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침강현상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Numerical Model on Suspended Load Diffusion due to Tidal Flow (조류(潮流)에 의한 부유사(浮遊砂)의 확산(擴散)에 대한 수치모형(數値模型))

  • Lee, Jong Kyu;Ahn, Soo Hah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 no.4
    • /
    • pp.13-23
    • /
    • 198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numerical model which can be used to compute the suspended load concentration of which the two-dimensional unsteady diffusion equation is able to be solved by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using the implicit scheme. The pick-up rate formula from the bottom used in the open channel as a sink source term and the Coleman's empirical formula for the diffusion coefficient were taken, and especially the hindered settling velocity and the vertical velocity of flow due to the periodical tidal motion were taken into account, while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such as the horizontal and vertical velocities of flow, tidal range, the settling velocity and hindered settling, on the suspened load concentrations have been discussed, compar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ifferent cases in the simulation conditions.

  • PDF

Numerical Study of the Circulation in the Japan Sea -I. Case of Closed Basin (동해의 해수 순환에 대한 Numerical Modelling 연구 -I. 폐쇄해역으로 가정한 경우)

  • Kim, Yeong Eui;Chung, Jong Yul
    • 한국해양학회지
    • /
    • v.24 no.2
    • /
    • pp.96-108
    • /
    • 1989
  • Applying the numerical scheme developed by Semtner (1974), we investigate the circulation system in the Japan Sea in response to the air-sea interaction and the wind. In spite of blocking straits, resulting surface circulation pattern is similar to the schematic surface current chart introduced by Uda(1934) and Naganuma (1972); the northward flow along the Korean coast and the anticlockwise gyre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Japan Sea. Also the southward current flows along the Korean coast at depth of 100-200 m as similar to the North Korean Cold Current suggested by Kim and Kim (1983). And the sinking phenomenon of relatively saline wate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Japan Sea is similar to the formation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 PDF

Study on shape of floc size distribution (플럭의 입도분포의 형태에 관한 고찰)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81-181
    • /
    • 2020
  • 점착성 유사는 유사가 가지는 점착력에 의해 응집현상을 겪으며 그 크기와 밀도가 변화한다. 유사의 크기와 밀도는 침강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침강속도으 변화는 유사의 거동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크기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전의 많은 연구는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가 대수정규분포를 따른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 가정이 합리적인지에 대해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통계학적 방법 중 적합도 검정을 이용하여 실제 점착성 유사가 어떠한 분포를 모사하는지 분석하였다. 사용된 적합도 검정 방법은 Kolmogorov-Sminorv(K-S) 검정이며 적합도 판정의 기준은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실험실 실험에서 측정된 플럭의 입도분포와 현장 실험에서 측정된 입도분포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현장 실험의 경우, 분포가 오른쪽으로 왜곡된 지수분포의 형태를 나타냈으며, Gamma 분포가 가장 우수하게 모사하였다. 실험실 실험의 경우 일반적인 양의 왜도를 가지는 분포를 나타냈으며 GEV분포가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를 가장 잘 모사하였다. 대수정규 분포의 경우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2-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일 경우 현장실험과 실험실 실험 모두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위치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3-매개변수 대수정규분포를 사용하면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를 잘 모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를 무조건적으로 대수정규분포로 사용하는 것은 지양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tistical Analysis on Size of Flocs (통계학적 접근법의 적용을 통한 유사 문제의 분석)

  • Son, Minwoo;Park, Byeoung Eun;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45-245
    • /
    • 2019
  • 점착성 유사는 유사가 가지는 점착력에 의해 응집현상을 겪으며 그 크기와 밀도가 변화한다. 유사의 크기와 밀도는 침강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침강속도는 변화는 유사의 거동에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크기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유사가 가지는 입도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통계학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점착성 유사의 입자가 가지는 입도 분포를 구체화한 결과를 유사의 입도 분포를 위한 수치 모의 연구에 적용하여 모의 결과를 향상시키고 유사 문제의 분석에 용이하도록 하려 한다. 통계학적인 방법 중 적합도 검정을 이용하여 실제 점착성 유사의 입도가 어떠한 분포를 모사하는지 분석하였다. 수집된 입도 분포 자료에 적합도 검정 방법 중 Kolmogorov-Sminorv(K-S) 검정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5%를 통과할 경우 이론 분포가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잘 모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수집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한 결과 많은 연구에서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로 가정하고 있는 Log-normal 분포가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적합도 검정을 통과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검정한 결과로는 기존에 이용되는 Log-normal 분포는 위치 매개변수를 추가하여 3 매개변수 분포를 사용할 경우에만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한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는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하고 사용함에 있어 Log-normal 분포를 무조건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지양하고 점착성 유사가 가지는 특성을 파악하여 어떠한 입도 분포 형태를 나타낼지 미리 예측하여 이론 분포를 가정한다면 수치모형을 통해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를 모사할 때 그 정확도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점착성 유사의 입도 분포로서 제시한 GEV 분포와 Gamma 분포, Log-normal 분포를 FM 모형에 결합하여 입도 분포를 모의한 후 그 결과를 실제 현장에서 측정된 입도 분포와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실제 어떠한 분포가 가장 적합하게 모의하는지도 검증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점착성 유사의 입도를 모사하는 분포를 새로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점착성 유사의 이동과 특성을 연구할 때 가장 중요한 크기 특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유사와 관련된 문제를 용이하게 분석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Block of Underflow in Reservoi (저수지에서 하층 밀도류의 차단 수치모의)

  • Choi, Seongwook;Choi, S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3-63
    • /
    • 2017
  • 우리나라에서 홍수기에는 하천에 부유사를 포함한 수체가 침강되어 하층 밀도류 형태로 전파된다. 온도로 성층화가 심하게 되지 않은 댐의 경우 하층 밀도류로 댐체까지 전파되고, 유출되어 하류로 흘러가거나 차단되어 담수된다. 침사용 저수지는 하류에 있는 저수지에 유사 전파를 막기 위해 건설된 댐으로, 이를 잘 관리하기 위해서는 밀도류의 차단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층적분 모형을 사용하여 밀도류의 전파와 이에 따른 저수지의 유사 차단 현상을 모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차원 수치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실내실험 자료에 적용하여 밀도류의 전파 및 차단 양상을 분석하였다. 모의 결과 소류사는 대부분 상류단에서 퇴적되고, 부유사가 밀도류에 포함되어 하류단까지 전파되고, 차단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질량보존과 운동량 보존에 의해 저수지 전체에서 밀도류 두께가 증가되며 담수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담수된 밀도류의 포집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고, 포집효율에 대한 각 입자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turbidity currents intruding into a reservoir (저수지로 유입되는 부유사 밀도류의 수치모의)

  • Choi, Seongwook;Ban, Chaewoong;Choi, Sung-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3
    • /
    • pp.201-210
    • /
    • 2017
  • This study proposes a numerical model which is able to simulate turbidity currents intruding into a reservoir and resulting sediment depositions. The proposed model is applied to laboratory experiments by Toniolo and Schultz (2005), and propagation of turbidity currents, morphological change, and trap of suspended sediment are simulated. It is simulated that the turbidity current after plunging at the foreset of the model delta, propagates along the bottom. The thickness of the turbidity current increases significantly after being blocked by the dam, and this effect is propagated in the upstream direction. In addition, it is simulated that the foreset moves in the downstream direction due to both the bedload and suspended load and the thickness of the bottom set increases due to the suspended load. It is found that the height of the intake affects the thickness of the turbidity current and the location of the internal hydraulic jump. The impact of the height of the intake on the trap efficiency is not clear in the experimental results, however, overall trap efficiency is predicted quite successfully by the model. Also, sensitivity analysis i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particle size affects the trap efficiency most.

Superhydrophobic Engineered Surface Based on Nanohoneycomb Structures (나노허니컴 구조물을 이용한 산업용 극소수성 표면 제작)

  • Kim, Dong-Hyun;Park, Hyun-Chul;Lee, Kun-Hong;Hwang, Woon-Bong
    • Composites Research
    • /
    • v.20 no.2
    • /
    • pp.17-20
    • /
    • 2007
  • Superhydrophobic polytetrafluoroethylene ($Teflon^{(R)}$, Dupont) sub-micro and nanostructures were fabricated by the dipping method, based on anodization process in oxalic acid. The polymer sticking phenomenon during the replication creates the sub-microstructures on the negative polytetrafluoroethylene nanostructure replica. This process gives a hierarchical structure with nanostructures on sub-microstructures, which looks like the same structures as lotus leaf and enables commercialization. The diameter and the height of the replicated nano pillars were 40 nm and 40 um respectively. The aspect ratio is approximately 1000. The fabricated surface has a semi-permanent superhydrophobicity, the apparent contact angle of the polytetrafluoroethylene sub-micro and nanostructures is about $160^{\circ}$, and the sliding angle is less than $1^{\circ}$.

Applicability of stochastic flocculation model and its capability when incorporated into sediment transport model (추계학적 응집모형의 적용성 및 유사이동 모형과의 결합가능성)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8-368
    • /
    • 2016
  • 점착성 유사는 응집현상을 통해 크기와 밀도를 바꾸고 이에 따라 부유 및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침강속도가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점착성 유사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응집현상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응집현상 모형은 크게 Population balance equation type 모형(PBE)과 Floc growth type 모형(FGM)으로 나뉜다. PBE 모형은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닫힌 계에서 질량보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가진다. FGM 모형은 간단한 식을 통해 질량보존을 만족시키고 수치적으로 효율적인 모의를 할 수 있는 반면 입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장단점으로 인해 PBE 모형은 유사이동모형과 결합되어 이용된 사례가 없으며 FGM 모형은 유사이동모형과 결합되어 평균적인 점착성 유사의 거동만을 모의하는 연구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Stochastic floc growth type 모형(SFGM)의 개발에 따라 이해할 수 있는 점착성 유사이동의 특성과 이를 유사이동 모형과 결합시키는 방향에 대해 검토한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결과를 분석하면 SFGM은 질량보존을 만족시키면서도 점착성 유사의 입도분포를 모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난수발생의 단계에서 적절한 확률분포형을 선정하고 확률매개변수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입도분포 모의가 가능하다. 가는 모래를 대상으로 하는 비점착성 유사의 경우에는 추계학적인 유사이동 모형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개발된 모형은 실제 측정값에 적용되어 다양한 학술적 가능성을 보여왔다. 따라서 SFGM의 개발이 점착성 유사의 이동모형과 결합되는 경우에는 점착성 유사가 지배적인 다양한 환경에서의 거동 특성을 이해할 때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응집모형은 난류의 강도에 지배적인 영향을 받으며 유사의 입경 및 밀도 변화를 계산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유사이동 모형 역시 난류 강도에 대한 정보를 계산할 수 있는 지배방정식을 필요로 한다. 향후 개발될 추계학적 점착성 유사의 이동모형은 난류에 대한 정보, SFGM의 결합 등을 필요조건으로 가진다.

  • PDF

Nearshore Sediment Transport in Vicinity of Anmok Harbor, East Coast of Korea.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 김인호;이정렬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6 no.2
    • /
    • pp.108-119
    • /
    • 2004
  • The breakwater extension at Anmok Harbor has resulted in erosional stresses along the wide range of shorelines immediately south of the harbor. In this study, therefore, the downdrift affects caused by the breakwater extension are investigated through both analytical and numerical approaches. In addition, this study stresses the need of monitoring and analysis system for the effective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and shows through the case study of Anmok Harbor how the numerical experiments are accomplished for the coastal zone management. The numerical model system, which predicts the seabed change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es of sediment pickup and settling due to gravity, is combined with the wave, wave-induced currents, and suspended sediment transport models.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near-bed concentration and the depth-mean concentration, which is required in estimating the settling rates. is presented by analyzing the vertical structure of concentration.

A Study on a Vertical Transport Model of Coastal Sediments Us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Data from a Settling Column (Settling Column의 입자분포 측정치를 이용한 연안 퇴적물 입자의 연직이동 모델 연구)

  • Lee Du 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 no.1
    • /
    • pp.26-33
    • /
    • 1999
  • Coastal sediments in polluted areas adsorb many hydrophobic pollutants such as PCBs. During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jects like dredging, they can be resuspended and transported to less polluted area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the author previously developed a mathematical model that can simulate the change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due to sedimentation, vortical dispersion and coagulation. In this research,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is model were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observed PSDs from a 2-m settling column simulating coastal environments. The simulations showed that the model predictions were in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changes of PSDs in terms of depths and times), and that the resuspended sediments coagulated during the vertical transport. 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ed model has a good ability to describe the very complicated phenomena of real aggregation and vortical transport dynamics of coastal sediments with various particle siz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