolysin을 쓰기도 한다. 치료 기간은 하루에 한 번씩 2주 이하로 하고 적어도 5일은 휴식을 한다. 약침의 위십이지장증의 진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예비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베트남에서 약 전체 인구의 5.63%가 위산과다에 따른 궤양성 통증을 가지고 있는데, 이 예비 연구는 이들에 약침의 진통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관찰 대상이 된 남자 41명, 여자 15명(나이 20-69세 사이) 이 모두 경증에서 중증도의 위통을 3-15년 동안 앓았는데 이들 모두 엑스 선 촬영과 위내시경으로 확증을 받았다. 관찰기간 동안 부작용은 없었는데 약침군은 26 환자로 Vit B1, B2, B6, novocain 2%, 하루에 한 번씩, 15일 동안 개별적 진단에 따른 침자리에 치료받았고, 대조군은 30 명으로 atropin 농도 0.25 mg/injection 도 근육주사를 하루에 한 번씩 같은 기간동안 받았다. 결과는 약침군에서 Good: 7.7%, Rather good: 88.5%, no response: 3.8%. (편역자 주: 발표 초록에서 대조군에 대한 결과가 빠져 있음). 결론적으로 약침과 아트로핀 주사가 모두 궤양성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그 진통정도는 동등하다고 판단하였다. 약침의 진통효과가 오래 지속되었고 환자들은 부작용을 호소하지 않았다.

침치료에 대한 환자진료 평가 프로그램-독일 보험회사들의 침효과에 대한 검증-

  • Melchart, Dieter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6 no.1
    • /
    • pp.33-34
    • /
    • 2003
  • 배경: 독일 의사와 보험회사 위원회 (The German Board of Physicians and Insurance Companies:Bundesausschuss der Arzte und Krankenkassen)가 앞으로 일부 적응증에 대한 침치료에 대해 공적 보험회사가 보험료를 지급해야 할 지에 대한 추가 결정을 하기 위해 침의 효과를 평가하기로 했다. 목적: 1)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치료에 대조군 침치료보다 효과가 있는지 검증 2) 침치료가 편두통의 예방적 치료에 표준 약물 치료와 비슷하게 효과가 있는지 검증 3) 보건의료 서비스체계 안에서 주어진 조건에 대한 일상적 침치료의 질적인 부분을 서술하고, 안전성을 평가하며, 다른 침술학파간의 임상결과의 차이와 비용의 효용적 활용부분을 평가한다. 4) 위의 적응증에 해당하는 모든 임상실험연구를 찾아내어 기존의 고찰내용을 갱신한다. 방법: 1)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거짓침 치료, 대기자 명단 대조군, 출발시점 4주, 28주 관찰 2) 무작위 표본추출 임상 실험, 침치료, 표준약물치료 대조군, 츨발시점 4주, 28주 관찰 3) 전향적 다중 의료기관 관찰 연구, 두 가지 다른 자료를 활용하여서, 치료 결과를 침 시술자에 의한 모든 환자 평가 자료와, 열 두 명의 환자 가운데 한 명의 환자로부터 직접 받은 평가 자료 (관찰 출발시점, 치료 출발 시점, 치료 시작 후 6 개월) 실험공간: 1) and 2) 높은 수준의 수련을 한 침 시술 의사가 시술하는 병원이나 일차 진료기관의 외래. 3) 보건 의료 서비스내 저급의 침 시술 의사 (140 시간 수강, 학점 이수 필수) 참가자: 1) $4{\times}320$ 편두통의 예방, 긴장성 두통, 요통, 무릎과 고관절의 골관절염 환자 2) 480 편두통 환자(긴장성 두통 환자 추가적) 3) 약 500,000 환자, 2년 반 동안: 대략 한 적응증 당 10,000 환자 치료법: 모든 침치료 자리는 체침만 허용함. 1) 진짜 침은 학파의 지침에 따른 심자, 거짓 침은 비특이적 자리의 표피만 찌르는 자침 (12-15회, 8주): 대기자 대조군은 12주 동안에 아무 치료도 받지 않는다. 2) Group 1(N=240): 최대 15회 치료, 12주 동안: Group II (N=240) 투약 Proponolol (80-240mg), Metoprolol (100-200mg) or Flunarizin (5-10mg) 하루, 16주 이상 3) 치료회수와 침자리의 선정은 참가자가 결정 주된 임상 결과 지표: 1) 군 간의 치료 전 및 치료 진행 도중 4주 마다의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 (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2) 요통환자 군간의 기능을 측정하는 FFbH-R (Funktionsfragebogen Hannover) 비교 3) 관절염 환자의 군간 WOMAC 지표 비교 4) 군 간의 24주 동안 두통을 느낀 날 수의 차이(평균 혹은 이상의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 5) 적응증, 부작용, 성공율에 대한 거시적 평가, 사용한 침수, 환자의 만족도, SES(?). ADS(?) 통증 장애 지표(PDI), 삶의 질 지표(SF36). 예비 결과 위의 결과가 큰 관찰 연구에 초점을 맞추면서 소개될 것임.

침과 경락 연구의 정수, 어디로 가야 하나?

  • Wei, Haifeng
    • Journal of Pharmacopuncture
    • /
    • v.6 no.1
    • /
    • pp.12-12
    • /
    • 2003
  • 침의 호혜적 효과는 작용하는가에 대해 세계적 연구의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이 연구는 침의 요점에 대한 이전 연구들을 종합하여 요약하고 자율신경계 기능이 이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새로운 길일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우선 근세 50년 동안의 침과 경락에 대한 핵심적 연구들에 대해 간략히 고찰하고, 이들 연구를 크게 3개로 분류한다. 1)일반적 뇌 단백질(펩티드)의 반응, 2)반사, 3)침자리의 특이적 반응 경락의 개발은 인간의 동적 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둘째로 중의학의 변증 기준과 자율 신경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결론적으로 침이 어떻게 자율신경계를 조절하는지를 살펴본다.

UB-IOT Modeling for Pattern Analysis of the Real-Time Biological Data (실시간 생체 데이터의 패턴분석을 위한 UB-IOT 모델링)

  • Shin, Yoon Hwan;Shin, Ye Ho;Park, Hyun Woo;Ryu, Keun H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2
    • /
    • pp.95-106
    • /
    • 2016
  • Biometric data may appear different depending on the person and sasang Medicin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Department. Biometric data not only mean a human heart rate, a blood pressure, a heart rate, and the past medical history, degree of aging, body mass index, but also is used as a reference measure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health of the person. So biometric data should be reproduced for the application purposes, depending on their applications. In previous studies, because the biometric data is changed in real time and applies only to snap shut at the time of the continuity of the current time is excluded.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biometric data patton analysis model comprising a continuity of time in the big data environment consisting of biometric data. The proposed model can help determine the choice of needle position carefully when using the electronic acupuncture for care and health promotion.

Changes of Regional Homogeneity and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 on Resting-State Induced by Acupuncture (침자극에 의한 안정성 네트워크 변화를 관찰하기 위한 Regional Homogeneity와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의 변화 비교: fMRI연구)

  • Yeo, Sujung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v.30 no.3
    • /
    • pp.161-170
    • /
    • 2013
  • Objectives : Our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sustained effects of sham (SHAM) and verum acupuncture (ACUP) into the post-stimulus resting state. Methods :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define the changes in resting state induced by acupuncture, changes were evaluated with a multi-method approach by using regional homogeneity (ReHo) and amplitude of low frequency fluctuation (ALFF). Twelve healthy participants received SHAM and ACUP stimulation right GB34 (Yanglingquan) and the neural changes between post- and pre-stimulation were detected. Results :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in both ReHo and ALFF, the significant foci of; left and right middle frontal gyrus, left medial frontal gyrus, left superior frontal gyrus, and right posterior cingulate cortex, areas that are known as a default mode network, showed increased connectivity. In addition, in ReHo, but not in ALFF, brain activation changes in the insula, anterior cingulate cortex, and the thalamus, which are associated with acupuncture pain modulation, were found. Conclusions : In this study, results obtained by using ReHo and ALFF, showed that acupuncture can modulate the post-stimulus resting state and that ReHo, but not ALFF, can also detect the neural changes that were induced by the acupuncture stimulations. Although more future studies with ReHo and ALFF will be needed before any firm conclusions can be drawn, our study shows that particularly ReHo could be an interesting method for future clinical neuroimaging studies on acupuncture.

Application of Acupuncture and Chinese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Acanthomatous Epulis in a Dog (개에서 극세포 유래 치은종양(Acanthomatous Epulis)의 치료를 위한 침술과 한약요법의 적용)

  • Kim, Min-Su;Xie, Huisheng;Bannai, Yumiko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5 no.1
    • /
    • pp.27-30
    • /
    • 2008
  • A 5-year-old male Chihuahua with oral discomfort due to the presence of a maxillary acanthomatous epulis was referred to the acupuncture service at the Veterinary Medical Center of the University of Florida. For the patient, acupuncture treatments were performed for 11 sessions, at 1 month intervals with Chinese herbal medicine. The acupuncture points and Chinese herbal medicine used were selected based on TCM principles. The selected acupoints were Zusanli(ST36), Fenglong(ST40), Gongsun(SP4), Sanyinjiao(SP6), Pishu(BL20), Weishu(BL21), Taichang(LIV3), and Baihui(GV20). In addition, the Chinese herbal formulas Nei Xiao Wan and Si Jun Zi Tang were chosen. After one year of acupuncture and administration of Chinese herbal medicine, the acanthomatous epulis was remarkably decreased in size.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acupuncture and Chinese herbal medicine would be useful treatments of canine acanthomatous epulis.

Adapted Environment Factors for a Neophyte Pokeweed (Phytolacca americana) (귀화식물 미국자리공(Phytolacca americana)의 적응환경요인)

  • 이종운;전재인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6 no.2
    • /
    • pp.87-93
    • /
    • 1996
  • 귀화식물인 미국자리공의 군락 구조와 무기환경요인을 추적하였다. 서식지 식생은 Pinus densiflora, persicaria perfoliata, Miscanthus sinensis, Smilax china, Rubus crataegifolius, Paederia scandens, Rosa multiflora, Commelina communis, Carex lancelolatl가 우점 하였으며 파괴된Pinus densiflora 아극상 감림군략에 침임하여 적응한 형태였다. 서식지 토양의 속성은 pH 4.6의 높은 산도, 높은 중금속과 유기물 함량이 특징적이었으며 이는 전형적인 황지식물군락의 환경요인이었다. 생장조절실 내에서 수행한 제한요인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유식물의 피해반응은 인공산성비에 의한 pH2.0과 500Lux의 광도에서 나타났으며 일시위조점은 pF2.6-2.7에서, 그리고 영구위조점은 pF2.8-2.9에서 각각 나타났다.

  • PDF

A Review on the Clinical Use of the Eight Extra Meridians (기경팔맥의 임상활용에 대한 소논문)

  • Kwon, Hyo-Jung;Park, Dong-Suk;Nam, Sang-Su;Kim, Yong-Suk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6 no.3
    • /
    • pp.103-113
    • /
    • 2009
  • 목적 : 기경팔맥의 임상활용을 위하여 기경팔맥의 개요와 기경팔맥을 이용한 침 치료법의 장점과 기존의 침 치료와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기경팔맥의 기원과 학문적 이론의 체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학술정보(주)를 통해 검색한 국내 논문 9편을 참고하고, 기경팔맥을 이용한 치료법에 관한 국내외 서적 2편을 수집하였다. 또한 MedLine에서 기경팔맥을 이용한 치험례와 임상연구에 대해 영어로 작성된 논문 2편을 소개하였다. 결론 : 기경팔맥을 이용하면 정경 치료와 달리, 통증 등의 실체가 있는 질환에 대해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는 치료를 소수의 혈자리 자침으로써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병증과 경락 유주 사이의 공간적 불일치가 있거나, 복잡한 정황으로 인해 사진(四診)을 통한 변증이 어려운 경우에 팔맥교회혈 또는 영구팔법 등의 기경팔맥을 이용한 치료를 사용할 수 있다.

  • PDF

Acupuncture Treatment for Acute Torticollis (Wry Neck) in a Dog (개에서 급성사경(torticollis)의 침술치료 일례)

  • Kim Min-su;Kim Sun-young;Seo Kang-moon;Nam Tchi-chou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21 no.4
    • /
    • pp.395-397
    • /
    • 2004
  • A fifteen-year-old spayed female Pug was referred to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clinical sign was a restriction of the movement of the headneck and acutely presented for 5 days ago. On the basis of phys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the dog was diagnosed acute torticollis (wry neck). We treated two times the dog with acupuncture therapy for 2 weeks. The acupuncture points BL10, BL11, LU7 and SI3 were used. When the dog was rechecked at three weeks after the therapy, torticollis was disappeared and voluntarily head movement found. Thus, it is suggested that traditional acupuncture might be effective therapy for acute torticollis.

Pseudomonas avenae Causing Bacterial Brown Stripe Disease of Rice in Korea (Pseudomonas avenae에 의한 벼$\cdot$세균성 줄무늬병)

  • Shakya D.D.;Chung Hoo Sup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 no.1
    • /
    • pp.38-43
    • /
    • 1985
  • A bacterial brown stripe disease new to Korea was noted for the first time on rice seedlings grown in the nursery pots and in a field nursery. Artificial hypodermic injection and pricking inoculation with isolates obtained from lesions of naturally infected plants produced symptoms similar to those occurring under natural condition. Among eleven species of ten genera of gramineous plants Echinochloa crusgalli, Digitaria sanguinalis and Setaria viridis were the new hosts for the pathogen. On the basis of bacter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of isolates from infected rice seedlings, the causal bacterium is considered to be Pseudomonas avenae Man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