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수 조직

Search Result 22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role of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in human pulpal inflammation (성인 치수염에서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작용에 관한 연구)

  • Park, Han-So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5
    • /
    • pp.515-520
    • /
    • 2002
  • 연구목적 : Cytokine은 유해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으로서의 염증반응에서 숙주세포 상호간의 작용을 매개해 주는 역할을 하며, 치수조직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된 바 있다.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은 염증의 초기에 작용하는 cytokine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역할과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치수염이 있는 치아에서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정상 치수와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치수염에서의 작용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 총 60개의 성인 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수염으로 진단된 치아들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정상 치수를 가진 치아들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발치한 치아에서 치수조직을 적출하였다. ELISA를 사용하여 적출된 치수조직 내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rank sum 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서는 발치된 치아에서 치수조직을 적출하여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시행한 후 관찰하였다. 결과 : 1. Interleukin-6의 농도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Interleukin-10의 농도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3. 조직학적 관찰 결과 실험군에서 림프구의 침윤과 부분적인 조직의 괴사 등 염증반응의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Culturing the Human Dental Pulp cells in the Collagen Matrix and on the ground tooth surface (콜라젠 기질(COLLAGEN MATRIX)과 마모된 치아표면에서의 치수세포 배양에 관한 연구)

  • Park, Sang-Hyuk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8 no.5
    • /
    • pp.419-42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원래의 치수조직과 유사한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pulp tissue engineering의 한 방법으로 건전한 조직으로부터 배양된 치수세포와 쥐의 조섬유세포(NIH 3T3 cell)를 Rat tail type I collagen solution에서 3차원적으로 관찰하기 위한 것으로, 콜라젠 젤의 수축량과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였으며, 또한 마모된 사람치아의 표면과 배양용기에서 두 세포의 증식 량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콜라젠 젤에 NIH 3T3 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최소였으나, 치수세포를 배양한 경우 그 수축량은 현저하였다. 2. 서로 다른 수의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배양시킨 경우 세포 수가 많을수록 수축량이 증가하였으며, 세포가 없는 콜라젠 젤은 수축하지 않았다. 3. 치수세포를 콜라젠 젤에서 18일간 배양시킨 후 세포의 증식은 거의 없는 반면, NIH 3T3 세포는 계속 증식하였다. 4. 마모된 사람 치아 표면과 배양 용기에서 치수세포와 NIH 3T3세포를 배양한 경우 NIH 3T3세포가 치수세포에 비해 빠르게 증식 하였으며 , 특히 사람 치아의 표면에서 NIH 3T3세포가 현저히 빠른 증식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치수세포를 type I collagen gel에서 3차원 적으로 배양 후 치수조직의 재생을 유도하는 pulp tissue engineering에 관한 연구에 발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Interleukin-6 and Interleukin-10 in experimentally induced rat Pulpal inflammation (실험적으로 유도된 백서의 치수염에서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농도와 분포에 관한 연구)

  • Chang, Seok-Woo;Baek, Seung-Ho;Kim, Chul-Ho;Lim, Sung-Sa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7 no.3
    • /
    • pp.232-238
    • /
    • 2002
  • 연구목적 : Cytokine은 유해 미생물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으로서의 염증반응에서 숙주세포 상호간의 작용을 매개해 주는 역할을 하며, 인간의 치수조직에서도 그 존재가 확인된 바 있다.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은 염증의 초기에 작용하는 cytokine으로 알려져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역할과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치수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Prevotella nigrescens를 이용하여 백서의 치수염을 유도한 후 시간의 변화에 따른 Interleukin-6, Interleukin-10의 농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들의 치수염에서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실험적으로 치수의 염증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치수염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Prevotella nigrescens를 이용하였다. 실험동물의 하악절치의 incisal tip부분을 절단한 후(n=120), 치수강을 개방시켰다. 실험군에서는 Prevotella nigrescens를 멸균된 면구에 묻혀서 개방된 치수강 내에 접종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균을 접종하지 않고 멸균된 면구만을 개방된 치수강 내에 위치시켰다. 그 후 1, 2, 5일이 경과되었을 때 실험에 사용된 치아를 발치하여, 치수조직을 적출하였다. Amersham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적출된 치수조직내의 Interleukin-6와 Interleukin-10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rank sum 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서는 발치된 치아를 nitric acid를 사용하여 탈회시킨 후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을 시행한 후 관찰하였다. 결과 : 1) Interleukin-6의 농도는 균접종 후 1일, 2일, 5일 모두에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균접종 1일째의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2) Interleukin-10의 농도는 균접종 후 1일, 2일, 5일 모두에서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균접종 1일째의 결과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Interleukin-10/1nterleukin-6 ratio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1일보다 2일째의 결과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으며 대조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P<0.05). 4)조직학적 관찰결과 균접종 후 2일째의 조직표본에서는 림프구의 침윤과 부분적인 조직의 괴사 등 염증반응의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균접종 5일째의 조직표본에서는 염증의 정도가 감소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상가를 위한 특집 2 - 유치 및 미성숙 영구치 치수치료의 최신경향

  • Park, Jae-Hong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47 no.11
    • /
    • pp.728-735
    • /
    • 2009
  • 최근 10여 년 동안 치수치료 분야는 새로운 재료와 약제의 개발 뿐 아니라 새로운 치료개념이 도입되어, 지속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07년 11월에는 미국 소아치과학회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와 미국 근관치료학회 (American Association of Endodontists)가 공동 심포지움을 열어, 유치와 미성숙 영구치 치수치료분야에서 증거-바탕 임상 (evidence-based practice)의 구현을 위한 획기적인 공동의 노력이 있었다. 또한 치수치료 분야에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의 개념이 적용되어 치수조직의 재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원고에서는 유치 및 미성숙 영구치의 치수치료에서 개념에 변화가 있는 분야를 정리해 보고 새로운 술식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 PDF

Detection of Matrix Metanoproteinase -1, -2, -3 in pulpal and periapical pathosis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1, -2, -3의 분포에 관한 연구)

  • Su-Jung Shin;Seung-Ho Baek;Sung-Sam Lim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26 no.3
    • /
    • pp.191-199
    • /
    • 2001
  • 목적 -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는 조직의 염증 및 치유과정에서 숙주세포에서 생성, 분비되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분해에 작용한다. 다양한 염증반응에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치수 및 치근단 질환에서의 그 역할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염증이 있는 사람의 치수 및 치근단 조직을 채취하여 Enzymeimmunoassay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통해 제1형, 2형, 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수준 및 그 분포를 측정하여 치수 및 치근단 병소에서 이 효소의 작용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연구재료는 근관치료를 위해 서울대학교 병원 치과 진료부 보존과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34개의 치아에서 통상의 근관치료 중 발수한 치수조직과 치근단 수술중 얻은 치근단 병소(n=10)를 이용하였다. 치수는 발수 전에 임상진단을 통해 급성 치수염(n=12), 만성 치수염(n=12), 정상 치수(n=10)로 구분하고 정상치수로 진단된 것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채취된 표본은 둘로 나누어 절반은 30분 이내에 5$\mu\textrm{m}$ 두께로 동결절단을 시행하여 조직표본을 제작하였고 deep freezer에 보관하였다가 헤마톡실린-에오신 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시행하였다. 나머지 조직은 ELISA를 위해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ELISA를 시행하기전 표본의 단백질 정량을 시행하여 모든 표본의 단백질 양을 50mg/$\mu\textrm{l}$로 일치시키고 Amersham사의 ELISA kit를 사용하여 제1형, 2형, 3형의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양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Mann-Whitney U test를 사용하여 각 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 ELISA의 결과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급성치수염군의 제1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농도가 다른 실험군보다 유의성있게 높았다(p<.05). 2. 제2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과 대조군에서만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다(p<.05). 3.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급성치수염군에서 대조군이나 만성치수염군보다 유의성 있는 높은 수치를 보였다(p<.05). 4. 면역조직화학검색 결과 염증성 치수에 존재하는 급성 및 만성염증세포 주위로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에 대한 면역 반응이 존재하였으며 주로 제1형과 제3형 기질금속단백분해효소의 경우 대식세포 및 림파구 주위로 강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5. 치근단병소의 면역조직화학적 검색 결과 만성염증 세포 주변으로 미약한 발색제의 침윤양상이 관찰되었다.

  • PDF

PULP TISSUE REGENERATION AND ROOT FORMATION OF PERMANENT TEETH WITH PULPAL/PERIAPICAL DISEASES (치수/치근단 질환에 이환된 영구치의 치수 조직 재생과 치근 형성)

  • Yoo, Yeon-Jee;Baek, Seung-Ho;Son, Ho-Hyu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5 no.4
    • /
    • pp.238-245
    • /
    • 2010
  • Numerous cases about additional growth of roots or pulp tissue regeneration by using various intracanal medicaments in immature permanent teeth with periapical or pulpal disease have been reported. The underlying mechanism has not been clearly delineated, but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un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and stem cells are involved. Moreover, the growth and deposition of osteoid or cementoid tissues have been observed in regenerated pulp and roots. This new and non-invasive treatment has brightened the future of endodontics, and enlarged the vision of regenerative root canal treatment with multi-potent stem cells and various tissue engineering techniques.

Interleukin-8 and MCP(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expression by the Human Dental Pulps in cultures stimulated with Substance P (사람치수에서 Interleukin-8과 Monocyte chernoattractant protein-1의 분비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에 관한 연구)

  • Shin, Han-Ju;Park, Sang-Hyuk;Choi, Gi-W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0 no.3
    • /
    • pp.193-203
    • /
    • 2005
  • The induction of the IL-8 and MCP-1 by the stimulation of Substance P and TNF-${\alpha}$ (IL-8 agonist) and the specificity for SP using Spantide (SP antagonist) in the dental pulp tissues was measured quantitatively. In addition, the secretion of the IL-8 in the human dental pulp tissue 36 hrs after the stimulation of SP was observed after the stimulation of SP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the significant IL-8 induction at 36 h after SP (10$^{-4}$M) stimulation of the pulp tissue comparing with the unstimulated dental pulp tissues (p < 0.05) . IL-8 irnmunostaining was weakly detec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ulp tissue after Mock stimulation and IL-8 immunostaining was detected around the fibroblast in the pulp tissue 36h After SP (10$^{-4}$M) stimulation, 2. The secretion of MCP-1 from the dental pulp tissues comparing with Mock stimulation was induced at 36 hrs after TNF-$\alpha$ (40 ng/ml) stimulation, but no induction with SP(10$^{-4}$M) TNF-${\alpha}$ (40 ng/ml) did not induce the IL-8 secretion from the pulp tissue, weak IL-8 imrnunostaining was detec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pulp tissue 3. Spantide (10$^{-5}$M) inhibited IL-8 induction from the pulp tissues 36 h after SP (10$^{-4}$M) stim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P significantly induces IL-8 recruiting neutrophils in localized human dental pulp tissue MCP-1 appears to be less involved in the early establishment of pulpal inflammation in response to irritation such as mechanical insult of dentin. SP may have positive relation with the inflammation of the human dental pulp tissues.

A HISTOPATHOLOGIC STUDY ON THE PULPAL RESPONSE IN DOGS AFTER PULPOTOMY WITH FERRIC SULFATE (Ferric sulfate를 이용한 치수절단술 후 성견 치수의 조직반응에 관한 연구)

  • Lee, Chang-Seop;Im, Chul-Seung;Park, Joo-Chul;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27 no.2
    • /
    • pp.333-34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ferric sulfate and formocresol as pulp dressing agents in pulpotomized teeth of dogs. 40 teeth of 5 dogs, weighting 10kg. were used in this stud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t the intervals of 3, 7, 14, 28 and 56 days for histopathologic evaluation. The specimens were observed by the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flammatory response was observed in both groups, but pulp tissue of ferric sulfate group was showed lesser inflammatory degree and more rapid recovery than that of formocresol group. 2. In ferric sulfate group odontoblasts showed irregular arrangement pattern at initial stage and returned to regular pattern after 2 weeks. But in formocresol group. continued irregular pattern of odontoblast was observed during experimental period. 3. Reparative dentin was produced widely along the canal in one specimen of formocresol group at 8 weeks and dentinal bridge was formed in two specimens of ferric sulfate group at 8 weeks.

  • PDF

PULP RESPONSE OF BEAGLE DOG TO DIRECT PULP CAPPING MATERIALS: HISTOLOGICAL STUDY (직접치수복조재에 따른 비글견 치수의 조직반응에 대한 연구)

  • Bae, Ji-Hyun;Kim, Young-Gyun;Yoon, Pil-Young;Cho, Byeong-Hoon;Choi, Yong-Hoo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5 no.1
    • /
    • pp.5-12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ulp tissue reaction to direct pulp capping of mechanically exposed beagle dogs' pulp with several capping materials. A total of 36 teeth of 2 healthy beagle dongs were used. The mechanically exposed pulps were capped with one of the followings: (1)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 $ProRoot^{(R)}$ MTA. Dentsply, Tulsa, USA), (2) Clearfil SE Bond (Dentin adhesive system: Kuraray, Osaka, Japan), (3) Ultra-Blend (Photo-polymerized Calcium hydroxide: Ultradent, South Jordan, USA), (4) Dycal (Quick setting Calcium hydroxide: LD Caulk Co., Milford, USA) at 7, 30, and 90 days before sacrificing. The cavities were restored with Z350 flowable composite resin (3M ESPE, St. Paul. MN, USA). After the beagle dogs were sacrificed, the extracted teeth were fixed, decalcified, prepared for histological examination and stained with HE stain. The pulpal tissue responses to direct pulp capping materials were assessed. In MTA calcium hydroxide, and photo-polymerized calcium hydroxide groups, initial mil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newly formed odontoblast-like cell layer and hard tissue bridge formation were observed. Compared with dentin adhesive system, these materials were biocompatible and good for pulp tissue regeneration. In dentin adhesive system group, severe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pulp tissue degeneration and pulp tissue necrosis were observed. It seemed evident that application of dentin adhesive system in direct pulp capping of beagle dog teeth cannot lead to acceptable repair of the pulp tissue with dentine bridge formation.

Partial pulp necrosis caused by excessive orthodontic force (과도한 교정력에 의한 부분 치수괴사: 증례보고)

  • Kim, Min-Young;Lee, Seung-Jong;Jung, Il-Young;Kim, Eui-Seong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v.36 no.2
    • /
    • pp.149-153
    • /
    • 2011
  • As the dental pulp is encased with a rigid, noncompliant shell, changes in pulpal blood flow or vascular tissue pressure can have serious implication for the health of pulp. Numer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orthodontic force application may influence both blood flow and cellular metabolism, leading degenerative and/or inflammatory responses in the dental pulp. The aim of this case report is to present a case about tooth with chronic periapical abscess which showed normal vital responses. Excessive orthodontic force is thought to be the prime cause of partial pulp necrosis. Owing to remaining vital tissue, wrong dianosis can be made, and tooth falsely diagnosed as vital may be left untreated, causing the necrotic tissue to destroy the supporting tissuses. Clinician should be able to utilize various diagnostic tools for the precise diagnosis, and be aware of the endodontic-orthodontic inter-relatio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