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환경 선박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전기 추진 선박 G/T 300톤 설계

  • 이동훈;노창균;서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157-159
    • /
    • 2021
  • 친환경 선박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LNG, 수소 등 신에너지 추진 선박을 활용하고자 신에너지 추진 선박의 전문 연구기관으로 발전시키고 4차 산업혁명에서의 스마트 선박을 선도하고자 본 선박의 설계를 추진하게 되었다. 또한, 해양관광산업과 연계하고자 친환경 유람선 및 친환경 에너지원을 사용하여 추진할 수 있는 적합한 선형 개발을 목표로 진행하고자 하며, 연안 유람선 기술 개발로 지역 기반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Study of Green-ship Development Trend (친환경 선박의 개발동향에 관한 연구)

  • Kim, Tae-Goun;Song, Ch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97-100
    • /
    • 2013
  • 전 세계 국제무역거래의 80%가 해상운송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연 6%로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증가가 전망됨에 따라 선박기인 온실가스의 증가에 대한 관심과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즉 IMO 제62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선박기인 온실가스 규제방안으로 EEDI와 SEEMP를 도입, 현재 발효 중에 있으며, 각 국의 항만당국 또한 대기오염 등의 환경규제 정책의 일환으로 그린 또는 에코포트 정책을 수립하여 이행 중에 있다. 이러한 해운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해운선사는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박의 대형화를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은 물론, 급등하는 유가와 환경규제에 대비하여 고 에너지효율 및 저탄소 선박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일본, 싱가폴, 노르웨이 등 EU 국가 등의 해운 선진국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친환경 선박의 개발에 대한 국가적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이행해 오고 있으며, 이를 통한 친환경 선박기술의 확보와 친환경 선박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진 해운국가들이 수행중인 친환경 선박개발의 현황에 대한 벤치마킹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뒤쳐져 있는 우리나라 친환경 선박개발 방안을 위한 여러 정책적 제안을 하고자 한다.

  • PDF

친환경 선박 건조 업무 방안 제안

  • 현영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13-15
    • /
    • 2023
  • 환경친화적 선박(이하 친환경 선박)의 소개 및 건조근거와 대상 선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선박 건조 업무 시 고려사항과 선박 건조 업무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 PDF

LNG연료 선박 국내도입을 위한 기반구축 연구

  • Gu, Ja-Yun;Sin, J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26-28
    • /
    • 2011
  • 지구 온난화를 방지를 위한 국제적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이에 따른 선박의 배기가스 규제가 현실화됨에 따라 친환경 선박의 개발 및 운영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세계적인 친환경 선박의 개발 추세를 분석한 결과 최적으로 고려되는 LNG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효용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의 건조를 위한 IMO 법령 등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근거로 LNG 연료선박의 국내 도입을 위하여 우리나라 관련 법령의 제정 노력 결과와 선박건조 시범사업을 소개하고 향후 추진해야 할 사항을 점검하였다.

  • PDF

Trends in safety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of eco-friendly ships (친환경 선박용 전기추진시스템 안전성 향상 기술개발 동향)

  • Kim, Sehwan;Choi, Gilsu;Lee, Jae Suk
    • Journal of IKEEE
    • /
    • v.25 no.3
    • /
    • pp.556-564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trends of safety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of eco-friendly ships. As an effort to reduce a green house effect, demands for eco-friendly ships have been increased.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one of key systems in an eco-friendly ship and a lithium-ion battery generally used in an ESS system due to its high power density and efficiency. However, a lithium-ion battery is considered as one of reasons for ESS fire hazard. Since a fire extinguishing facility is especially limited in the ocean, safety issue in an eco-friendly ship is important. In this paper, recent safety improvement technologies for traction motors, ESS batteries and structures for eco-friendly ships are presented.

ICT EXPERT INTERVIEW - 스마트자율운항선박

  • Yu, Yeong-Ho
    • TTA Journal
    • /
    • s.178
    • /
    • pp.8-13
    • /
    • 2018
  • 최근 조선 및 해운경기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해운사는 보다 많은 이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첨단 ICT기술을 도입하여 최소 운항비 최대 이익 창출을 꾀하고 있다. IMO는 새로운 화두로서 자율운항선박이 운항 가능하도록 법적 개념 정립을 2020년까지 완료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산업계는 IMO의 NOx규제 Tier III(3.4 g/kWh, n<130), EEDI($CO_2$ 배출규제)의 Phase 1(Phase 0 대비 10%포인트 감소), Phase 2(Phase 1 대비 10%포인트 감소), EEOI 등 친환경선박 문제가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태에서 ICT와 결합하여 친환경 에코선박으로써 스마트선박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기대하고 있다. 자율운항선박의 도입에 관해 많은 해운 전문가들 사이에 찬반의 의견이 분분하나 첨단 ICT를 도입하여 최소 운항비 최대 이익 창출을 추구하는 친환경 스마트선박의 도입에 대해서는 해운사 선주, 조선소 모두 앞을 다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세계 각 국가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자율운항선박의 연구와 기술 및 표준 동향과 우리나라가 추진하고 있는 연구와 산업계의 동향을 알아보고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될 글로벌 조선 산업의 미래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 PDF

Study on Domestic Trends of Green Fuel Policy

  • Sangseop Lim;Sang-Mi Im;Seok-Hu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4
    • /
    • pp.183-189
    • /
    • 2024
  • Against the backdrop of IMO's stricter environmental regulations due to global warming, Europe's Fit for 55 plan, and other initiatives,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the suppl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rine fuels and policy analysis are more critical than ever.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existing research and policies on the suppl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rine fuels, as well as trends in regulations, industry response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for the suppl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s, to draw insightful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ablishment of infrastructure for the suppl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s is as important as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ly friendly ships, due to the strengthening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LNG is a viable option in the short term, but a transition to carbon-free fuels is necessary in the long run. In this regard, a strategic approach is needed to focus support on fuels that are advantageous to produce, considering domestic industrial conditio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actively promote infrastructure development through measures such as supporting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s, improving regulations and providing incentives, attracting private investment, and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valuable resource for setting policy directions for the transition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ritime industry. Future research will inclu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conomic viabilit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fuels and basic research on the selection of fuels that are advantageous to Korea.

제한수역에서 항행선박이 계류 선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CFD 연구

  • 송성진;정재환;정동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70-71
    • /
    • 2023
  • 본 연구는 항만 내 LNG 벙커링 동시작업 안전성 평가의 일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CFD를 활용하여 제한수역에서 항행선박이 계류된 선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수치해석은 Star-CCM+를 활용하였으며, 수치 모델 검증을 위해 해석 결과는 공개된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항행선박과 계류선박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LNG 벙커링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 및 STS(Ship-to-ship) LNG 벙커링 동시작업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계획되어 있다.

  • PDF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Ship Dissemination Policy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법(AHP)을 이용한 친환경선박 보급정책의 중요도 분석)

  • Bae, Cheol-Su;Yang, Won-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1
    • /
    • pp.117-124
    • /
    • 2022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is tighten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in the shipping sector to reduce air pollutants such as greenhouse gases emitted from ships. Meanwhile, the paradigm of the shipbuilding and shipping industries is shifting toward eco-friendly and high-efficiency ships worldwide.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promoting a policy to expand the supply of eco-friendly ships from 2020 to disseminate them. In this articl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 experts on the government's eco-friendly ship supply policy, and the priority of the policy was evaluat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priorities for six priority tasks, "Securing the world's leading technology for future eco-friendly ships" for the development of carbon-free and low carbon ships was the highest.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ship policies through AHP analysis, can be used as data to preemptively respond to international marine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o improve policy execution efficiency such as budget allo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regarding protecting national shipping and shipbuilding industries.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Ammonia Propulsion Model: Focusing on the Training Ship (암모니아 추진 모델 적용을 위한 연구: 실습선을 중심으로)

  • GA-YOUNG YANG;JAE-WOO AHN;SUNG-BIN HONG;KANG-HYEON KIM;JAE-MIN PARK;BO RIM RYU;HO KEUN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156-157
    • /
    • 2022
  • Currently, due to the increase in GHG emissions, the global weather phenomenon is constantly occurring, and each international organization is trying to reduce 온실가스 through various regulations to reduce GHG. To comply with the regulations, eco-friendly ships are currently being studied to reduce GHG. This paper models the fuel propulsion system of NH3 sofc fuel cell propulsion ship through the case study of eco-friendly ships, especially NH3 fuel cells, and provides information on how NH3 sofc fuel cell propulsion ships can benefit energy efficiency and decarbonization compared to existing FO vess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