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 건축자재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친환경 건축자재로서 황토마감재 개발을 위한 천연혼화재 비율설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Ratios of Natural Ingredients for Loess(Hwangtoh) as Environmental-Friendly materials)

  • 이태구
    • KIEAE Journal
    • /
    • 제6권2호
    • /
    • pp.51-57
    • /
    • 2006
  • With people's awareness of environment-friendly buildings recently increasing, there is a need to develop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to reduce indoorair pollution levels. Thus, efforts to develop loess finishing materials that can replace the finishing materials currently being used (e.g., gypsum boards and chemical products) are underway.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loess products,however, revealed that the cracks on loess products can be lessened and their strength can be improved by adding chemical ingredients to them. Thus, this research sought to use 100% natural materials and to develop loess finishing materials. In the experiments that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ppropriate mixture ratios of loess and sand/silica sand were found, and cracks and contraction ratio changes in samples were analyzed by differentiating the ratios of natural ingredients, such as lime, fine jute threads, gypsum, and jute cuttings. Loess'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found t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loess decoration,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 mixture of lime and fine chute threads could improve the contraction ratio. Through this study, which made use of natural ingredients,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exercise the original function of loess were developed.

미세 다공질 광물과 아미드계 분해제의 적용을 통한 건축자재의 습도 조절과 폼알데히드 분해 성능 특성 평가 (Micro Porous Clay Mineral Absorption / Desorption Moisture-Proof Performance of The Atmospheric Humidity and Decomposing The Polyamide Adsorption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Formaldehyde)

  • 이제철;김윤환;윤승희
    • KIEAE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105-109
    • /
    • 2014
  • The recent rising living standards, environment-friendly, well-being and health aspects of life in the basic gratification, as well as the desire for a pleasant environment emotionally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of external space or industrial interest in the indoor environment, the manifestation. In particular, the biggest problem of the indoor environment has been emerged as a Sick House Syndrome indoor space that is provided to the building materials, and the impact on the domestic and the indoor environment, and clean the house in a health standards are specified as laws. The performance rating and the various materials to create environmentally-friendly standards for building materials. The more detail, Porous clay material, toxic substances released by applying the high humidity and the water itself, and to absorb the moisture, if the emissions, without a separate device,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an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causes of Sick House Syndrome breaking down harmful substances to absorb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to maintain an environmentally-friendly building interior material studies. It is aimed at the development to multi-functional high performance eco-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rather than through one feature performance, identify key features for national and international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can exert Water Vapour Adsorption raw, decomposed materials for the application and selection.

제로에너지빌딩의 기술 패키지 구성을 위한 성능 기준 및 성능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asuring Methods and Standard for the Technical Package in Zero Energy Building)

  • 성욱주;임민엽;김석현;조수
    •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543-556
    • /
    • 2018
  • Zero energy building was attended for energy consumption minimization by the energy saving technology about building heating and cooling energy consumption and the renewable energy production facility. So the government has supported the zero energy building supply for decreasing green gas emissions. The study about inventory of zero energy building has many proceeding. That inventory need the information of material and equipment. So information of material and equipment about zero energy building must be included for the zero energy building realization. Actually the database of zero energy building inventory construction through the inventory established studies has difficult because the database need many information. In this study, author proposed the test methods and performance reference for upload at inventory. It was constructed to material - module - package. Also the author analyzed the construction of the technical package for zero energy building. The author separated performance category to the energy performance for energy analysis and other performance for confirmed the durability, stability and etc. This performance category proposed the table. The test methods of material and equipment in the passive package and active package proposed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korea standard basically korea standard. Also the performance reference was proposed to korea legal standard and various standard by this study results. And the authors proposed the table of performance value, test methods, performance reference. By result of this study, the test methods and performance reference will be used the basic data for inventory of zero energy building.

환경친화성 SIS계 핫멜트 점착제를 이용한 무늬목 접착 (Environment-Friendly Bonding of Decorative Veneer by SIS-Based Hotmelt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임동혁;김수민;박영준;김현중;양한승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22-29
    • /
    • 2006
  • 친환경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가구 및 건축 내외장재로 사용되는 목질복합재료에 대한 친환경적 성능에 대한 요구는 점차 커져가는 추세이다. 목질 복합재료는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사용하기 보다는 표면재를 붙여서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요소포름알데히드 접착제를 친환경적인 SIS계 핫벨트 점착제로 대체코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질고분자의 diblock 함량, 점착부여수지의 연화점 및 함량 등을 변화시키면서 여러 종류의 핫벨트 점착제를 제조하고 각각의 점착제에 의한 무늬목 부착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점착형 표면재에 대한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전기변색 외피시스템 적용 업무공간의 채광 성능 분석 (Daylighting Performance of Office Space Applied with Electrochromic Façade System)

  • 김재향;한승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1-140
    • /
    • 2022
  • 스마트 윈도우는 건물의 에너지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신소재 건축 자재이며, 상황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Visible Light Transmittance), 일사획득계수(Solar Heat Gain Coefficient, g-value)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Electrochromic(EC), Suspended Particle Device(SP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PDLC) 등이 스마트 윈도우에 해당되며 현재 실용화 단계에 있다. 최근 스마트 윈도우의 VLT 및 g-value 조절 기능을 통해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하지만,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에 대해서 연구의 영역이 제한되어 있고, 실내 환경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에너지 절감에만 초점을 맞춘 실내 공간은 충분한 쾌적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환경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무공간을 기준으로 채광성능(Daylight Performance) 분석이 수행되었다. 세계 각 국의 친환경 건축인증제도인 LEED, BREEAM, CASBEE, G-SEED의 기준을 통해 스마트 윈도우의 VLT 조절에 따른 채광성능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쾌적한 실내 채광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스마트 윈도우의 VLT 범위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스마트 윈도우는 VLT 조절 범위가 가장 넓은 EC가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의 친환경 건축인증제도인 G-SEED의 평균주광률을 충족하기 위한 스마트 윈도우의 최소 VLT는 25%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스마트 윈도우의 VLT 조절은 균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EED의 실내 최소조도의 기준을 적용할 시 적용되어야 하는 계절 및 향에 대한 스마트 윈도우의 VLT 조절 범위 값이 도출되었다.

실내 환경오염 감소를 위한 건축마감 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ishing materials for Reduction of Indoor pollution)

  • 김자경;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03-313
    • /
    • 2007
  • Nowadays, according to many studies, indoor space's pollution level is two to ten times higher than outdoor space's. This result arouses our attention. The major causes of deterio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re the lack of ventilation caused by draught-proofing and insulation construction, and harmful chemical substance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office machine and furniture. Therefore, we are continuing research to find the method for healthful house and production of many forms of well-being goods. However, because of exaggerated advertisements and the lack of accurate information, consumers choose the products whose performance is not verifi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conditions of pollution by building materials and the extent of the health damage by this pollution, and suggests the method for minimizing indoor pollution in aspect of indoor environment control and the use of environment friendly materials. But the building material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environment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s that are in circulation In domestic market because this research is primarily aimed to give domestic consumers the standard for selecting this materials.

합성수지계 사출성형 재생유로폼의 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Performance Evaluation of Recycled Synthetic Resins Euro-form by Injection Modeling Method)

  • 정병열;이현철;김준희;고성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3
    • /
    • 2010
  • 거푸집 공사는 부실공사의 예방 및 인력절감과 저비용 고효율의 공사관리 차원에서 공법개선이 요구되고 있으며, 자재 및 공법 채용과정에서 경제성과 합리화를 꾀하는 일은 전체 공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공사 효율성 제고를 위한 합판계 유로폼의 대체공법과 거푸집 폐자재의 재생기술, 고기능성 거푸집, 친환경을 고려한 재생 가능한 거푸집 등 경제, 시공, 안전측면에서의 효과적인 거푸집 개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체 공사 공기를 단축하고, 인력투입을 최소화하여 원가를 절감시키고, 조립 해체 과정에서 작업의 생산성과 안전성이 확보된 사출성형방식의 합성수지계 재생유로폼 공법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1차적으로 제반 요구성능 및 필요기술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기술의 타당성 검토와 기존 거푸집 및 선행기술과의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강구조 재사용 시스템을 위한 탈부착이 가능한 PC 슬래브 접합부의 성능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Removable PC Slab Connection for the Reusable Steel Structural System)

  • 심현주;오은지;이은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49-658
    • /
    • 2013
  • 최근 건축 분야에서도 친환경, 순환형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구조체의 해체에 의해 재사용이 가능한 구조시스템을 도입하여 건설자재의 절감 및 재활용, 구조체의 장수명화를 통해 친환경 및 $LCCO_2$를 저감할 수 있는 강구조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부재의 재조합이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탈착이 가능한 바닥슬래브와 강재보 접합상세를 제안하고 구조성능 및 진동 등과 같은 동적 특성에 의해 사용성을 파악하고 평가하였다.

물-시멘트비 및 갯벌 치환율에 따른 모르타르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ortar According to the Water Cement Ratio and Mudflats Replacement Ratio)

  • 양성환;이흥열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준설토 투기장의 갯벌을 골재의 대체 재료로 사용하여 갯벌의 혼입율, 물-시멘트비의 증가에 따른 모르타르의 특성 및 친환경 건축자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플로우 실험결과 갯벌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플로우 값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화물함유량시험은 갯벌의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염화물함유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갯벌을 혼입한 시험체의 압축 및 인장강도시험에서는 갯벌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저하되었지만 재령 14일강도 기준으로 대부분의 시험체가 Plain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냈으나, 재령 14일의 강도가 재령 28일의 강도보다 높은 값을 발현하였다. 이는 갯벌의 점성과 응집력으로 인한 혼합과정의 실험오차로 판단되며, 추후 갯벌의 혼합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압축강도에서는 물-시멘트비 70%가 가장 우수하였고, 인장강도에서는 물-시멘트비 80%가 가장 우수하였다. 표면분석평가에서는 강도와 배합, 다짐에서 가장 양호한 물-시멘트비 70%를 선정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분석하였는데, 분석결과에서 갯벌의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매끄러운 표면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물-시멘트비 70%가 갯벌모르타르의 최적의 혼합비이며 갯벌 혼입율 10~30%가 가장 최적의 비율로 판단된다. 또한 갯벌을 이용한 벽돌, 타일 등의 내부 마감재와 내부 미장바름재 등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녹색도서관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한 국내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How do they Make Libraries Green?: A Case Based Study on Building Green Libraries)

  • 안인자;곽철완;노영희;박미영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135-158
    • /
    • 2012
  • 외국에서는 1980년대부터 '도서관과 환경', '그린도서관 사서', '환경정보원구축', '소음과 도서관', '환경적 대안으로서의 도서관구축' 등으로 녹색도서관에 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녹색도서관인증평가시스템에 의해 인증받은 도서관이 50개가 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녹색도서관 구축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 외 녹색도서관으로 인증받은 녹색도서관 구축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은 LEED인증시스템의 여섯 가지 평가항목 즉, 친환경적 건설장소, 수자원활용의 효율성, 에너지 및 대기, 자재와 자원, 실내환경친화도, 친환경실내디자인을 기준으로 도서관 녹색화가 이루어진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인증은 건축적인 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도서관의 친환경성을 좀 더 확대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즉 아직까지 연구되지 않고 있는 도서관의 서비스, 콘텐츠, 도서관용품 등의 친환경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