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은 열구액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Interrelationship of Matrix Metalloproteinase and $TNF-{\alpha}$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을 가진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와 $TNF-{\alpha}$ 의 발현 양상 비교)

  • Kim, Doe-Heun;Park, Eei-Kyun;Shin, Hong-In;Cho, Je-Yeol;Suh, Jo-Young;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6 no.2
    • /
    • pp.409-425
    • /
    • 2006
  • 치주질환의 병원균은 세포벽의 항원에 의하여 조직내 존재하는 mononuclear phagocytes가 활성화되어 cytokine들이 생성됨 으로써 치주 결체조직의 파괴를 진행시킨다. 이런 관련된 cytokine들은 순차적으로 상주하는 치은세포 및 대식세포가 Matrix metalloproteinase 합성을 하도록 유도하여 조직파괴를 시작한다. 이들 Matrix metalloproteinase중 MMP-2, MMP-9 (Gelatinase A,B)는 type IV collagen 및 변성된 interstitial collagen을 파괴하며 치주환자의 치은 열구액, 치은조직, 타액 네에서 높게 보고 되어왔다. 당뇨병은 치주질환의 위험요소중 하나로 달뇨 환자에서는 치주질환의 유병율이 일반인에 비해 높고 치주질환의 중증도도 더 심하여 진행도 빠르다고 알려져 있다. 그 병리 기전 중 하나로는 당뇨 환자에서는 치은 열구액 내 중성구 유래의 Matrix metalloproteinase의 활성 증가 및$TNF-{\alpha}$ 의 활성 증가가 추정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에서 만성 치주염 부위의 치은 및 건강한 치은에서 염증매개체 중 하나인 MMP-2, MMP-9 및 $TNF-{\alpha}$ 의 발현에 대해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서 염증, 혈당이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제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심한 치주조직 파괴의 기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경북대학교병원 치주과 내원환자 중 제2형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 환자들 및 치주질환이 없는 건강인 대조군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환자요소, 임상 치주상태를 기록하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건강한 부위(n=8,Group 1),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으 만성 치주염 부위(n=8, Group 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n=8,Group 3)에서 각각 변연치은을 채득하고 액화질소에 급속 동결하였다.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각 조직 내 MMP-2, MMP-9 및 $TNF-{\alpha}$ 의 발현을 관찰,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상대적 발현을 정량, 각 조직의${\beta}-actin$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여 실험군과 대조군들의 평균치를 비교하였다. 비당뇨 환자들의 만성 치주염 부위 및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모두 건강 대조군에 비해 MMP-2와 MMP-9 의 발현이 증가되었다. 또한 MMP-2와 MMP-9는 2형 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가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보다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였으며, $TNF-{\alpha}$ 발현 비교시 각 군간 유의성 있는 변화는 없었으나 2형 당뇨환자군에서 MMP-2 및 MMP-9의 증가와 함께 다소 증가 양상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MMP-2 및 MMP-9의 증가가 만성 치주염 및 2형 당뇨 환자에서의 만성치주염에서 비당뇨환자 보다 MMP-2, MMP-9의 증가양상을 보여 주었으며 $TNF-{\alpha}$ 가 2형 당뇨환자의 만성치주염 진행과정에 기여인자로써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Influence of Menstrual Cycle on Inflammatory Marker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 : Pilot Study (월경주기에 따른 치은열구액 내 염증지표의 변화: 예비 연구)

  • Park, Hoo-Seob;Hwang, Soo-Jeong;Cho, Min-Jeong;Kim, Do-Kyoung;Yang, Seon-Youn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2 no.1
    • /
    • pp.71-77
    • /
    • 2012
  • Sex Hormones exert significant influence in body physiology throughout life. Some reports suggested increased sex hormone levels correlate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gingivitis. The objectives of this pilot study are to(1) address the link between menstrual cycle and MMP-9, MMP-8, IL-$1{\beta}$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during 4 weeks and (2) discuss the major biomarker of periodontal status. 7 female and 3 male volunteer who didn't have smoking habit, medical and dental disease after informed consent, were seen twice a week for 4 weeks. GCF samples were collected and GCF levels of MMP-9, MMP-8, IL-$1{\beta}$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e GCF levels of MMP-9, MMP-8, IL-$1{\beta}$ had fluctuation according to menstrual cycle, but the changes of those were not significant by Friedman matched samples tes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subjects by Mann-Whitney U test. The correlation of MMP-8, MMP-9 and IL-$1{\beta}$ showed strong by Spearman correlation(0.644-0.945). This study confirms menstrual cycle doesn't influence the periodontium of healthy female subjects.

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Daejeon after 30 months (대전 양치교실사업 30개월 경과시점의 구강병 예방효과)

  • Park, Hoo-Seob;Nam, Hae-Sung;Choi, Yu-Kyoung;Song, Eun-Joo;Hwang, Soo-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1 no.2
    • /
    • pp.91-97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on the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SBTBP) in Daejeon in 30 months. The experimental subjects were the 5th grade's 70 students who have gone to school with the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since the 3th-grade. The control school was located in close geographical area with similar economical status. The questionnaire about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was done by self-recording. After one dentist examined th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status,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was collected with #25 paperpoint for 1 miniutes. Matrix Metalloproteinase(MMP)-9 in GCF was analyzed by ELISA. The SBTBP group had the upper oral health knowledge than the control significantly(p<0.001), but, the SBTBP group had no difference of the oral health behavior from the control. Although the SBTBP group had the lower plaque index than the control significantly(p=0.02), the SBTBP group had no difference of the gingival index, calculus index and the concentration of MMP-9 in GCF from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SBTBP had the effect to reduce the dental plaque and to improve the oral health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of SBTBP was not clear.

Matrix metalloproteinases and Tissue inhibitors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gingival crevicular fluids of periodontitis patients (치주염 환자의 치은열구액에서 MMPs와 TIMPs의 양의 변화)

  • Lee, Sun-Yun;Jung, Yeoun-Ho;Kim, Kyoung-Hwa;Yang, Byung-Keun;Han, Soo-Boo;Chung, Chong-Pyoung;Kim, Tae-Il;Ku, Young;Lee, Yong-Moo;Ko, Jae-Seung;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4 no.1
    • /
    • pp.139-148
    • /
    • 2004
  •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는 치주질환에서 주된 조직파괴단백분해효소인 것은 알려져 있고 TIMPs(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는 MMPs의 작용을 억제한다라고 알려져 있다. 이 둘간의 불균형으로 인해서 조직파괴가 더 가속화될 수 있다. 이 두 연구의 목적은 ELISA kit를 사용하여 특정 MMPs(1,2,3,8,9,13)과 TIMPs(1,2)의 양이 건강한 환자와 비교하여서 치주염 환자에서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MMPs(1,2,3,8,9,13), TIMPs(1,2)와 치은열구깊이와 GI score와의 관계를 알아보기로 한다. 8명의 만성 치주염 환자와 4명의 급속진행형 치주염 환자가 실험군으로 참여하였고 5명의 건강한 치주조직을 환자가 대조군으로 참여하였다. 임상적인 측정은 GI score와 치주낭측정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8명의 만성 치주염을 가진 환자와 4명의 급속진행형 치주염을 가진 환자에서 각각 치주낭 깊이가 3mm이하인 부위에서 6개의 치은열구액 표본과 치주낭 깊이가 6mm 이상인 곳에서 6개의 치은열구액 표본을 채취하였다.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5명의 환자는 단지 치주낭깊이가 3mm 이하인 건강한 부위에서만 치은열구액 표본을 제공하였다. MMPs(1,2,3,8,9,13)과 MIMPs(1,2)의 측정은 Human Biotrack ELISA kit를 사용하여서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는 MMPs, MIMPs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는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하였고 MMPs, TIMPs와 치주낭 깊이와 GI score의 관계정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치주낭 깊이가 6mm 이상인 부위에서 MMP9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높았으며(p=0.04) MIMP2의 수치가 대조군과 비교하여 치주낭 깊이가 3mm 이하인 부위를 가진 만성치주염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하게 높았다(=0.049). MMPs(1,2,3,8,9,13), MIMPs(1,2)의 활동성과 치주낭 깊이의 관계에서 둘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관계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MMP1(r=0.35)과 MMP2(r=0.31)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를 보였다. 또한 MMPs(1,2,3,8,9,13), MIMPs(1,2)의 활동성과 GI score의 관계에서도 둘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할만한 관계는 존재하지 않으나 MMP1(r=0.4), MMP2(r=0.29), MMP9(r=0.26)가 상대적으로 높은 관계를 보였다. 이 실험의 결과로 볼 때 MMP9가 만성치주염 환자의 질환이 있는 부위에서만 염증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MIMP2가 만성치주염 환자의 염증이 없는 부위에서 높은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서 MIMP2가 MMPs에 대한 억제작용을 하여서 염증의 진행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라고 볼 수 있다.

Effects of Magnoliae Cortex and Zizyphi Fructus Extract Mixtures on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odontitis in Beagle Dogs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이 치주질환유발 성견의 치주질환억제에 미치는 효과)

  • Shin, Seung-Yun;Lee, Yong-Moo;Ku, Young;Rhyu, In-Chul;Han, Soo-Boo;Choi, Sang-Mook;Bae, Ki-Hwan;Chung, Chong-Pyo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9 no.2
    • /
    • pp.289-297
    • /
    • 1999
  • 최근 생약 추출물의 항균, 항염효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들이진행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험관 실험을 통하여 이미 밝혀진 후박 및 대조추출물의 치주질환 원인 균에 대한 항균, 항염효과를 성견에서 인위적으로 치주질환을 일으킨 후 실험 약제의 경구투여를 통하여 질환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동물은 생후 18개월된 비글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상악은 제2,3 소구치 및 제4소구치에 하악은 제2, 3, 4 소구치 및 제1 대구치를 실험대상 치아로 하였으며 교정용 철사와 봉합사를 이용하여 치경부주위에 결찰하여 인위적 치주질환을 일으켰다. 염증 유발 8주 후에 결찰을 풀고 실험동물을 아무 것도 투여하지 않은 군(음성대조군, 3마리),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 투여군(실험군, 3마리)으로 나누었다. 실험 시작 (-8주), 약제 투여 시작(0주), 투여 후 2, 4, 6, 8주째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Florida Probe를 이용한 치주낭깊이 및 치은열구액 등의 임상지수를 측정하였다. 염증유발 8주동안에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은 급속히 증가하였다. 결찰은 제거하고, 약제를 투여한 이후 실험군에서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실험군에서는 8주가 될때까지 임상지수 수치가 낮아지고 있었으며, 8주째에는 대부분의 지수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양성대조군에서 비해서 실험군은 대부분의 경우에 임상지수가 나이지고 있었지만 6주 또는 8주째의 치은지수, 치주낭깊이 중 일부만을 제외하고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 연구결과 후박 및 대조 추출혼합물이 in vitro뿐만 아니라 in vivo 상태에서도 치주염의 치료 및 골재생의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동물실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시험을 거쳐 향후 사람에게 유용한 치주염치료제로 개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Interleukin-$1\beta$ levels in human gingiva1 crevicular fluid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교정적 치아 이동 중 치은열구액의 Interleukin-$1\beta$의 발현)

  • Kim, In-Sook;Park, Young-Guk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0 no.4 s.81
    • /
    • pp.423-431
    • /
    • 2000
  • Bone remodeling is a complex process regulated by various mediators. Cytokine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mechanically induced response in orthodontic tooth movement. In particular, IL-$1\beta$ stimulates bone resorption and induces osteoclast prolif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quantify IL-$1\beta$ in human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an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its level dur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Twelve patients(mean age of 19.2 years) were used as the subjects. An upper canine of each patient haying treatment lot distal movements served as the experimental tooth, whereas the contralateral was used as the control. The GCF of compression and tension side of the experimental teeth and the GCF of mesial side of control teeth was taken from the each subject immediately before activation, and at 1, 24, and 168 hr after initiation tooth movement. IL-$1\beta$ amount was detected by ELISA. The concentration of IL-$1\beta$ was higher in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treatment. Its level was elevated after initiation of tooth movement and it was the highest level at 24 hr in compression side of experimental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hange in IL-$1\beta$ level in GCF is associated with orthodontic tooth movement.

  • PDF

The comparison of 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in gingival tissues from human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with and without type 2 diabetes mellitus (단순 만성 치주염 환자 및 2형 당뇨병환자의 만성 치주염 치은조직에서 염증성 매개인자의 발현 양상 비교)

  • Joo, Sang-Don;Lee, Jae-M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sup2
    • /
    • pp.353-369
    • /
    • 2007
  • Gingival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during periodontal surgery or tooth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 clinical criteria of gingiva, each gingival sample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n=8) is clinically healthy gingiva without bleeding and no evidence of bone resorption or periodontal pockets, obtained from systemically healthy 8 patients. Group 2 (n=8) is inflamed gingiva from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Group 3 (n=8) is inflamed gingiva from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and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The quantification of $IL-1{\beta}$, MMP-13 and TIMP-1 were performed using a densitometer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 test. 1. The expressions of MMP-13 and TIMP-1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2 & 3 compared to group 1. 2. The expressions of $IL-1{\beta}$ & MMP-13 were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2. 3. As $IL-1{\beta}$ levels were increasing, MMP-13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and although $IL-1{\beta}$ , MMP-13 levels were increasing, TIMP-1 levels were similar expressed comparing to group 2.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3 and TIMP-1 had increasing tendency in inflamed tissue. It can be assumed that $IL-1{\beta}$ and MMP-13 may be partly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periodontal inflammation associated to type 2 DM.

GCF concentration an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of cefuroxime axetil against periodontopathogens (Cefuroxime axetil의 치주병원성 세균에 대한 최소억제농도와 치은열구액 농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Jang, Hyun-Seon;Kim, Jae-Duk;Kook, Joong-Ki;Kim, Hwa-Sook;You, So-Young;Kim, Mi-Kwang;Kim, Byung-Oc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3 no.3
    • /
    • pp.341-34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cefuroxime axetil, semisynthetic cefalosporin, for some putative periodotopathogens; F. nucleatum, A. actinomycetemcomitans P. intermedia and P. gingival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cefuroxime axetil, several antibiotics, amoxicillin, metronidazole, and ciprofoxacine, were used as control. The MIC was measured by Murray' s method. The MIC of cefuroxime axetil against some putative microbes, as a single use regimen, was relatively high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other antibiotics used in this study. The MIC of cefuroxime axetil/metronidazole against some putative microbes, as a simultaneous regimen, was similar to that of the other antibiotics used in this study. The manimal level of cefuroxime concentration in gingival fluid was 9${\mu}$/ml at 36hr after the first dose. In conclusion, within the limited experiment, metronidazole/ cefuroxime axetil therapy of periodontitis may provide a therapeutic benefits in reducing the periodontopathogens.

Mechanism by which periodontitis may contribute to atherosclerosis (치주염이 동맥경화에 기여하는 기전에 관한 연구)

  • Han, Seung-Hee;Kim, Kyung-Hwa;Yang, Seung-Min;Chung, Hyun-Ju;Choi, Yoon-Sik;Han, Soo-Boo;Chung, Chong-Pyoung;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2 no.4
    • /
    • pp.837-846
    • /
    • 2002
  • 그람 음성균의 감염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인 치주염이 동맥경화를 동반한 허혈성 심장질환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그 기전에 관해서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작용기전의 하나로서, 치주염에 의해 치주조직에서 국소적으로 생긴 염증성 싸이토카인(IL-1${\beta}$, IL-6, $PGE_2$, TNF-${\alpha}$)이 혈행을 따라 이동하여 심혈관에서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가설이 제시되고 있는데, 이 가설을 검증해 보고자 한다. 서울대학교 병원 순환기 내과에 불안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으로 입원한 환자 및 과거 이 질환의 병력을 갖고 있거나 검진 목적으로 내원하여 관상동맥 조형술을 받은 환자들 중 동맥경화로 진단받은 사람을 실험군(24명)으로 하고, 동맥경화로 진단받지 않은 사람을 대조군(12명)으로 하였다. 치주질환의 활성도를 나타내는 치은 지수, 치태 지수, 치주낭 깊이, 부착 상실을 측정하였다. Paper strip을 실험대상 치아(Ramfjord's teeth)들 중에서 가장 깊은 치주낭을 가진 두 개의 치아를 택하여 각 치아의 가장 깊은 치주낭에 30초간 삽입한 후 밀폐된 plastic tube에 넣고 ELISA kit를 이용하여 IL-1${\beta}$, IL-6, TNF-${\alpha}$, $PGE_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plasma에서도 동일한 싸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동맥경화의 위험 인자로 간주되어온 고혈압, 당뇨, 가족력, 심근경색이나 협심증의 기왕력, 흡연의 유무를 기록하였다. 혈액검사를 하여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WBC, CRP (C-reactive protein)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치주조직에 대한 임상 검사 결과 치은의 염증상태를 나타나는 지표인 치은 지수에서만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할 정도 (p=0.0174)로 높게 나타났고, 만성적인 염증의 결과로 인한 치조골의 사실 정도를 나타내는 치주낭 깊이나 부착 상실에서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치주낭에서 측정한 염증성 싸이토카인 중 IL-1${\beta}$, $PGE_2$가 실험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 (p=0.005, 0.022)를 보이며, 더 높은 농도로 나타났고, TNF-${\alpha}$는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게 (p=0.009)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plasma의 싸이토카인이나, serum lipid/lipoprotein, C-reactive Protein, WBC는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치은열구액내의 싸이토카인과 이에 상흥하는 싸이토카인 간에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치은열구액내의 IL-1${\beta}$와 TNF-${\alpha}$ 만이 동맥경화와 유의성 있는 관련성을 보였고, 특히 IL-1${\beta}$와 교차비는 273으로 상당한 관련성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치주조직에서 국소적으로 생긴 염증성 싸이토카인이 그대로 혈행으로 이동하여 혈장내의 싸이토카인 농도를 높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치주염으로 인해 치은열구내액내에 국소적으로 증가된 염증성 싸이토카인은 동맥경화와 상당한 관련성을 가진다.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Cavity and the Stomach of Helicobacter pylori (구강과 위내 Helicobacter pylori의 상호관련성)

  • Kang, Seung-Woo;Ryu, Ji-Won;Yoon, Chang-Lyuk;Ahn, Jong-M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5 no.2
    • /
    • pp.101-110
    • /
    • 2010
  • Helicobacter pylori(H. pylori) is bacterial infection, with more than half of the world population infected and oral cavity is considered second reservoir of H. pylori in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ole of oral cavity in H. pylori infection by comparison of the mode H. pylori infection in oral cavity and stomach. We recruited 100 subjects without systemic disease including gastrointestinal disease. Samples in oral cavity taken on gingival sulcus fluid(GSF) of lower left central incisor and 1st molar, area of buccal mucosa, dorsum of the tongue, palatal and saliva. We analyzed by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for oral infection and Urea Breath Test(UBT) for gastric inf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mong these 100 subjects, 36(36%) were positive by Nested PCR and 33(33%) were positive by UBT(p>0.05). 2. In detection rate of H. pylori in sites taken sample, 11(11%), 8(8%), 9(9%), 3(3%), 9(9%), 7(7%) were positive on GSF of lower left central incisor and 1st molar, area of buccal mucosa, dorsum of the tongue, palatal and saliva, respectively. Sta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samples of GSF of lower left central incisor and area of dorsum of the tongue(p<0.05). 3. In comparison of the mode of H. pylori infection in oral cavity and stomach by analytic method, positive in oral cavity and stomach was 10(10%), negative in oral cavity and positive in stomach was 23(23%), positive in oral cavity and negative in stomach was 26(26%) and negative in oral cavity and stomach was 41(41%)(p>0.05). Conclusively, we can guess that oral H. pylori is not associated with gastric H. pylori infection and normal flo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