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9초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의 collagenase와 TIMP-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stress and interleukin-$1{\beta}$ on collagenase and TIMP-1 expression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 김명립;배창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5-174
    • /
    • 1998
  • 교정력이 치아에 가해지면 치주인대의 재생과 치조골의 개조가 일어난다.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collagenase와 TIMP-1을 분비하여 치주조직의 교원질의 분해와 합성을 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예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가해 collagenase와 TIMP-1의 발현을 RT-PCR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4명의 10대 남자 교정환자에게서 아무런 병소가 없는 제1소구치를 발치후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4-6세대의 세포를 사용하였다. 대조군, $Petriperm dish^{\circledR}$ 바닥의 표면적을 $5\%$ 증가시킨 기계적 자극을 가한 군, interleukin-$1{\beta}$를 1.0 ng/ml를 가한 군과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같이 가한 군으로 나누어 4명의 환자에서 얻은 세포군을 각 군별로 2, 4, 8시간 후 RT-PCR을 시행하여 그 산물을 반정량하여 대조군에 대한 각 실험군의 상대적인 증감을 나타내었고, 24시간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학 현미경으로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전형적인 별모양과 길쭉한 모양을 함께 보였으나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각각 혹은 동시에 준 군들에서는 별모양의 세포가 사라지고 모양이 더욱 길어졌다. 2. collagenase는 대조군에 비해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각각 혹은 동시에 준 군들에서 증가하였고, 실험 8시간 후에서는 interleukin-$1{\beta}$를 준 군,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동시에 준 군에서 뚜렷한 증가를 보였다. 3. TIMP-1은 세포 자극 2, 4시간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각각 혹은 동시에 준 군들에서 감소하였지만, 실험 8시간 후에서는 증가를 보였다. 4.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collagenase와 TIMP-1이 대조군에 비해 기계적 자극과 interleukin-$1{\beta}$를 각각 혹은 동시에 준 군들에서 더욱 강한 염색상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결과 섬유아세포는 외부 자극이 가해지면 collagenase와 TIMP-1의 발현 조절을 통해 치주인대 재생과 치조골의 개조에 영향을 미쳐 항상성을 유지하려고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와 단백분해효소억제제의 생성 양상에 대한 연구 (MMP and TIMP production i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stimulated by Prevotella nigrescens lipopolysaccharide)

  • 양원경;이우철;김미리;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372-384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Prevotella nigrescens (P. nigrescens)의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와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TIMP)의 생성 양상과, LPS를 수산화칼슘으로 처리했을 때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P. nigrescens에서 추출, 정제한 여러 농도의 LPS와 수산화칼슘으로 처리한 LPS로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자극하여, Immunoprecipitation법으로 MMP-1, -2, TIMP-1의 단백질 생성 양상을,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법으로 MMP-1의 mRNA 발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MMP-1은 단백질과 유전자 수준 모두 자극 시간과 비례하여 증가하여 48시간에 최대값을 보였다. 2. MMP-2단백질 생성은 1, 10 mg/ml에서 자극 시간과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3. TIMP-1 단백질 생성은 24시간까지 증가하다가 48시간에 감소하였고, 0.1과 1 ${\mg}g/ml$에서 증가하였으나 10 ${\mu}g/ml$ 에서 억제되었다. 4. P. nigrescens의 LPS를 수산화칼슘으로 처리시 MMP-1의 mRNA 발현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시험관 내에서 Glycyrrhetinic acid가 배양 치은 섬유모세포와 마우스 3T3 세포의 Cyclosporin A 유도 활성 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YRRHETINIC ACID ON CYCLOSPORIN A-INDUCED CELL ACTIVITY OF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TS AND MOUSE 3T3 CELLS IN VITRO)

  • 유수경;김강주;신형식;박종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513-528
    • /
    • 1994
  • 배양한 치은섬유아세포와 3T3 세포에서, glycyrrhetinic acid가 cyclosporin A를 처리 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MTT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yclosporin A는 $1{\sim}10ng/ml$의 농도에서 인체 치은 섬유아세포와 마우스 3T3 세포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glycyrrhetinic acid는 농도와 비례하게 마우스 3T3 세포의 성장을 억제시켰다. 특히 $25{\mu}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현저하게 억제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반면, 인체 치은 섬유아세포에서는 $50{\mu}g/ml$ 이상의 농도에서 조차도 성장을 억제 시키지 않았다. 또한, 마우스 3T3와 인체 치은 섬유아세포에서 일정한 cyclosporin A 농도에 $1-100{\mu}g/ml$의 다양한 농도로 glycyrrhetinic acid를 첨가하였을 때, cyclosporin A 단독으로 처리한 세포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세포의 활성을 억제시켰으며, 특히, $100{\mu}g/ml$의 glycyrrhetinic acid를 첨가하였을 경우 세포활성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3T3 세포에 cyclosporin A와 $50{\mu}g/ml$의 glycyrrhetinic acid를 함께 처리한 경우 glycyrrhetinic acid단독처리한 군에 비하여 세포활성에 첨가 효과를 보였으며, 인체 치은 섬유아세포 에서는 같이 처리한 경우 glycyrrhetinic acid단독 처리에 비하여 뚜렷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승효과는 1ng/ml 의 cyclosporin A와 $50{\mu}g/ml$ glycyrrhetinic acid를 같이 처리한 군에서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체 치은 섬유아세포에 cyclosporin A와 glycyrrhetinic acid를 동에 처리하였을 경우 세포의 활성에 상승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