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수 적합성 및 관능검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Plus-size여성 체형을 위한 재킷원형 개발 및 면 분할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 정동림;김애린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4-34
    • /
    • 2003
  • 본 연구는 체형의 특성이 현저히 나타나는 40~50대의 Plus-size 여성을 대상으로 체형의 특징이 고려된 치수체계에 대해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을 개발하고, 이 원형을 토대로 하여 체형의 단점을 보완할 시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Plus-size에 해당하는 여성을 선정하여 수트(suit)를 제작한 후 착의 평가하여 Plus-size에 적합한 수트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lus-size 여성의 착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착용실태 조사는 판매자의 측면의 심층면접과 소비자 측면의 착장조사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착용실태조사 결과, Plus-size 여성은 의복구매시 맞음새와 편안함을 중시하고 상완부와 어깨의 두께, 가슴둘레와 복부의 비만등의 체형단점을 갖게 되므로 판매자측에서는 의복제도 시에 등품, 앞품, 상완부, 복부의 여유분을 고려하고 있었다. 시각적 효과로는 세미피트 스타일의 프린세스 라인과 허리선+20, 30cm의 재킷길이, 그리고 테일러드 칼라, 스테인 칼라, 라운드 네크라인이 판매자과 소비자의 양측면에서 선호되고 있었다. 2. Plus-size 여성의 체형에 맞음새가 우수한 재킷원형을 개발하기 위해 Plus-size 여성복의 재킷 원형 중 4종의 기존원형을 선정하고, 착의 피험자 3인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착의실험을 통해 연구 원형을 개발하고 평가단을 구성해 객관적인 평가 33문항에 대한 외관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1) 가슴둘레 여유분을 8~9cm, 허리둘레 여유분을 6~7cm, 엉덩이둘레 여유분을 6~8cm로 적용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높였다. 2) 진동깊이 계산식은 (B/10+10.5)+2cm 적용하고, 진동두께 계산식은 (B/8-1.5)+2cm를 적용함으로써 진동깊이와 진동두께의 편차가 작아짐으로 인해 소매부위와 진동부위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3) 가슴둘레의 증가에 따라 등길이에 앞길이 치수를 증가시키는 계산식을 설정하여 앞가슴둘레의 맞음새를 향상시켰다. 4) Plus-size여성의 경우 허리부분의 신체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드 판넬(side panel)의 재킷원형으로 하였다. 앞 허리와 배 부분의 지방 침착이 크므로 앞 허리둘레 다아트 폭과 앞판 사이드 판넬(side panel) 솔기 다아트 폭을 작게 설정하고, 뒤판 사이드 판넬 솔기 폭을 크게 설정하였다. 5) 어깨끝점 사이길이는 다른 부위의 체지방 침착과 같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으므로 표준체형에 비해 좁게 설정하였다.

  • PDF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복 재킷의 패턴 사이즈에 따른 착의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Ready-Made Jacket for Women according to Pattern Size Using 3D Scanner)

  • 서추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390-40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기성복의 맞음새와 치수체계에 따른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여성복 재킷을 중심으로 사이즈별 각 패턴의 치수 및 공극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킷에 대한 관능검사(self sensory test)결과, 패턴 B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동일한 사이즈의 의복임에도 불구하고 재킷의 착용감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패턴 계측 결과 각 브랜드간의 패턴 그레이딩 량은 차이를 나타내어 동일한 사이즈임에도 불구하고 여유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수직방향보다는 수평방향의 증가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3D scanner를 이용하여 인체 및 착의인체를 스캔한 결과, 3차원 입체 형상으로 의복의 착의상태를 볼수 있으므로 2차원 정보를 얻을수 있는 사진촬영 결과에 비하여 활용성이 높으며 촬영거리에 따른 피사체의 왜곡이 없으므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패턴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B88사이즈의 허리부위를 제외한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유의성 검증결과에서는 품, 배, 엉덩이부위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어 사이즈가 커질수록 이들 부분의 여유량 설정에 신중을 기하여야한다.

Free-Size 환자복 개발에 관한연구 (A Study on Developing Patient Clothing of Free-Size)

  • 홍정민
    • 복식
    • /
    • 제47권
    • /
    • pp.113-124
    • /
    • 1999
  • Hospitals in Korea are having trouble with economic matters because of the low cost of medical insurance and the consumer's demand for high-quality care. The management of patient clothing is very difficult Especially for the management of size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mix of patients in the wards is very different from the stocked clothing sizes. Because of economic matters the ward dose not prepare enough clothing for every size. The nurses in the wards have trouble managing the clothing. Therefore the nurses want free-size patient clothing for all patients. The problem of managing the patient's clothing were surveyed by nureses in the wards. It was known that the free-size patient clothing was needed. The clothing designed from 150cm, to 180cm by 5cm were made. The different sizes of clothing were pretested. The experimental clothing were selected. The experimental patient clothing are designed for between from 165cm and 170cm in height which refers to Korean average. The fitness and sensory test were made by medical personnel outpatient who will be future client for hospital and by specialist in clothing. Finally The free-size patient clothing was made. It was sai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C-type (170cm) and the D-typer(165cm) clothing by specialists in clothing. The outpatient future client for hospital liked the C-type was selected. The questionnaires of the C-type patient clothing was tested by outpatient patients and by medical personnel. Eighty-four point-eightprecent(84.8%) of evaluators liked free-size clothing 75.8% liked unisex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