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 방제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9초

친환경농업 - 곰팡이를 이용한 가루이류 해충방제

  • 김정준
    • 농업기술회보
    • /
    • 제51권2호
    • /
    • pp.28-29
    • /
    • 2014
  • 친환경 안전 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 친화적인 병해충 방제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해충의 친환경 방제 수단인 미생물 살충제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학농약에 대한 약제 저항성 발현으로 방제가 어려운 가루이류의 살충성 곰팡이를 이용한 방제법 개발은 친환경 농산물 생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친환경농업 - 친환경제재를 이용한 벼멸구 방제효과

  • 백채훈;안정구
    • 농업기술회보
    • /
    • 제49권5호
    • /
    • pp.16-16
    • /
    • 2012
  • 벼멸구를 방제하기 위해 친환경농자재를 이용할 때 중요한 것은 방제시기와 방제횟수이다. 대부분의 친환경농자재는 벼멸구의 알을 죽이지 못하므로 벼멸구 발생초기에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처리해야 살아남은 알에서 새로 부화한 벼멸구까지 방제가 가능하다. 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친환경농자재의 벼멸구 방제효과에 대해 알아보자.

  • PDF

친환경 농자재와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의 처리 간격이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treate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Control Efficacy of Isaria javanica Isolate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이병주;한지희;황정화;김정준;이상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1-642
    • /
    • 2017
  • 작물의 재배 과정 중에 발생하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친환경 유기농자재, 미생물 살충제, 화학 살충제와 같은 다양한 방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해충과 병을 방제하기 위해 동일한 포장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된다. 이 방제제들은 서로 영향을 미쳐 방제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살충제와 동시에 또는 동일 포장에 처리될 수 있는 다른 농자재의 혼용가능 여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하우스에서 가루이류 방제를 위해 등록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전처리가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해 개발된 Isaria javanica 균주의 포자 발아, 균사 성장 그리고 방제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담배가루이 방제용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I. javanica 균주는 4종(A, 파라핀오일+계피오일; B, 대두유; C, 님추출물+참깨오일; D, 채종유)의 가루이류 방제용 친환경 살충제 중 A 살충제에 의해 포자 발아($8.9{\pm}1.3%{\sim}24.5{\pm}0.9%$) 및 균사 성장($0.81{\pm}0.01cm{\sim}0cm$)이 감소되었다. 담배가루이 방제에서 친환경 유기농자재와 I. javanica 사이의 처리 간격이 미치는 효과 조사를 위해, 친환경 유기농자재 4종을 I. javanica 균주 처리 0, 1, 4, 7일 전 처리하고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친환경 유기농자재 전처리는 4종 모두 I. javanica의 담배가루이 방제효과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국내에 등록된 가루이류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4종과 개발된 곰팡이 살충제 I. javanica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할 경우, 상호영향을 고려하여 7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담배가루이를 방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친환경농업 - 파프리카 흰가루병 친환경 방제기술

  • 이성찬;안정구
    • 농업기술회보
    • /
    • 제49권4호
    • /
    • pp.13-14
    • /
    • 2012
  • 시설 내에서 재배하는 파프리카는 최근 들어 국내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대일 수출도 활성화되어 농가의 고소득 작목이다. 파프리카 재배가 시설 내에서 이루어지면서 고온건조 환경을 좋아히는 흰가루병이 가장 방제가 어려운 병해로 문제시 되고 있다. 이에 파프리카 흰가루병의 발생생태 및 친환경 방제기술에 대해 알아본다.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225호

  • 정진영
    • 건강과 자연농업
    • /
    • 225호
    • /
    • pp.1-12
    • /
    • 2006
  • 대만민국 건국이래 반만년만에 최초로 밥상용 수입쌀의 시중판매를 공식개시/"칼로스 쌀" 무릅꿇릴수 있다/우리의 산야초/인산이 작물에 왜 중요한가?/경북도지부 1/4분기 지회장단 정기회의 개최/미,친환경.유기농박람회 개최/식용유와 계란을 이용한 친환경농법으로 작물 병해충 방제 거뜬/건강상식의 편견에 고함/제2차 친환경농업 육성목표와 방향/"친환경 농산물 안심하고 드세요"/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친환경농업 생산~판매까지 책임 전남도 사업주체 책임운영모델 본격화/식물세균병 방제를 하려면/농업용수도 좋은 물을 사용해야 한다/미생물을 이용한 토양병해방제/냉해 방지는 이렇게/친환경농업기술 세미나 개최,농산물 안전성 확대 등 방안 마련/식물나라영농조합법인/삼정은 유기농인의 기본/해충의 습성을 이용한 퇴치/3월중 새식구 명단/광주.전남도지부 임원회의/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관행 시설채소,농약 친환경의 7배 사용/월마트,유기농 시장 본격 진출/아이들 먹거리 우리가 책임진다/규소시비와 무제초

  • PDF

건강과 자연농업-제230호

  • 정진영
    • 건강과 자연농업
    • /
    • 230호
    • /
    • pp.1-12
    • /
    • 2006
  • 2006년도 지회장단 연찬회 성료/미국산 유전자조작 쌀 세계로 퍼저나가/우리의 산야초/연속 강우에 따른 과일나무 잎의 갈변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06'대구.경북도지부 지회장단 연찬회/생활습관으로 노화를 최소화하라/철원지회,친환경농산물 가공센터 준공/고령.우곡지회,그린수박 선별장 준공/아이들건강과 먹을거리 패러다임의 전환/미국에서 친환경 상품 소비 증가세/미국 LA에 한국인 대상 유기농 마켓 등장/아마존 닷컴 유기농식품 판매에 손길/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경북,10년간 1조7천억 투입해 친환경농업 육성/벼희잎마름병의 방제는 이렇게/빛을 이용한 해충의 방제/유기농업연수원 매각 한 후 본회 사옥 신축/화성지역 인증자 후기관리교육 실시/국내외 친환경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실태/친환경 유기낙농의 정착 방안/8월중 새식구 명단/2006 지회장단 연찬회 이모저모/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SK건설, 유기농 주말농장 무상대여 서비스/항공사들, 유기농식단 등으로/중국에도 웰빙바람, 유기농이뛴다/유기질비료의 이해

  • PDF

소석회와 식물 추출물의 닭진드기에 대한 구충 효과 (The Acaricidal Effects of Slaked Lime and Plant Extracts on Poultry Red Mites)

  • 홍의철;박기태;강보석;강환구;전진주;김현수;손지선;김지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11-217
    • /
    • 2020
  • 본 연구는 닭진드기 방제 물질로서 소석회와 소석회·식물추출물 혼합물의 감수성과 시간 경과에 따른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친환경 방제 물질은 식물추출물 3종(정향, 계피, 사포닌)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시험 1>은 방제 물질에 대한 감수성 평가로서, 소석회 10%와 20% 수용액, 1% 친환경 방제 물질을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다. <시험 2>는 친환경 방제 물질의 지속성 평가로서, 20% 소석회 수용액과 1% 친환경 방제 물질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각각의 처리구로 하였으며, 처치 후 시간 경과(0, 10, 30, 60분)에 따른 닭진드기 구충 효과를 조사하였다. 10%와 20% 소석회 수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닭진드기 구충 효과는 각각 73.2%와 85.1%로 나타났다. 20% 소석회수용액을 처리한 경우, 구충 효율은 30분이 경과되었을 때 50.7%, 60분 경과시에는 12.7%까지 감소하였다(P<0.05). 1% 친환경 방제 물질 처리구에서는 처치 30분 후부터 닭진드기의 구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방제 물질의 농가 적용 시, 닭진드기는 36주령에 관찰되기 시작하여 10주 만에 7,923마리로 증가하였으나, 방제 물질을 처리 후 438마리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닭진드기의 방제를 위해서는 소석회와 친환경 방제 물질을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고추 탄저병 방제제 Burkholderia lata CAB13001 선발 및 포장방제 효과 (Selection of Antifungal Bacteria Burkholderia lata CAB13001 for Control on Red Pepper Anthracnose and Its Control Efficacy in Field)

  • 함수상;김병련;권미경;한광섭;박인희;서경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49-660
    • /
    • 2018
  •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해 발생하는 고추탄저병을 방제하기 위해 토양 근권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중 길항효과가 있는 미생물을 선발하여 주요 작물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 효과와 포장에서의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기내 대치배양법을 이용한 길항력을 검정하였을 때, CAB13001 균주는 고추 탄저병을 일으키는 Colletotrichum acutatum을 포함한 식물 병원균 Sclerotinia cepivorum, Sclerotinia sclerotium, Botrytis cinerea에 대한 뛰어난 항균활성 효과를 보였다. 또한 풋고추를 이용한 생체 검정에서 선발균주는 고추 탄저병의 병반진전 억제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포장에서의 방제가 역시 무처리 대비 82.4%로 매우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CAB13001 균주는 공기 전염을 하는 고추 탄저병의 생물적 방제제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 사용된 길항미생물 CAB13001 균주는 16s rRNA gene의 계통학적 위치를 분석한 결과 Burkholderia lata로 동정하였다.

건강과 자연농업-제229호

  • 정진영
    • 건강과 자연농업
    • /
    • 229호
    • /
    • pp.1-12
    • /
    • 2006
  • 한.미 자유무역협상(FTA) 서둘지 말아야/학교급식은 직영해야 한다/우리의 산야초/연속 강우에 따른 과일나무 잎의 갈변에 대하여/벼 멀칭재배의 이론과 기술/소화불량증과 생활습관/아이들건강과 먹을거리 패러다임의 전환/제7회 동아시아 친환경 벼 심포지엄/홍성서,제5회 아시아 오리농법대회/두가지 비료로 유기농작물의 고품질 다수확 생산을 체계적으로 보다 쉽게 하는 방법/충남,친환경농업 육성 '박차'/벼흰잎마름병은 어떤 병인가?/빛을 이용한 해충의 방제/제천 명암 환경농업 작목반/국내외 친환경농축산물의 생산 및 인증실태/남양주시에서 친환경농산물 인증서 수여 및 인증자 교육 실시/해충의 습성을 이용한 퇴치/7월중 새식구 명단/예산당국,내년 유기질비료 예산 '동결' 토양개량제 '감축' 방침/제9회 충남유기농업인대회/충북도지부 월례회의/불량비료 17개 제품 적발/방제비용 절감 '친환경보조제'개발/농진청, '탑프루트' 프로젝트 적용과실 본격출하/유기 및 일반 농산물의 품질 비교에 관한 연구/당도진단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