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7초

제도 & 시행 (3) - 친환경 인증 "모든 신축건축물로 확대"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239호
    • /
    • pp.28-30
    • /
    • 2010
  • 국토해양부(장관 정종환)와 환경부(장관 이만의)는 6개 용도의 신축건축물에만 가능했던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모든 용도의 신축건축물에 가능토록 하는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 개정안을 지난 5월17일 개정 공포('10.7.1 시행)했다. 이번 개정안은 저탄소 녹색건축물의 공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모든 용도의 신축건축물에 대한 친환경인증[공공건축물(1만$m^2$ 이상)은 의무화, 민간건축물은 자발적 참여로 운영] 평가기준 마련과 인증기관의 전문성 강화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취 등록세 감면 등 인센티브 제도가 원활히 시행될 수 있도록 인증시기 및 절차를 개선하고, 인증등급을 세분화(2 $\rightarrow$ 4등급)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토해양부와 환경부는 이번 조치로 민간분야의 경우 본인들이 인센티브를 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민간분야의 친환경설계를 적극 유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친환경건축물의 인증에 관한 규칙"의 차질 없는 시행을 위해 7월 1일까지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국토해양부, 환경부 공동 고시)을 개정할 계획이다. 한편, 내년부터는 기존 건축물도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그 대상범위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PDF

국내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국내.외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Focu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ystem)

  • 전상현;오세규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82-385
    • /
    • 2006
  • After incoming the notion of eco-friendly building, many organizations developed green building assessment programs and in the late of 2001, those programs were unified to one program, 'Green Building Certification(GBC)'. Many problems, however, arose after unification of programs and now the study to solve those problems is impe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to solve problems of GBC through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everal abroad and well developed programs. The key points of the analysis were 1)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organizations, 2) structures of programs, and 3)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methods and sys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BC didn't have any positive connections with the academia, the developer and the consumer, and did have lack of assessment efficiency and accuracy.

  • PDF

국내 친환경건축물관련 인증제도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Green Building in Korea)

  • 문미선;정지나;가참희;이진숙;태춘섭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63-268
    • /
    • 2011
  • Presently, various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being enforced in Korea. However, people are in confusion and have an aptitude to waste time and money because these certification systems for buildings have very similar criteria. After investigating the foreign certification systems and domestic certification systems for the building, it is required that some of similar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are integrated.

  • PDF

미국 외부공간 친환경 인증(SITES) 사례분석을 통한 친환경 조성기법 및 평가체계 연구 (A Study on Sustainable Outdoor Design Strategies and Assessment System through Analysis of SITES Certified Projects)

  • 이형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56-64
    • /
    • 2016
  • 친환경 건축물만이 아닌 지속가능한 대지개발 및 외부환경 조성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미국에서는 기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인 LEED와는 별도로 Sustainable Sites Initiative(SITES)라는 인증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의 외부공간의 친환경 요소들을 평가하고, 개발 전 과정동안 지속가능하고 통합적인 디자인이 실현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SITES 인증을 획득한 프로젝트들의 구체적인 친환경 전략과 적용기술 등을 분석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외부공간 조성기법과 평가체계를 검토하고, 국내 외부환경 친환경 평가체계의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SITES 인증을 받은 텍사스 지역 세 대상지의 친환경요소 분석결과, 건축물 중심의 친환경 인증과 달리 토양, 식생, 물 보전 등 조경분야에서의 다양하고 실질적인 친환경 전략과 방법들이 적용되고 있었다. 또한 인증과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하고 소통하는 통합적 디자인과 주민들의 참여가 이루어지고, 환경교육 및 실천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부환경 및 녹지의 친환경적 평가기준이 부족한 현실에서 국내 상황에 적합한 현실적이고 실효성 있는 외부환경 친환경 인증 및 평가체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는 향후 이러한 논의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의 외부환경요소적용에 관한 연구 - Site/environment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 Focusing on the site and environment)

  • 박찬혁;오명원;김병선
    • 한국태양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24-329
    • /
    • 2009
  • This paper is to provide problems and changes to be don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hich are similar to American Leed certification and Japanese CASBBE, reorganizing and comparing those systems with domestic system. Normally, those certification program is very similar, but have some differences in the view to the site and environment chapter. That difference will be change to the right way that protect the nature states of th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base data to first step of the process for modify the differency problem.

  • PDF

충남지역 지방공공의료원의 친환경성 분석 연구 - 토지이용 및 교통부분을 중심으로 (A Study on Environment-friendliness in the Chungnam Regional Public Hospitals - Focused on the Sustainable Site and Transportation)

  • 임영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37-45
    • /
    • 2014
  • Purpose: Numerous researches about healthcare building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they were mainly focused on convenience or healing condition for medical treatments. The hospitals consume energy and generate $CO_2$ as twice as the residential or commercial buildings do(Lim, et al., 2010a:154). The public regional hospitals are especially in serious conditions. They are more than 20 years old in average.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in the public regional hospitals are far behind ones in private sectors. Even though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s supporting renovation of the builidngs and enhancement of the facilities every year, it is not integrated including sustainibil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s current conditions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in envrionment-friendly standpoint, especially focused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Hospitals. Methods: we investigates current conditions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in envrionment-friendly standpoint, especially focused on Chungcheong Province area Hospitals. The study was execut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with site inspection, drawing analysis and interviews. Results: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Chungnam regional public hospitals can be environmentally improved by management plans and programs. Implic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Korea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r healthcare facilities will be developed in near future.

공동주택 친환경인증단지의 에너지성능지표 비교분석 연구 (The Analysis on Energy Performance Index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ed Apartment Buildings in Korea)

  • 김종엽;정윤혜;백혜선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407-415
    • /
    • 2013
  • 2002년에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가 시행된 이후 많은 인증 수행에도 불구하고 이 제도의 효과분석이나 개선방안 노력이 저조하다. 특히 인증제도에서 에너지성능은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있는 에너지성능지표(EPI)로 평가되지만 지금까지 지표에 대한 현황분석이 미비하여 개선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를 대상으로 에너지성능지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에너지성능지표의 각 부문별 에너지 기본 배점에 따른 점수 현황을 분석하여 지표 개선을 도모하였다.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EPI 평균득점은 약 74.68점, 최소 63.40점, 최대 90점으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증지표 중에서 최고의 배점으로 편성된 에너지소비량의 경우, 최대 12점 배점에서 평균 7.04점으로 평균 수준에 머물고 있었다. 향후 에너지소비량 인증지표에서 등급구간의 강화 또는 산출식의 조정 등의 지표 개선이 필요하였다.

녹색건축인증제(G-SEED)에 따른 한옥의 친환경 요소 평가에 관한 기초연구 -구례 운조루와 진원당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n the Eco-friendly elements evaluation of Hanok according to G-SEED -Focus on the Unjoru and Jinwondang-)

  • 최형석;김학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9-1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sage of eco-friendly element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o evaluate Hanok(Unjoru and Jinwondang) according t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G-SE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Unjoru and Jinwondang was not enough to obtain certification points. From Site usage and Traffic category, Jinwondang gets more points than Unjoru. It's because Jinwondang is located in downtown Seoul, so it gets more points of traffic and neighborhood facility. From Energ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tegory, Jinwondang gets more points of energy performance than Unjoru, too. It's because Jinwondang secured insulation performance of wall and windows using insulator and glass. From Resources category, Unjoru gets more points than Jinwondang. It shows that modern Hanok was limited using natural resources. From Ecological Environments category, Jinwondang is located urban area, it's difficult to secure the open space, so Unjoru gets more points than Jinwondang. If Modern Honok installs a system that can getting point and secure insulation performance, it will be certificated according to G-SEED.

POE를 통한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 인공환경 녹화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Artificial Greens in GBCS-Certified Apartments through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 김보람;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12
    • /
    • 2012
  • 본 연구는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지속가능성 증진을 위한 연구로서, 2007년 6월부터 2008년 6월 사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친환경건축물 본인증을 획득한 서울 경기지역 공동주택 8곳을 선정하여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기법 적용여부(이하, 인공환경 녹화)" 평가항목의 거주후 평가(POE)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친환경건축물 인증 공동주택의 인공환경 녹화 부문 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재인증 규정 및 사후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장관찰조사와 관리자 면담 및 거주후 평가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도출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 단지에 도입된 생태환경을 고려한 인공환경 녹화 계획요소의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둘째, 인공환경 녹화에 대한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옹벽대체녹화가 담장녹화, 옥상녹화, 벽면녹화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평가항목별 만족도는 질적 수준, 설계목적 부합 여부, 식생 관리상태, 식생 생육상태가 평균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셋째, 인공환경 녹화 만족도는 질적 수준에 대한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나머지 요인들도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 인증 제도는 유지관리 평가기준이 미비하여 관리상태가 소홀하고, 이는 전체적인 인공환경 녹화 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인증심사와 별도로 운영되는 사후관리 제도의 도입이 요구되며, 인증 취소나 벌점부과와 같은 적극적인 관리 규제 확충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