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조음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 유무에 따른 아동 발화 적률분석 비교 (Spectral moment analysis of distortion errors in alveolar fricatives in Korean children)

  • 한윤주;김도형;황자은;장대현;김재원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6권1호
    • /
    • pp.33-40
    • /
    • 2024
  •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왜곡 오류인 치간음화, 구개음화, 설측음화가 적률분석의 변인인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정조음과 보이는 음향학적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61명 아동(평균연령: 5.6±1.5세, 여아 19명, 남아 42명)을 대상으로 얻어진 조음음운평가(Assessment of Phonology & Articulation for Children, APAC; 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I, U-TAP I) 결과, 음성 중 치조 마찰음을 포함하고 있는 목표 단어에서 치조마찰음 왜곡 오류를 보인 음성과 정조음 음성을 추출하여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169개의 음성이 적률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무게중심에서 정조음이 구개음화보다 값이 높았으며, 구개음화는 치간음화보다 값이 낮았다. 치간음화의 분산이 정조음과 구개음화보다 높았다. 치간음화가 정조음보다 높은 왜도를 보였으며 구개음화의 왜도가 정조음보다 높았다. 마지막으로 구개음화의 첨도가 정조음과 치간음화보다 높았다. 각 왜곡 오류 유형에서 적률분석의 모든 변인들에 대해 조음위치(어두초성, 어중초성), 발성유형(평음, 경음)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치조 마찰음의 유형에 따라 무게중심, 분산, 왜도, 첨도에서 다른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객관적 수치는 추후 임상에서 청지각 평가를 도와 치조 마찰음 왜곡 오류의 진단과정에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어 비음(nasal sound)의 지속시간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낱말내에서 음절말과 음절초로 연속결합하는 경우와 관련하여 - (An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n the Duration of the Korean Nasal Sound - With Reference to the Successive Coupling from Syllable final to Initial in a Word -)

  • 성철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28-33
    • /
    • 2000
  • 낱말 내에서 선행음절말-후속음절초로 연이어 나타나는 일종의 쌍자음(geminate)의 지속시간 차이를 고찰하고자 한다. (ㅁ-ㅁ) 연쇄와 (ㄴ-ㄴ) 연쇄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한 낱말 내에서 선행하는 양순 비음 (ㅁ)과 이를 뒤따르는 양순 비음(ㅁ)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다고 볼 수 있으나, 선행하는 자음의 지속시간이 약간 짧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치조비음 (ㄴㄴ) 연쇄의 경우, 전반적으로, 한 낱말 내에서 선행하는 치조 비음과 이를 뒤따르는 치조 비음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선행하는 자음의 지속시간이 좀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 PDF

설소대 단축증 아동의 설소대 절개술 전 후 치조음 발음 양상의 변화

  • 고중화;안서지;신지철;최호석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9년도 제12회 학술대회
    • /
    • pp.188-188
    • /
    • 1999
  • 배경 : 흔히 설소대 단축증이 조음장애를 일으키는 원인 중의 하나라고 인식하여 왔으나 설소대 절개술 후에 설소대 단축증 환아들의 조음에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는 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목적 : 따라서 본원에서는 설소대 절개술이 필요하다고 진단된 아동들에 대한 조음장애의 정도를 알아보고, 설소대 절개술 전 후의 자음정확도를 분석하여 설소대 절개술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편측성 순구개열 환자에서 이차 골이식후 맹출된 영구 견치의 치조골 지지도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the permanent canine bone support after secondary bone graft In UCLP patients)

  • 박기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01-610
    • /
    • 2001
  • 치조골 파열을 동반한 순구개열 환자의 대부분은 영구견치 상방의 치조골 결손으로 인하여 맹출장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차적인 치조골이식을 통하여 영구견치의 맹출을 유도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순구개열 환자에서 재건된 치조골을 통하여 맹출된 영구견치의 치조골 지지도(alveolar bone support)를 정상 치조골을 통하여 맹출한 영구견치의 치조골 지지도(alveolar bone support)와 비교 평가하고 치조골 파열에 인접한 측절치의 유무 또는 치조골 이식수술시의 견치의 치근발육 정도가 수술후 견치의 치조골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편측성 구개열 환자중 장골을 이용하여 이차적인 치조골 이식 수술을 받은 2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고 치조골 이식수술 당시의 평균 연령은 9.8세 였으며 치조골 지지도 평가시의 최소 연령은 12.4세 였다. 치조골 지지도의 평가를 위하여 치근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였으며 해부학적 치근 길이에 대한 치조골로 지지된 치근단 길이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치조골 지지도로 계산하였다. 동일한 환자에 있어서 치조골 파열부위의 견치를 실험군으로 정상부위의 견치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실험군의 대조군에 대한 치조골 지지도 획득 비율을 계산하였다. 실험군 견치의 치조골 지지도($88.7\%$)와 대조군 견치의 치조골 지지도($92.9\%$)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 견치에서는 대조군 견치의 평균 $95\%$에 해당하는 치조골 지지도를 보였다. 치조골 파열 부위의 측절치의 존재여부와 치조골 이식당시의 환자의 나이 또는 영구견치의 치근 발육정토는 영구견치의 치조골 지지도에 유의할 만한 차이를 만들지는 않았다.음과 같다. 1 Alkaline phosphatase활성은 10, 100ng/m1의 IGF-I으로 처리한 군과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조절배양액을 이용한 군, IGF-I으로 처리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조절배양액을 이용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10, 100ng/ml의 IGF-I으로 처리한 치주인대 섬유모세포의 조절배양액을 이용한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 2. 100ng/m1농도의 IGF-I으로 직접 처리한 군에서 골모세포증식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3. 총단백질량은 IGF-I투여와 상관없이 대조군, 실험군 모두 유사하였다. 4. 모든 실험군에서 BMP2,4가 발현되었고,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IGF-I의 투여여부와는 상관없이 치주인대 섬유모세포가 유리하는 물질이 골모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IGF-I은 고농도일때만 유의성있게 골모세포 활성을 촉진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하여 치주인대 섬유모세포가 골모세포활성을 촉진 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8회의 회전후 파절한다. 그 다음으로 Jinsung Stainless Steel, Unitek Hi-T, Ormco Stainless Steel, Unitek Standard(50.6회) 순이었다. 0.019x0.025의 경우 Jinsung Stainless Steel이 가장 커서 83.2회의 회전에 저항하고, Unitek Resilient, Unitek Standard의 순이고 Ormco와 Unitek Hi-T가 가장 저항력이 작았다. 6. 주사전자현미경으로 본 표면은 모든 제품에서 생산과정 중에 보이는 압흔과 pitting이 관찰되는데, 진성기업의 Stainless Steel은 가늘고 긴 압흔이 있으며 비교적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골격유형에 따른 치아치조특성 (Dentoalveola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facial types of Class III Malocclusion)

  • 박성수;김현덕;이대희;김정기;전영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1호통권90호
    • /
    • pp.33-42
    • /
    • 2002
  •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두부방사선사진 분석을 통하여 수평적, 수직적 골격 형태에 따른 치아치조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전북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중 교정 치료의 경험이 없는 남자 29명, 여자 31명, 합계 60명(평균나이 :남자 19.4세, 여자 20.2세)의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III급 부정교합의 치아, 치조의 보상적 변화 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는 남녀 모두 정상교합보다 작은 IMPA를 보였다(p<0.01). 2.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남녀군 모두에서 하악골의 전후방적 위치를 나타내는 SNB 및 NtoPog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남자군에서는 SNB가 SNU1, FHU1, PalU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여자군에서는 SNU1만이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3.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남자군에서 하악골의 수직적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SNMP, FMA, PalMP와 하악전치의 전후방 경사를 나타내는 IMPA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p<0.01), SNU1, FHU1, PalU1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여자군에서는 FMA, PalMP와 IMPA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4.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군에서 high angle군에서 low angle군과 비교하여 SNU1, IMPA가 작은값을 보였다(<0.05).

멜로디 억양 치료에서 실어증 환자의 조음 명료도에 대한 호흡 훈련 효과: 초기 실험 (Effects of breathing training in melodic intonation therapy on articulation intelligibility of aphasics: pilot study)

  • 김선식;홍금나;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9-329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브로카 실어증 환자에 대한 멜로디 억양 치료(Melodic Intonation Therapy, MIT)에서 호흡훈련이 조음 명료도를 개선하는지를 평가했다. 실험군은 MIT에 선행하는 2단계 호흡 훈련을 받도록 했다. 중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실험자의 폐쇄음의 폐쇄 길이(VOT), 단어 전체의 발화 길이(TD), 음성 강도 및 호기량을 중재 전과 후에 측정하여 비교 했다. 실험 결과 폐쇄음의 폐쇄 길이 및 단어 전체의 발화 길이는 양순음/p/, 치조음/t/, 연구개음/k/에서 증가했으나(p < 0.05) 파찰음/c/와 마찰음/s/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반면 대조군에서는 폐쇄음의 폐쇄 길이 및 단어 전체의 발화 길이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조음 명료도에 영향을 주는 호기량과 음성 강도는 실험군에서 증가했으나(p < 0.01)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MIT에서 호흡 훈련은 환자의 조음 명료도를 개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이 산출한 치조마찰음 /ㅅ/에 대한 청지각적·음향학적 연구 (A perceptual and acoustical study of /ㅅ/ in children's speech)

  • 김지연;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1-48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lveolar fricatives of normal children. Developing children aged 3 and 7, typically produced 2 types of nonsense syllables containing alveolar fricative /sV/ and /VsV/ sequences where V was any one of three corner vowels (/i, a, and u/). Stimuli containing the speech materials used in a production experiment were presented randomly to 12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for a perception test. The SLPs responded by selecting one of seven alternative sounds. Acoustic measures such as duration of frication noise, normalized intensity, skewness, and center of gravity were examin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oustic measures when comparing vowels. Comparison of syllable structures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uration of frication noise and normalized intensity. Acoustic parameters could account for the perceptual data. Relating the acoustic and perception data by means of logistic regression suggests that duration of frication noise and normalized intensity are the primary cues to perceiving Korean fricatives.

4세 설소대 단축증 아동과 정상 아동의 혀의 최대 신장 길이 및 혀의 운동성에 따른 치조음 발음 양상의 비교 (Comparisons of Lingual Function and Alveolar Sounds in 4-Year-Old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Ankyloglossia)

  • 최재남;김영호;심현섭;최홍식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5-152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 current study aimed to 1) compare of Lingual function and alveolar sounds between 4-year-old Korean children with and without ankyloglossia, 2)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① maximum lingual length-protrusion(MLL-P) and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s(PCC) focused on alveolar sounds, ② lingual movement and PCC focused on alveolar sounds, ③ MLL-P and lingual movement. Materials and Method : Twenty-two 4-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as subjects in the study: a control group of 11 normal children and an experimental group of 11 children who were previously diagnosed as having ankyloglossia. They were measured for lingual function (lingual length, lingual movement) and the performances of speech articulation. Results : Children with ankyloglossia displayed significantly shorter MLL-P than 4 year normal children.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worse lingual movement, lower PCC in Picture consonants test, and lower PCC of alveolar sounds than control group. Ther was significantly high correlation between MLL-P and lingual movement of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 This paper describes clinical measure and functional aspects of the tongue. Such baseline analysis provides a more definitive appraisal of lingual function as well as a more objective basi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nkyloglossia.

  • PDF

설소대 단축증 아동의 설소대 절개술 전 후 치조음 발음 양상의 변화 (Effect of Frenulotomy in Tongue-Tie : Focused on Alveolar Sounds)

  • 안서지;양해동;김병철;신지철;고중화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11
    • /
    • 2000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ongue-tie, or partial ankyloglossia, is manifested by an abnormally short and thick lingual frenulum. Degree of tongue-tie varies from the mild to the rare, severe and its treatment of choice is frenulotomy. Theoretically tongue-tie can affect expression of alveolar s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articulation problem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frenulotomy itself on alveolar sounds in tongue-ti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Prospectively, the authors perform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speech evaluation using picture consonants test for tongue-tie patients.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PCC), mean value of each alveolar phoneme depends on articulation site were evaluated. for exclusion of other articulatory improving factors except of frenulotomy itself, postoperative picture consonants test was performed 1 month after surgery. Results : Preoperative speech evaluation was performed to 37(male 21, female 16) patients and postoperative speech evaluation was performed to 17(male 9, female 8) patients, the other 20 patients were follow-up loss. Low PCC was observed in tongue-tie patients and PCC of female was higher an at of male in 2-4 years old patients. Overall PCC was improved after frenulotomy. Preoperative mean value of liquids and fricatives was lower than the other alveolar phonemes(p<0.05) and it was improved postoperatively(p<0.05). Conclusion : Frenulotomy itself can improve the articulation of liquids and fricatives on short follow-up. Speech therapy would be needful for improvement of the other alveolar phonemes.

  • PDF

구개상의 두께에 따른 한국어 자음의 발음 변화에 관한 컴퓨터 분석 - 치조음, 경구개음- (A COMPUTER ANALYSIS ON THE KOREAN CONSONANT SOUND DISTORTION IN RELATION TO THE PALATAL PLATE THICKNESS -Dentoalveolar and hard palatal consonant-)

  • 우이형;최대균;최부병;박남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94
    • /
    • 198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und distortion following the alternation of the palatal plate thickness. For this study, 2 healthy male subjects (24-year-old) were selected. Born in Seoul, they both spoke Seoul dialect. First, their sounds of /na(나)/, /da(다)/, /1a(라)/, /ja(자)/, /cha(차)/, /ta(타)/, without inserting plates were recorded, and then the sounds with palatal plates of different thickness were recorded, successively. The plate was fabricated in 3 types, each palatal thickness being 1.0mm, 2.5mm, dentoalveolar portion 2.5mm, other residual portion was 1.0mm, successively. Each type plates named B, C, D-type, in succession. Series of analysis were administered through Computer(16 bit) to analyze the sound distortions. These experiments were analyzed by the LPC (without weighting, pre-weighting, post-weighting) of the consonants, vowels portion, formant frequency of the vowels and word duration of the consonants.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re was no correlation of the distortion rate on the 2 informants. 2. Generally, vowels were not affected by the palatal plate thickness in the formant analysis, however, more distortion was detected in the LPC analysis, especially C, D-type plates. 3. Consonants distortion was more evident in the C, D-type plate. 4. The second formant was most disturbed and reduced in the all consonants with insertion of the palatal plate, especially C, D-type plate. 5. Word duration was shortened in the plate inserted(except /ja/, /cha/), especially C, D-type. 6. It was found that dentoalveolar, hard palatal sounds were severely distorted in plate inserted, and they were mainly affected by the dentoalveolar portion thickness. 7.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palatal thickness and consonants qua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