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수공원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stimating Visitors on Water-friendly Space in the River Using Mobile Big Data and UAV (통신 빅데이터와 무인기 영상을 활용한 하천 친수지구 이용객 추정)

  • Kim, Seo Jun;Kim, Chang Sung;Kim, Ji Su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4
    • /
    • pp.250-257
    • /
    • 2019
  • Recently, 357 water-friendly space were established near the main streams of the country through the Four Major Rivers Project, which was used as a resting and leisure space for the citizens, and the river environment and ecological health were improved. We are working hard to reduce the number of points and plan and manage the water-friendly space. In particular, attempts are being made to utilize mobile big data to make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on the number of users. However, when using mobile big data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conducting field surveys,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spatial user movement patterns, but it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amount of use, so various verifications are required to solve this problem.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number of users using mobile big data by comparing the number of visitors using mobile big data and the number of visitors using drone for Samrak ecological park located in the mouth of Nakdong River. As a result, in the river hydrophilic district, it was difficult to accurately estimating the usage pattern of each facility due to the low precision of pCELL,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usage patterns in the park could be distorted due to the signals stopped at roads and parking lo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number of pCELLs in the water-friendly space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visitors excluding facilities such as roads and parking lots in future mobile big data processing.

The Waterfront Development Type and its Policy Direction of International Gwangyang Port, Korea (국제항만 친수공간의 개발유형 설정과 정책방향 - 광양항을 중심으로 -)

  • Jeong, Bong-Hye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3
    • /
    • pp.1-22
    • /
    • 2008
  • This paper deals with the waterfront development in Gwangyang Port (GP), Kore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waterfront development type and suggest its policy direction of international GP, Korea. It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basic theory of port waterfront development, analysis of the experiences in port waterfront development, and the type and its policy directions of waterfront development in GP. This research is mainly based on a review of current reports / papers, an analysis of secondary data and a consultation with related experts. Port waterfront is an important area for increasing Gwangyang's attractiveness and strengthening its competitiveness. Considering port function in urban area, Gwangyang should thus implement the comprehensive plan for the port waterfront.

  • PDF

부산 다대포 해양 인프라를 활용한 해양보호구역 무인도서의 보전과 활용에 관한 연구

  • An, 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2-274
    • /
    • 2018
  • 부산 다대포항 인근에 있는 해수욕장, 생태공원, 다기능 어항, 몰운대, 낙조분수 등의 해양 인프라를 활용하여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개발가능 무인도서인 나무섬을 보전하고 활용하는 방법과 의의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존의 해양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여 친수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개별적 잠재력이 더욱 더 종합적으로 발전될 것이며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근본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 PDF

Study on Corresponding Water Level to Inundation of Ungaged Point using 1D Hydraulic Analysis Mode (1차원 수리해석을 통한 미계측 지점 침수대응수위 검토 연구)

  • Kim, Tae Hyung;Kim, Keuk Soo;Kwak, Jae Won;Ro, Young Sin;Park, Yong 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38-338
    • /
    • 2017
  •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 복원사업, 또는 하천재해예방 사업 등에 의해 수행되는 하천정비사업은 홍수재해예방, 생태하천 복구 등 여러 목적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이루어지는 하천정비사업은 공원, 캠핑장, 주차장 등 시민들에게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친수공간으로 조성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의 친수공간 조성은 홍수주의보 및 홍수경보에 대응하는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유량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함으로써 중소규모의 유량에 대한 홍수위험도도 함께 증가시켰다. 친수공간 및 교량하부도로 등 저수위에 대한 홍수취약구간의 홍수정보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위험지점의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하지만, 예산과 인력 등의 문제로 인해 모든 지점에 대해 수위관측을 실시하여 홍수예보시스템에 의해 홍수예측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친수공간에서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의 지형정보가 인근의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수리해석 모형을 통해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 및 홍수정보를 이용하여 하천구역내 위치한 친수공간에 대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즉, 원거리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수위 및 유량 정보를 활용하여 수위관측이 이루어지 않는 지점의 침수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낙동강 하류부에 대해 제시한 방법론에 의해 목표로 하는 친수공간에 대한 유량별 수위에 대한 침수도표를 작성하였다. 본 방법론과 이에 의해 작성된 친수공간의 침수도표는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침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Linear Smoothing Algorithm for Image-Based Object Detection of Water Friendly Facilities in River (영상 기반의 하천 친수시설 추출을 위한 선형 평활화 알고리즘 특성 연구)

  • Im, Yun Seong;Kim, Seo Jun;Kim, Chang Sung;Kim, Seong J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4
    • /
    • pp.266-272
    • /
    • 2021
  • Water friendly space refers to a place designated to plan and manage spaces for residents Water friendly activities. Efficient management of river Water friendly parks requires automated GIS data and DB construction of the water friendly facilities. Object-based classification using drone images or aerial image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efficient means to acquire 3D spatial information in the country. To remove the miscellaneous image included in the extracted outline, a linear simplification of the outline is required,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manually, so various automa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is, and among them, the most widely studied and utilized is the linear simplifica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suitability of linear simplification algorithms such as Douglas-Peucker, Visvalingam-Whyatt, and Bend-simplify algorithms for the geometric shape of hydrophilic facilities was determined.

A Study on the Park Using Pattern Focusing on user Behavior in River-eco-park (하천생태공원 이용자의 이용행태에 따른 시설이용패턴에 관한 연구)

  • Back, Jun Wook;Park, Jong Min;Kim, Jong G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5
    • /
    • pp.2157-2168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facilities using pattern for 'River-eco-park' that is Hwa-myeong Eco-park, Sam-rak Eco-park, Maek-do Eco-park. Through doing surveys, most patterns could be divided 5 patterns; 'Eco observation facility pattern', 'Promenade pattern', 'Bike path pattern', 'Sports facility pattern', 'Fitness center pattern'. Then we find channel of movement of user patterns by follow-up surveys. On the basis of this surveys, we are going to suggest some directions for River-eco-park design.

Comparison of Alternatives of Water-Friendly Facilities in an Industrial Complex (산업단지내 친수시설 대안의 비교)

  • Chung, S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70-1576
    • /
    • 2008
  • Construction of the water-friendly facilities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industrial complex became popular these days. In planning water-friendly facilities, kinds, layouts, water sources, water quality and water circulation system should be studies. In this study, several alternatives for a regional industrial complex project were studies and a most reasonal alternative was selected. A main canal across the central part of the complex is the principle facility with ponds and parks. The water source alternatives were a river nearby, a reservoir, ground water and urban water supply system. For each system, water quantity and quality, circulation system, permit and maintenance were compared. The facilities should be constructed with natural material such as rock and gravel. Average depth and velocity in the canal should be 10 cm and 0.15 m/s, respectively in order to people can feel the water flow in the canal. Based on the comparison, it is found that using the ground water, and water circulation system with storage tanks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anal system is the best alternative.

  • PDF

Flood Risk Analysis of Waterfront in Nakdong River Basin based on Field Survey of Flood Vulnerable Area (홍수취약구간 현장조사 기반의 낙동강 유역내 친수공간 홍수위험도 분석)

  • Kim, Tae Hyung;Kim, Keuk Soo;Kim, Sam Eun;Kwak, Jae W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4-254
    • /
    • 2016
  • 최근 4대강 살리기 사업에 의한 하천 준설과 보의 건설은 낙동강에서의 평수기와 홍수기의 수위차를 상당히 감소시켰으며 이로 인한 친수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원, 캠핑장, 하상도로, 주차장 등 고수부지 공간이 다양하게 조성되면서 대국민적인 여가활동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하천구역 내에 조성된 친수공간은 하천 홍수로 인한 피해 위험도 또한 함께 증가함에 따라 정확한 홍수정보의 제공과 신속한 홍수예보의 발령은 증가된 홍수위험도에 대처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가 된다. 현재 홍수예보는 홍수예보지점인 수위관측소를 기준으로 발령하고 있어 실제 홍수에 취약한 구간에 대한 홍수정보를 제공하기에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모든 홍수취약지점에서 수위관측을 통해 위험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홍수 피해에 대비하고 대응하기 위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나, 예산과 인력의 문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인 한계점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를 이용하여 홍수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각 친수공간이 홍수예보지점 또는 수위관측소 지점과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취약구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조사구간에 대한 DB를 구축함으로써 홍수 발생시 하천변 취약구간에 효과적으로 홍수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확보된 홍수취약지구의 기초정보를 이용하여 각 친수지구가 가지는 홍수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위관측소 기반의 홍수취약구간 선정 기준을 정립하고, 기준에 의해 선정된 18개 수위관측소와 관련한 취약구간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홍수취약구간 관리대장을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주요 친수시설의 고도 및 좌표를 기반으로 하는 홍수위험도를 제시하였고, 이를 수위와 연계하여 홍수 발생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다. 향후 이 자료는 낙동강 홍수예보에 있어 취약구간에 대한 각 수위별 지점현황과 각 지점의 홍수위험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River Environment Flow of Donghwa Dam (동화댐의 하천유지용수 산정)

  • Kang, Seung-Mook;Kim, Sun-Joo;Kim, Phil-Sik;Shim,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11-315
    • /
    • 2012
  • 최근 환경친화적인 도시 공간 마련 또는 생태공원 및 친수환경 조성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높아지는 등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용수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물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있어 기존 수리시설물에 저장된 용수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은 부족한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는 하천유지용수의 개념을 정립하고 비교적 수량이 풍부한 대상지구의 여유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계획공급량 이외의 추가공급 가능량을 하천유지용수로 판단하여 대상지구에 활용하고 가치를 판단하는 등 용수이용률 제고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동화지구는 수변공원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수변 공원조성사업의 각 시설물에 공급할 동화댐의 추가공급 가능량은 모두 하천유지용수라 할 수 있으며, 댐에서 하천유지용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더 커질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하천유지용수 개념의 정립과 소규모 댐에서 하천유지용수를 산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의 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