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치수생성

Search Result 11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VARIATION OF DESIGN FLOOD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URBAN CATCHMENT : A CASE STUDY ON THE HYOJA DRAINAGE BASIN IN SEOUL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유역의 확률홍수량 변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 효자배수분구를 대상으로)

  • Hwang, Jeongyoon;Kim, Hosoung;Ahn, Jeonghwan;Ahn, Hyunjun;Jeong, Chang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3-183
    • /
    • 2018
  • 최근 국지성 호우와 홍수, 그리고 극심한 가뭄과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치수문현상이 빈번하게 관측되고 있다. 이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의 강우사상으로 광화문(2010), 강남역(2010), 청계천(2010), 청주(2017), 부산(2017) 등 주요 도심지역에 내수침수로 인한 막대한 인명,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으며, 피해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의 증가는 설계홍수량의 변화를 초래하며, 그로 인해 홍수 위험도 증가와 치수안전도 감소 등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에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기후변화에 따른 수공시설물 설계빈도 상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및 기후시나리오의 한계로 인해 정량적 분석결과가 제시되지 않아 정책 수립에 반영하기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특성에 대한 도시유역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 효자배수분구를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과거관측자료 기준 S0 대비 상세화 기법(Downscaling) 및 편의보정(Bias Correlation)으로 생성된 RCP 4.5 기후시나리오 HadGEM3-RA(RCM)모델을 통해 생산된 S1, S2, S3 기간의 확률강우량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이때 확률분포형은 Gumbel, 매개변수 추정은 최우도법(ML)을 사용하였고, 도시유출모형을 이용하여 최대첨두홍수량 및 침수면적 산정하고 기후변화 기간별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대부분의 도시배수시설물의 설계빈도인 10년빈도를 3사분위값을 기준으로 할 때 50년과 70년 이상의 미래를 가정할 경우 각각 약 10%, 20%의 확률 홍수량이 증가가 예상되었다. 이러한 결과 현재 구축되어 있는 배수시스템의 설계빈도를 크게 상회하는 값으로 도시배수시스템에 많은 어려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정량적 평가 결과가 기후변화 적응 대책 신규 시설물 설계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Damage Analysis of Tributary Streams by Headward Erosion and Installation Plan of River Bed Protection using Numerical Simulation (두부침식에 의한 지류하천 피해분석과 수치모형을 이용한 하상유지공에 관한 연구)

  • Lim, Won Chang;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59-259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발생빈도 증가 및 이상강우, 유역내 토지이용의 고도화로 인한 유역특성 변화로 유역내 홍수량은 증가하고 홍수 도달시간이 짧아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홍수에 따른 치수방어 대책으로 하천의 제방축조 및 보강방법이 주로 채택되었으나, 최근에는 홍수시 직접적인 하천내 수위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 하도내 저류효과를 확대하기 위한 보 설치 및 하도정비를 통한 하도준설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본류 하상저하에 따른 지류하천의 하상변동(두부침식)으로 하도내 세굴 침식에 의한 하천시설물 피해 사례가 늘게 되면서 과거 홍수에 의한 제방월류 피해에서 하상변동에 의한 하천시설물 붕괴로 하천피해 양상이 바뀌게 되었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지류하천 합류부에 하상변동 방지책으로 하상유지공을 설치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이와 관련된 구체적 설계기준 및 연구가 미비하여 일선에서는 아직도 하천구조물의 용도가 다른 보나 낙차공의 설계기준을 준용하는 등 하상유지공 용도에 특성화된 설계기준(최적 위치선정 및 형식 등)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천(낙동강 지류하천)유역내 하도준설 및 홍수로 인한 하상유지공의 유실에 따른 지류하천의 피해사례를 통해 수치해석결과 및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하상유지공 계획의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도준설로 생성된 지류합류부의 단차구간에 안정성을 확보한 최적의 하상유지공 위치 및 형식 등을 선정 검토하고 설치 유 무에 따른 유수흐름 및 하상변화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하도굴착 및 하상유지공 계획시 고려해야할 사항(지형현황 및 수리특성 등)을 인지하고 극한상황에서도 안전한 하상유지공의 위치 및 형식 등을 선정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Resilience in terms of Hydropower Reservoirs Operation with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발전용댐의 운영측면 회복탄력성 평가)

  • Kim, Dong Hyun;Yu, Hyeong-Ju;Kim, Jong-Ho;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7-337
    • /
    • 2022
  • 한반도 기후변화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집중호우의 빈도와 강도는 19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2020년의 홍수는 예견된 것으로 우려가 현실화 된 사건이라 볼 수 있다. 2020년 홍수에서 알 수 있듯이 강수량과 하천의 유량을 직접 담아내는 국내 댐 시설의 운영은 증가하는 기후변화의 위험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단일 목적으로 건설된 발전용댐의 경우도 다목적댐, 홍수조절댐 등 다양한 수자원시설과 동일한 수계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발전용댐의 운영도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2020년 발전용댐의 다목적 활용 협약 등의 여건 변화는 수자원 활용 측면에서 발전용댐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발전용댐의 운영안을 회복탄력성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기후변화는 CMIP6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18개의 GCMs의 결과를 고려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하였으며 3개의 미래구간에 대해 100개의 앙상블을 생성하였다. 해당 자료는 LSTM 모형으로 기반으로 댐 유입량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유입량 예측 결과 0.77~0.89의 NSE 값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시나리오 따라 증가하는 예측된 유입량에 맞춰 댐 모의운영을 수행하였고 회복탄력성, 발전량, 홍수위험 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전력생산 관점의 회복탄력성을 유지하는 운영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전력생산량을 증가시키면서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방류량에 따라 하류의 구체적인 치수위험평가가 동시에 이뤄진다면 기후변화 시나리오별 발전용댐의 최적 운영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iver monitoring using low-cost drone sensors (저가용 드론 센서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 Lee, Geun Sang;Kim, Young Joo;Jung, Kwan Sue;Park, Bomi;Kim, Bo 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6-346
    • /
    • 2020
  • 홍수기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광역 모니터링을 위한 기술 확보가 매우 중요하며, 최근 드론을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에 관한 관심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하천관리에 필요한 드론 탑재용 센서는 기본적으로 RGB 광학센서를 비롯하여 근적외선(Nir) 및 열적외선 센서가 함께 운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현재 판매되는 드론 카메라를 살펴보면 근적외선과 열적외선 센서가 별도로 분리되어 있고 광학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고가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광학(RGB), 근적외선 그리고 열적외선 센서가 통합된 저가의 탑재체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활용한 하천 모니터링 프로세스를 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드론에 쉽게 탑재 가능한 하천 모니터링용 탑재체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천 홍수 및 부유사 모니터링에 활용하였다. 광학센서는 하천의 주요 형상을 확인하는데 이용하였으며, 근적외선 센서는 홍수 및 부유사 탐지에 활용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넓은 하천 구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75% 이상의 중복도를 가지고 촬영하도록 세팅하였으며 영상접합 SW를 활용하여 정사영상을 생성하였다. 구축한 근적외선 정사영상으로부터 영상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홍수 및 부유사 영역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기 하천 모니터링 및 치수 업무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저가용 드론 센서는 상용 SW와의 연계가 어렵기 때문에 자동비행 프로그램처럼 해당 위치별 영상 촬영이 어려운 한계가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센서의 제원특성을 활용하여 자동비행 SW에서도 일정 이상의 중복도를 확보할 수 있는 비행고도별 촬영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하천 모니터링용 정사영상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기존의 고가용 드론 센서와 유사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 PDF

Computer Vision-Based Measurement Method for Wire Harness Defect Classification

  • Yun Jung Hong;Geon Lee;Jiyoung 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1
    • /
    • pp.77-84
    • /
    • 202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accurately and rapidly detecting defects in wire harnesses by utilizing computer vision to calculate six crucial measurement values: the length of crimped terminals, the dimensions (width) of terminal ends, and the width of crimped sections (wire and core portions). We employ Harris corner detection to locate object positions from two types of data. Additionally, we generate reference points for extracting measurement values by utilizing features specific to each measurement area and exploiting the contrast in shading between the background and objects, thus reflecting the slope of each sample. Subsequently, we introduce a method using the Euclidean distance and correction coefficients to predict values, allowing for the prediction of measurements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wire's position. We achieve high accuracy for each measurement type, 99.1%, 98.7%, 92.6%, 92.5%, 99.9%, and 99.7%, achieving outstanding overall average accuracy of 97% across all measurements. This inspection method not only addresses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visual inspections but also yields excellent results with a small amount of data. Moreover, relying solely on image processing, it is expected to be more cost-effective and applicable with less data compared to deep learning methods.

The MCSTOP Algorithm about the Minimum Cost Spanning Tree and the Optimum Path Generation for the Multicasting Path Assignment (최적 경로 생성 및 최소 비용 신장 트리를 이용한 멀티캐스트 경로 배정 알고리즘 : MCSTOP)

  • Park, Moon-Sung;Kim, Jin-Suk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5 no.4
    • /
    • pp.1033-1043
    • /
    • 1998
  •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mproved multicasting path assignment algorithm based on the minimum cost spanning tree. In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a multicasting path is assigned preferentially when a node to be received is found among the next degree nodes of the searching node in the multicasting path assignment of the constrained steiner tree (CST). If nodes of the legacy group exist between nodes of the new group, a new path among the nodes of new group is assigned as long as the nodes may be excluded from the new multicasting path assignment taking into consideration characteristics of nodes in the legacy group. In assigning the multicasting path additionally, where the source and destination nodes which can be set for the new multicasting path exist in the domain of identical network (local area network) and conditions for degree constraint are satisfied, a method of producing and assigning a new multicasting path is used.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CST with MCSTOP, MCSTOp algorithm enhanced performance capabilities about the communication cost, the propagation delay, and the computation time for the multicasting assignment paths more than CST algorithm. Further to this, research activities need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protocol(multicasting path assignment technology in the multipoint communication service (MCS) of the ITU-T T.120).

  • PDF

A Comparative Study on Approximate Models and Sensitivity Analysis of Active Type DSF for Offshore Plant Float-over Installation Using Orthogonal Array Experiment (직교배열실험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플로트오버 설치 작업용 능동형 DSF의 민감도해석과 근사모델 비교연구)

  • Kim, Hun-Gwan;Song, Chang Y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3
    • /
    • pp.187-196
    • /
    • 2021
  • The paper deals with comparative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approximation of design space according to various approximate models and sensitivity analysis using orthogonal array experiments in structure design of active type DSF which was developed for float-over installation of offshore plan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orthogonal array experiments based design methodology which is able to efficiently explore an optimum design case and to generate the accurate approximate model. Thickness sizes of main structure member were applied to the design factors, and output responses were considered structure weight and strength performances. Quantitative effects on the output responses for each design factor were evaluated using the orthogonal array experiment. Best design case was also identified to improve the structure design with weight minimization. From the orthogonal array experiment results, various approximate models such as response surface model, Kriging model, Chebyshev orthogonal polynomial model, and radial basis function based neural network model were generated. The experiment results from orthogonal array method were validated by the approximate modeling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adial basis function based neural network model among the approximate models was able to approximate the design space of the active type DSF with the highest accuracy.

Halitosis and Related Factors among Rural Residents (농촌지역 주민들의 구취실태와 유발요인)

  • Lee, Young-Ok;Hong, Jung-Pyo;Lee, Tae-Yo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32 no.2
    • /
    • pp.157-175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interview process in which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93 people.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behaviors of oral hygiene care, and disease history related to halitosis, and status of halitosis, halitosis measurement, oral examination, and caries activity tests such as the snyder test, Salivary flow rate test, and Salivary buffering capacity test. Our sample was taken from 293 rural residents within the period from 4th to 21st of January 2006. This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to prepare both policies of halitosis prevention and a device to efficiently measure halitosis statu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herei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1. As for frequency of tooth brushing, twice a day occupied the greatest portion at 46.1 % Women exceeded men in frequency of tooth brushing. Tongue brushing everyday produced a 25.6 % result among subjects and The use of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occupied 9.2 %. 2. As for degree of usual self-awareness of halitosis: 62.5 %. This result also demonstrate that the severest time of self-awareness in regards to halitosis is wake up time in the morning. The time period produced the highest portion of 72.7 % in times of self-awareness. In terms of the area in which halitosis was observed, gum resulted in 23.0 %. As for types of halitosis, fetid smell was the most frequent at 37.2 %. 3. As for the result of halitosis measurement, values of OG less than 50 ppm occupied 54.3 % and $50{\sim}100ppm$ occupied 41.6 %. As for $NH_3$ values, $20{\sim}60ppm$ showed the highest value range of 52.6 %. 4. As for OG per disease history related to halitosis, values of OG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ranges of $50{\sim}100ppm$ within family history groups of food impaction by dental caries, diabetes mellitus and halitosis. As for values of $NH_3$, the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iratory system disease groups. 5 Value range of OG per ordinary halitosis self-awareness degree: values ranging less than 50 ppm were recorded at 55.9 % from the group realizing not aware of smell. 57.5 % from groups only realizing sometimes, while values range of $50{\sim}100ppm$ were recorded at 52.0 % from groups always aware of smell. 63.6 % from groups always strongly aware of smell. Meanwhile as for the values ranges of $NH_3$, $20{\sim}60ppm$. they occupied high portions for all groups of exams. 6. Values of OG per oral examination: the more pulp-exposed teeth and food impaction and the higher the tongue plaque index, values of OG increased within the range of $50{\sim}100ppm$. As for values of $NH_3$, the more prosthetic teeth and the higher the tongue plaque index, this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values increased up to no less than 60 ppm for groups of mandibular partial denture. 7. Within the realm of caries activity test: as for the Snyder test, high activity was highest by 43.0 % wherewith the higher the activity of acidogenic bacteria the higher the OG values. As for the salivary flow rate test, the number of cases below 8.0 ml showed the highest tendency by 62.5 %. The larger the salivary flow rate the more decreased OG values distribution. As for th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test, $6{\sim}10$ drops of 0.1N lactic acid showed the overwhelming trend by 58.7 % whereby the higher the salivary buffering capacity the greater distribution occupancy ratio of OG values below 50 ppm which is scentless to on ordinary person. 8.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environment and halitosis, OG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pulp exposed teeth, filled teeth, present teeth, tongue plaque index, and food impaction, while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salivary flow rate and prosthetic teeth. $NH_3$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sthetic teeth and frequency of tooth brushing, while decayed teeth was negative correlation. 9.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 pulp exposed teeth, prosthetic teeth, food impaction, salivary flow rate, tongue plaque index and severe activities in the Snyder test as factors affecting OG wherein explanatory power on it was 45.1 %.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pulp exposed teeth, tongue plaque index, and prosthetic teeth as factors affecting on $NH_3$ wherein explanatory power on it was 6.6 %. With the aforementioned results in mind, the status of halitosis among rural residents is considered to bare a close relation with oral environments and other factors related to halitosis such as the Snyder test from caries activity test, and salivary flow rate test. For the prevention of halitosis of residents in rural areas, we have to focus on correct tooth brushing methods and tongue brushing, with using auxiliary oral hygiene devices to remove fur of tongue plaque and food impaction. Also, when the cause and ingredients of halitosis are diverse and complex, in order to analyze exactly the factors of individual halitosis development, we need continuous and systematic study in order to provide rural residents with programs of oral hygiene education and encourage the use of dental hygien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Runoff Characteristics Analysis in the ImJin-River Basin (2005년 임진강 유역의 유출특성 분석)

  • Kim, Dong-Phil;Jung, Sung-Won;Lee, Seok-Ho;Lee, S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756-176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진강 유역을 대상으로 2005년에 발생한 유출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임진강 유역은 유역전체 면적중 2/3이상이 북한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전체적인 수문관측 자료를 수집하기 어려운 상황에 있으나, 가용한 수문관측 자료 및 유량측정성과를 이용하여 5개 지점에 대한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임진강 유역에서는 30분 단위의 연속적인 우량 및 수위관측(건설교통부)을 하고 있으며, 기상청에서는 1시간 단위의 기상관측을 하고 있다. 우량 및 수위자료의 수집과 검토를 통하여 유역면적우량과 5개 수위관측소의 수위를 최종 확정하였다. 그리고 2005년에 측정한 유량측정성과를 통하여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불확실도, 기본 수리특성 분석,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여 유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유량은 월별, 주요 호우사상별 유출률 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유출률 범위내에서 재 조정절차를 거쳐 최종 유량을 확정하였다. 산정된 유출률은 57.0%(영중)${\sim}$72.1%(적성)의 유출률을 보였으며, 2004년 임진강 유량측정용역 보고서의 유출률과 비교한 결과 일부지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진강 유역의 일부인 설마천 시험유역에서의 2005년 연간 유출률은 60.9%로 상기의 값은 매우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남북한 수문자료의 공유 및 기술적 교류, 유역 전체의 정밀한 수문관측 및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 생성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유출특성 거동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효과적인 치수 및 이수계획의 수립 등 수자원 개발을 위한 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수리모형실험과 연계하여 댐 설계에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투수성 포장과 지하수에 관련된 매개변수의 집적과 분석결과는 현장기술 적용 시 매개변수의 유용한 선택과 도시유역의 물 순환 건전화 대안기술 적용에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들에 관한 정보는 종종 현장관측에서 조차 무시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질모형의 매개변수 중 특히 수리특성에 관련된 매개변수들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적용된 수질모형은 QualKo를 사용하였으며, 대상 하천은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시점 부근인 회천 합류 전부터 낙동강 본류 경남구간 종점 부근인 밀양강 합류 전까지의 경남 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 시 구축된 모형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일차오차분석을 이용하여 수리매개변수와 수질매개변수의 수질항목별 상대적 기여도를 파악해 본 결과, 수리매개변수는 DO, BOD, 유기질소, 유기인 모든 항목에 일정 정도의 상대적 기여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수질 모형의 적용 시 수리 매개변수 또한 수질 매개변수의 추정 시와 같이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추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 PDF

Estimation of Mega Flood Using Mega Rainfall Scenario (거대강우 시나리오를 이용한 거대홍수량 산정)

  • Han, Daegun;Kim, Deokhwan;Kim, Jungwook;Jung, Jeawon;Lee, Jongso;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1 no.spc
    • /
    • pp.90-97
    • /
    • 2019
  • In recent years, flood due to the consecutive storm events have been occurred and property damage and casualties are in increasing trend. This study calls the consecutively occurred storm events as a mega rainfall scenario and the discharge by the scenario is defined as a mega flood discharge. A mega rainfall scenario was created on the assumption that 100-year frequency rainfall events were consecutively occurred in the Gyeongancheon stream basin. The SSARR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model was used to estimate the mega flood discharge using the scenario in the basin.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more reasonable runoff analysis,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SCE_UA algorithm. Also,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objective functions of the weighted sum of squared of residual(WSSR),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peak discharge simulation and sum of squared of residual(SSR). As a result, the mega flood discharge due to the continuous occurrence of 100-year frequency rainfall events in the Gyeongan Stream Basin was estimated to be 4,802㎥/s, and the flood discharge due to the 100-year frequency single rainfall event estimated by "the Master Plan for the Gyeongancheon Stream Improvement" (2011) was 3,810㎥/s. Therefore, the mega flood discharge was found to increase about 992㎥/s more than the single flood ev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mprehensive Flood Control Plan of the Gyeongan Stream basin.