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수실적도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Techniques of flood damage investigation and flood losses data management (홍수재해조사 및 재해자료관리 기법)

  • 김양수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0 no.2
    • /
    • pp.36-51
    • /
    • 2000
  • Almost every year, Korean suffered from the repetitive natural disasters such as typhoons and floods. During last 10 years, Korea experienced annual average of $50 million property damages caused by inundation. To estabilish the flood disaster counter plan, knowledge for flood damage causes based on the field investigations of inundated area is required. The field investigations is focused on technique to document and analyze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leading to torrential rains, the causes and patterns of flooding, the performance of flood control structures in affected areas, the extent damages and the effectiveness of local emergency response and recovery actions. We did comparative analysis of field investigation techniques. As a major goal of flood hazard map design, one of non structural disaster countermeasures, it was expected to reduce flood damage losses by requiring local governments to implement land-use regulation that would result in safe building practices in flood hazard areas. This requires local governments to develop flood hazard maps to assess how to manage particularly vulnerable floodplain areas.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design manual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flood hazard map.

  • PDF

Comparing Methods for Determining Flood Protection Elevation in Urban A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방어침수위 설정방법 비교분석)

  • Shin, Sang-Young;Lee, Ya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471-476
    • /
    • 2008
  • 도시지역의 침수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침수범위와 침수심을 예측하여 예상 침수심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한편 이러한 침수범위와 침수심을 예측하는 방법은 대상지역의 특성 및 지리적 여건 등에 따라 달라지며 가용자료에 따라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의 특성에 따른 침수대책의 기준이 되는 방어침수위 설정방법을 GIS 분석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방어침수위 설정방법은 과거 침수실적을 이용하는 방법 인근하천의 계획홍수위를 연장하는 방법, 하천의 임계지속기간과 소유역의 임계지속기간에 대한 강우빈도별 시나리오 분석에 의한 내수침수를 모의하는 방법 등의 네가지 방법을 서울시 중랑천 연변의 장안배수분구에 해하여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인접하천의 계획홍수위를 단순연장하는 방법을 제외하고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침수원인이 내수침수에 의한 지역일 경우에는 방어침수위로 침수실적자료를 이용한 과거 최대침수위를 적용하거나, 인근하천의 계획홍수량을 발생시키는 강우사상에 대한 내수침수 모의결과를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undation Results Survey and Flood Hazardmap Mapping of the Jisuk Stream Basin (지석천유역 침수실적 조사 및 침수예상지도 작성)

  • Park, Sung-Chun;Roh, Kyong-Bum;Lee, Yong-Hee;Yang, D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7-301
    • /
    • 2011
  • 최근에는 전 지구적으로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거와는 달리 예측하기 어려운 집중호우와 돌발강우에 따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이상 강우현상에 의해 하천 및 주변의 내 외수의 수위 상승을 야기하며, 이로인해 제내지의 침수 위험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실정이다. 특히, 내수침수의 경우는 외수에 따른 범람보다는 내수배제 불량에 따른 침수 빈도와 범위가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대한 대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내수침수에 의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침수피해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파악 관리하여야 하며, 지역의 주민에게도 지역의 특성을 주지시켜야 한다. 이와 함께 침수 발생시 피해 최소화를 위한 피난 경로와 피난 장소 등을 상세히 제공하여 신속한 재난 대처와 함께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여야 한다. 침수예상지도는 태풍이나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 발생시 제방의 월류 및 붕괴, 내수배제 불량 등으로 인한 예상 침수지역을 강우빈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방재형 국토관리의 정책결정과 침수 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홍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홍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침수예상지도의 제작 및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석천 유역의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한 과거 침수실적을 조사하여 침수실적도를 작성하 였으며, 내 배수 불량에 따른 홍수빈도, 강우빈도별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1차원 수리 수문 모델인 미 공병단의 HEC-HMS, HEC-RAS 모델과 내 배수 영향 검토를 위해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개발된 GATE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렇게 계산된 연구 대상지역의 침수심과 침수면적을 GIS를 이용하여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다.

  • PDF

Effectiveness of Radar Rainfall for Use of Flood Inundation Records (침수실적자료 활용에 있어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검토)

  • Ahn, So Ra;Jung, Chung Gil;Jang, Sun Sook;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7-37
    • /
    • 2015
  • 본 연구는 남강댐 유역($2,293km^2$)을 대상으로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자료와 격자기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KIMSTORM(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을 이용하여 홍수추적을 수행하고, 침수실적자료와 비교하여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2012년 4개의 강우 이벤트(집중호우, 카눈, 볼라벤, 산바)에 대하여 한강홍수통제소로부터 보정된 비슬산 레이더 강우자료를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레이더 강우와 지점 강우를 비교하기 위해 면적평균강우량을 산정하여 분석한 결과, 유출량산정 지점별 면적평균 강우량은 대체적으로 레이더가 지점 강우보다 더 낮은 값으로 예측되었지만, 강우의 패턴은 상당히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R^2$는 0.97로 매우 우수하게 분석되었다. 이후 분포형 홍수추적을 위해 KIMSTORM을 이용하였으며, 격자크기 $500{\times}500m$ 해상도의 156행${\times}$137열의 총 21,372개의 셀로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포형 모형의 보정을 위해 지상강우를 적용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보정된 매개변수를 레이더강우에 그대로 적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보정 결과,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ME(model efficiency), VCI (volume conservation index)의 평균이 지점강우를 이용한 경우 각각 0.85, 0.78, 1.09%, 레이더 강우를 이용한 경우 각각 0.85, 0.78, 0.96으로 모의유량이 관측유량을 잘 재현하였다. 이후 태풍 산바에 의한 하천범람 침수실적자료의 침수지역(신연, 문대, 신기지구)과 레이더에 의한 침수지역 유출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침수지역 호우 및 유출의 공간분포를 분석한 결과 레이더 강우가 침수지역 상류유역의 호우와 유출상황을 자세하게 재현하였으며, 침수지역의 침수기간 전 후를 분석한 결과 지점강우 보다 레이더 강우가 실제 첨두유량에 가깝게 우수하게 모의되었다.

  • PDF

Comparing Methods for Determining Flood Protection Elevation in Urban Built-up Areas (도시지역 방어침수위 설정방법 비교분석)

  • Lee, Yang Jae;Shin, Sang Young;Lee, Chang 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3B
    • /
    • pp.271-281
    • /
    • 2008
  • To determine the flood protection elevation (FPE) in urban built-up areas, this study examines four possible methods: using the highest flood elevation in the past, extending base flood elevations of nearby watercourse to inland, and two simulation methods of inland flood under the same rainfall used in the watercourse planning nearby. According to the case study of the Jang-An Drainage Area, Seoul, the highest flood elevation in the past and simulation results of inland flood under the same rainfall in the watercourse planning nearby tend to get similar results, while extending base flood elevations of nearby watercourse to inland shows much higher elevations than other results. Meanwhile, cost-benefit analysis, when regulating residential/commercial uses below the FPE by each of four methods, suggest that planners need to consider carefully the economic feasibility of FPE used to choose appropriate methods.

Development of an Inundation Risk Evaluation Method Based on a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침수위험 평가기법의 개발)

  • Park, Moo-Jong;Choi, Sung-Wo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4
    • /
    • pp.365-377
    • /
    • 2008
  • In this study, PROMETH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s) which is one of the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is applied to estimate the relative inundation risk of the urban subcatchment. For this purpose, several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inundation risk are selected and used to perform PROMETHEE. Those are elevation average, slope average, density of conduit, population and sediment yields per unit area of each subcatchment. Based on them, PROMETHEE is performed and the relative inundation risk for each subcatchment is estimated. For the validation of the suggested method, the results from the suggested method are compared with the historical inundation records occured on 1998 and the relative inundation risk estimated by the method considering sediment yields per unit area only. From the comparison, it is found that the suggested method may generate better results to estimate the relative inundation risk of each subcatchment than the method considering sediment yields per unit area only. Also, it can be applied to establish a rehabilitation order of subcatchments for mitigating the inundation risk.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adar Rainfall by Comparing with Flood Inundation Record Map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이용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연구)

  • Ahn, So Ra;Jung, Chung Gil;Kim, Seong 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11
    • /
    • pp.925-93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by comapring with the flood inundation record map through KIMSTORM(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For Namgang dam ($2,293km^2$) watershed, the Bisl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r 3 typhoons (Khanun, Bolaven, Sanba) and 1 heavy rain event in 2012 were prepared. For both 28 ground rainfall data and radar rainfall data, the model was calibrated using observed discharge data at 5 stations with $R^2$, Nash and Sutcliffe Model Efficiency (ME) and Volume Conservation Index (VCI). The calibration results of $R^2$, ME and VCI were 0.85, 0.78 and 1.09 for ground rainfall and 0.85, 0.79, and 1.04 for radar rainfall respectively. The flood inundation record areas (SY and MD/SG district) by typhoon Sanba were compared with the distributed modeling results. The spatial distribution by radar rainfall produced more surface runoff from the watershed and simulated higher stream discharge than the ground rainfall condition in both SY and MD/SG district. In case of MD/SG district, the stream water level by radar rainfall near the flood inundation area showed 0.72 m higher than the water level by ground rainfall.

SWMM 모형을 이용한 상습침수 지구 개선방안 연구

  • Park, Sung-Chun;Kim, Yong-Gu;Yang, Dong-Hyun;Roh, Kyo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64-268
    • /
    • 2011
  • 급속한 도시화 및 이상강우의 발생은 우수 량을 증가시켜 하류부의 천변주변과 저지대에 대한 침수위험을 증대시키므로 풍수해 예방을 위해 각 시 도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지역을 방재지역으로 지정하여 방재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침수피해 위험이 높은 광영동 하광마을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상습침수구역을 토대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에서 과거 1988년 6월 택지 조성이 준공도면과 현 주택가 침수지역 침하량 분석결과 택지조성 당시보다 대략 0.4m이상 침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우수관거에 대해 침하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1998년 우수관거 정비 사업을 실시하여 현재 관거침하 및 관거유실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현재 관가 실태는 우수발생시 약간의 토사유입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퇴적된 구간이 조사되었으나, 일반적인 모래 질이며 퇴적깊이는 5~15cm정도이고 이는 강우발생시 우수 관거의 일반적인 토사 퇴적 침식 작용의 현상으로 판단되었다. 외수침수는 해안도로 지반침하와 조성당시의 조위에 의한 계획 고는 적용되었으나 하천 계획홍수위의 미적용으로 인해 강우발생시 조위 상승과 하천유출과의 관계에 있어 상습침수지역의 천변 해안도로로 외수유입이 발생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침수실적을 바탕으로 기상조건 및 조위조건 등을 고려하여 HEC-HMS모형을 적용하여 9개의 소유역으로 분할된 유역에서 홍수유출량을 분석하였으며, 외수위 조건을 SWMM모형에 적용하여 우수관거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상구역 조위 상승으로 우수관거의 내수배제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들로 외수유입 방지대책으로 조위영향 및 하천 계획홍수위를 고려하여 20년, 100년 빈도별 외수위를 산정하고 방지대책으로 도로 숭상 및 파라펫 설치방안을 검토하였다. 내수침수 방지대책으로 저류조+배수펌프+게이트펌프 또는 관로신설+게이트펌프를 설치, 복합방식 (지하저류조+승수로(도로 또는 산지)+게이트펌프장)설치, 도수터널계획 방안을 제시하여 상류지역에 발생하는 유출량을 유출부로 직접 배출하거나 침수영향이 없는 타 지역으로 연계 방류하여 총 유출량을 저감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여러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관련 지자체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침수방지 대책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WMS and RADARSAT SAR Image (WMS와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유역 침수구역 분석)

  • Kim, Kyung-Tak;Kim, Joo-Hun;Park, Jung-Sool;Byun, I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3
    • /
    • pp.1-12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a flooded area by the overflow of a stream using hydrological and hydraulic models and to estimate the utility of the SAR satellite image by comparing a protected lowland inundation area with a past inundation area map. The research area selected for this study is Sapkyocheon, which was flooded in August 1999. The flood stage was analyzed to select an inundation area by applying flood events in August 1999. By importing analyzed flood stage data into TIN data of WMS, the inundation area of a protected lowland was selected and then compared with an flood hazard map of WAMIS. An inundation area is selected by the SAR satellite image in comparing the image of August 4, 1999 (inundation time) with the image of September 8, 2002 (after inundation). The method of selecting an inundation area with the hydraulic model of HEC-RAS can be used to select an inundation area of external overflow, but it has the limit of selecting an inundation area concerning the internal drainage. The method of using the SAR satellite image can complement the limit of an inundation area of an internal drainage but accuracy of inundation area depends on using SAR satellite image acquired at time of maximum depth.

  • PDF

Application of Empirical Life Loss method : Cheongju-si in Korea (경험적 인적피해 평가기법 적용 : 청주시를 대상으로)

  • Hong, Seung Jin;Kim, Gil Ho;Choi, Cheon Kyu;Kim, Kyung 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86-186
    • /
    • 2019
  • 국내에서 자연재난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홍수는 매년 반복되어 인명과 재산상의 막대한 손실을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피해 중 인적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재계획 및 정책수립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적용성 측면에서 미진한 부분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인적피해 평가를 지원하기 위해 피해실적에 근거한 경험적 인적피해 평가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해당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2017년 청주시 호우피해를 기준으로 적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인적피해의 경우 인명과 이재민 피해를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인적피해를 위해 기본적으로 노출위험인구와 인적피해 발생확률을 기반으로 하였다. 노출위험인구의 경우 침수구역도와 집계구를 기준으로 계층화된 인구 인벤토리를 이용한 GIS 공간분석 결과로부터 결정된다. 그리고 인적피해 발생확률은 행정안전부의 국가재난관리시스템 내 피해이력, 재해연보 및 한국국토정보공사에서 제공받은 침수흔 적도를 토대로 침수등급과 인구계층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보다 효율적이고 정밀한 인적피해 평가 방법이 위험지구 결정, 자연재난 리스크 모델링, 방재사업 대안결정, 예산배분 등의 실무와 학술적 접근에 있어 활발히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