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주택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9초

법령과 고시 - 친환경 주택 건설기준 및 성능 고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3호
    • /
    • pp.55-57
    • /
    • 2009
  • 국토해양부는 지난 10월 20일 20가구 이상의 공동주택을 건설할 경우 총에너지를 종전보다 10~15% 이상 절감토록 하는 내용의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을 고시하고 이날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국토부는 친환경적인 주택 건설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에너지 소비절감 및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한 에너지절약형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을 마련한 것이다. 이 고시는 친환경 주택으로 인정받기 위한 필수시설 및 각각의 설치기준 제시와 에너지 사용용도에 따라 난방, 급탕, 전력, 열원 등 4개로 분류하는 친환경주택 성능 평가방법 등을 규정했다.

  • PDF

친환경 건설정책 -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시대 열다 - 강동구,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가이드라인 확정 -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6호
    • /
    • pp.48-51
    • /
    • 2010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최근 연세대 친환경건축연구센터와 서울시 강동구가 협의('09.8)를 통해 친환경 공동주택 가이드라인을 마련함에 따라 강동구부터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가이드라인' 시행에 들어 간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의 주요내용은 공동주택 재건축시 냉 난방 에너지 총 소비량의 40% 이상을 절감하고, 관리동 등 공용시설의 제로에너지화, 지역특성에 맞게 생태면적률 40%이상 확보, 단지내 인공생물 서식공간 조성의 의무화 등이다. 강동구는 앞으로 지어지는 재건축정비사업의 공동주택 모두에 가이드라인 내용을 반영하여 친환경 공동 주택으로 건설을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고덕지구($1,239,407m^2$, 18,540가구) 및 둔촌지구($626,235m^2$, 9,090가구)부터 적용하여 친환경공동주택단지를 조성할 전망이다.

  • PDF

세계의 주거 트렌드-친환경 주택의 본거지, 유럽을 가다

  • 이재협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201호
    • /
    • pp.54-59
    • /
    • 2007
  • 몇 년 전부터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것 중 하나가 '친환경' 또는 '웰빙'이란 단어다. 단지 입지에서부터 시공, 마감재까지 어김없이 친환경이란 용어가 등장한다. 하지만 시공 과정에서 멋을 내는 장식 정도로만 쓰이는 것이 국내 친환경 주거 단지의 현실이다. 콘크리트 시공이 필요한 차도나 보도를 최소화하고 단지 내 쾌적성을 우선시하는 유럽의 대표적인 친환경 주거 단지를 찾아가보자

  • PDF

이슈&이슈 (1) - 국내 최초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모델 개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9호
    • /
    • pp.40-43
    • /
    • 2010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는 지난5월 26일 송도국제도시 연세대학교 캠퍼스에서 국토해양부 장관,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 연세대학교 김한중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그린홈 플러스 G-home)"모델 개관식을 개최했다. 그린홈 플러스는 정부가 R&D 예산을 지원하여 산 학 연 합동으로 추진한 "저에너지 친환경 공동주택 기술개발"의 연구 성과물로서, 국내 최초로 공동주택에 저에너지 친환경 주택 기술을 적용하여 건축한 모델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 PDF

법령과고시 - '친환경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 고시 개정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68호
    • /
    • pp.63-63
    • /
    • 2012
  • 국토해양부는 현행 20%인 신축 공동주택의 에너지 의무절감률을 30%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친환경 주택의 건설기준 및 성능' 고시를 일부 개정해 11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

  • PDF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분석 및 제안 (Analysis and Suggestion of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Finishing Materials for Aged Apartment Remodeling)

  • 김기현;김경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18-126
    • /
    • 2007
  • 최근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주택성능등급표시제도를 비롯하여 실내공기환경에 대한 기준, 친환경상품인증기준 등 환경관련 제도 및 규정이 마련되면서 공동주택의 신축 및 리모델링 공사에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공동주택 리모델링 공사는 거주자가 사전에 정해진 상태에서 공사를 진행하므로 이들에 대한 의견수렴과 사용되는 소재에 대한 요구분석이 신축에 비해 중요하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시행 중에 있거나 최근 완료된 리모델링 공사의 시공자는 친환경 소재 적용에 대한 거주자의 적극적인 의견수렴 과정이 미비하였고, 친환경상품인증원의 최우수 등급을 받은 친환경 제품을 거주자의 요구에 의해 적용한다기 보다는 공동주택의 홍보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는 친환경 제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친환경 제품의 등급을 맹목적으로 신뢰하는 경우가 있었고 적용되는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가 매우 정성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리모델링 거주자의 친환경 소재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만족도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리모델링 공사에 적용하여야 한다.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경제성을 고려한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 선정 방안 (Selection Method of Eco-friendly Finishing Materials Considering Cost Efficiency for the Aged Housing Remodeling Projects)

  • 김기현;김경래;황영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84-91
    • /
    • 2008
  • 최근 주택성능등급표시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등 실내공기질에 관련한 제도가 생겨나고 공동주택 거주자 또한 실내공기 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최근 신축되거나 리모델링 되는 공동주택에는 친환경 실내마감재료가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실내 마감재료는 일반재료에 비해 그 가격이 고가이며, 분양가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친환경 마감재료 적용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은 거주자로 하여금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 마감공법 별로 적용되는 모든 주재료 및 부 재료에 대해서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후 공동주택 리모델링 마감공사 시 환경적인 요인, 경제적인 요인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효율적인 실내 마감재료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공동주택 친환경인증단지의 에너지성능지표 비교분석 연구 (The Analysis on Energy Performance Index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ed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 김종엽;정윤혜;백혜선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07-415
    • /
    • 2013
  • 2002년에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시행된 이후 많은 인증 수행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의 효과분석이나 개선방안 노력이 저조하다. 특히 인증제도에서 에너지성능은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있는 에너지성능지표(EPI)로 평가되지만 지금까지 지표에 대한 현황분석이 미비하여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성능지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에너지성능지표의 각 부문별 에너지 기본 배점에 따른 점수 현황을 분석하여 지표 개선을 도모하였다.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EPI 평균득점은 약 74.68점, 최소 63.40점, 최대 90점으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지표 중에서 최고의 배점으로 편성된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최대 12점 배점에서 평균 7.04점으로 평균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향후 에너지소비량 인증지표에서 등급구간의 강화 또는 산출식의 조정 등의 지표 개선이 필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